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과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급성기치료와 간호)
7. 합병증
8. 심장재활과 교육
9. 예방
-간호과정
1. 간호력
2. Lab data
3. 약물
4. 간호과정
1. 정의
2. 원인과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급성기치료와 간호)
7. 합병증
8. 심장재활과 교육
9. 예방
-간호과정
1. 간호력
2. Lab data
3. 약물
4. 간호과정
본문내용
급성 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1. 정의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근으로의 혈류가 갑자기 차단괴어 심근에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
- 죽상경화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 참고-협심증과의 차이
협심증 :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일시적인 혈류감소에 의한 흉통
심근경색증 : 관상동맥의 완전폐쇄로 심근에 불가역적인 변화가 오는 것.
- 흔히 심장발작(heart attack)이라 함.
2. 원인과 위험요인
(1) 관상동맥 내강의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죽상반(혈관벽의 딱딱한 덩어리)이 점차 커지다가 결국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협착된 혈관내로 쏟아짐 → 이로인해 생성된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 내강이 완전히 폐색됨 →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 심근이 괴사를 일으킴.
(2)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관상동맥의 색전증, 관상동맥의 손상, 혈관염,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 발병됨
3. 병태생리
*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
- 가장 바깥층의 허혈성 변화(myocardial ischemia)
- 중간층의 심근 상해
- 중앙부위의 완전한 괴사층
(1) 관상동맥 폐색 후 시간이 경과됨 → 심근의 괴사
시간
변화
발병 후
첫 12시간까지
ㆍ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임
18~24시간 후
ㆍ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음
ㆍ정상적인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로 변함
2~4일 후
ㆍ괴사부위가 명확해짐
4~7일 후
ㆍ괴사부위는 더욱 선명해짐
ㆍ괴사조직의 중앙부위가 매우 유연함→출혈과 심근의 파열이 올 수 있음
7~10일 후
ㆍ측부순환이 형성될 수도 있음
ㆍ괴사부위에 회색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일어남.
10일~6주
동안
ㆍ괴사부위가 섬유성 반흔조직으로 점차 대치되면서 치유되지만
심장기능은 현저히 약해짐
(2)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
(3) 심근경색증의 호발부위
① 심근의 부담을 가장 많이 받는 좌심실 전벽에 가장 흔함
- 좌측관상동맥의 하행가지의 폐색때문.
② 좌심실의 후벽과 승모판막의 후측부위와 횡격막에 닿는 부분
- 좌심실 후벽의 경색은 우측 관상동맥과 좌측 관상동맥의 회선가지의 폐색때문.
▲ 심근경색 환자의 혈관. 혈관이 막혀 혈류가 흐르지 않는다
[표]급성심근경색 증상 및 병태생리
증상.징후
병태생리
흉통 : 심한 분쇄성통증이 일정한 강도로 지속적으로 나타남. 휴식으로 완화되지 않으며 가끔 한쪽 팔, 양팔,목으로 방사됨.
대부분 90%가 흉통을 호소하며 약 50%는 발병 후 몇 주 동안까지도 호소함. 흉통이 발열보다 선행되어 나타나지만 다른 심장의 염증질환에서는 그 반대로임
혈전성 폐색으로 인한 심근의 완전한 혈액공급의 차단은 심근의 국소빈혈 부위에 산화되지 않은 대사산물의 축적을 야기하고, 신경의 말단부를 자극함
심인성
1. 정의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근으로의 혈류가 갑자기 차단괴어 심근에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
- 죽상경화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 참고-협심증과의 차이
협심증 :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일시적인 혈류감소에 의한 흉통
심근경색증 : 관상동맥의 완전폐쇄로 심근에 불가역적인 변화가 오는 것.
- 흔히 심장발작(heart attack)이라 함.
2. 원인과 위험요인
(1) 관상동맥 내강의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죽상반(혈관벽의 딱딱한 덩어리)이 점차 커지다가 결국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협착된 혈관내로 쏟아짐 → 이로인해 생성된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 내강이 완전히 폐색됨 →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 심근이 괴사를 일으킴.
(2)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관상동맥의 색전증, 관상동맥의 손상, 혈관염,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 발병됨
3. 병태생리
*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
- 가장 바깥층의 허혈성 변화(myocardial ischemia)
- 중간층의 심근 상해
- 중앙부위의 완전한 괴사층
(1) 관상동맥 폐색 후 시간이 경과됨 → 심근의 괴사
시간
변화
발병 후
첫 12시간까지
ㆍ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임
18~24시간 후
ㆍ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음
ㆍ정상적인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로 변함
2~4일 후
ㆍ괴사부위가 명확해짐
4~7일 후
ㆍ괴사부위는 더욱 선명해짐
ㆍ괴사조직의 중앙부위가 매우 유연함→출혈과 심근의 파열이 올 수 있음
7~10일 후
ㆍ측부순환이 형성될 수도 있음
ㆍ괴사부위에 회색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일어남.
10일~6주
동안
ㆍ괴사부위가 섬유성 반흔조직으로 점차 대치되면서 치유되지만
심장기능은 현저히 약해짐
(2)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
(3) 심근경색증의 호발부위
① 심근의 부담을 가장 많이 받는 좌심실 전벽에 가장 흔함
- 좌측관상동맥의 하행가지의 폐색때문.
② 좌심실의 후벽과 승모판막의 후측부위와 횡격막에 닿는 부분
- 좌심실 후벽의 경색은 우측 관상동맥과 좌측 관상동맥의 회선가지의 폐색때문.
▲ 심근경색 환자의 혈관. 혈관이 막혀 혈류가 흐르지 않는다
[표]급성심근경색 증상 및 병태생리
증상.징후
병태생리
흉통 : 심한 분쇄성통증이 일정한 강도로 지속적으로 나타남. 휴식으로 완화되지 않으며 가끔 한쪽 팔, 양팔,목으로 방사됨.
대부분 90%가 흉통을 호소하며 약 50%는 발병 후 몇 주 동안까지도 호소함. 흉통이 발열보다 선행되어 나타나지만 다른 심장의 염증질환에서는 그 반대로임
혈전성 폐색으로 인한 심근의 완전한 혈액공급의 차단은 심근의 국소빈혈 부위에 산화되지 않은 대사산물의 축적을 야기하고, 신경의 말단부를 자극함
심인성
추천자료
뇌졸중 (stroke)과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간호학]뇌졸증, 천식, 심근경색, 당뇨병, 폐렴 문헌고찰 및 진단검사 조사
[논문] [응급처치] 심근경색및협심증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케이스 스터디(심근경색)
[응급처치] 심근경색및협심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심근경색 (MI ; myocardial infarction)
[해부생리학]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PPT자료
[논문]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스포츠의학, 운동처방관련학과) 허혈성 심장질환과 운동 - 협심증 & 심근경색.pdf
[성인간호학][MI][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PTCA]문헌고찰(myocardial infarction)
[성인간호학][협심증][Angina Pectoris][심근경색]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Myocardial infarction_ 심근경색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