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가 혈당검사의 필요성
2. 자가혈당검사 방법
1) 준비물
2) 채혈 부위
3) 자가혈당 측정기 이용법
3. 자가혈당검사 시간 및 횟수
1) 당뇨인의 혈당조절 상태, 당뇨병의 유형, 인슐린 주사 횟수, 급성병증의 상태, 직업 생활, 운동량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2) 그 밖에 검사가 필요한 경우
4. 자가혈당검사의 정확성에 대한 영향 요인
1) 사용자의 잘못
2) Hematocrit
3) Hyperglycemia & Hypoglycemia
4) 스트립의 이상
5) 혈당 측정기의 작동 불량
5. 검사결과의 기록
6. 검사결과의 해석 및 이용
1) 검사결과의 해석
2) 검사결과의 이용
7. 아픈 날의 관리
1) 몸이 아픈 날에 혈당조절이 안되는 이유
2) 몸이 아픈 날의 지침
2. 자가혈당검사 방법
1) 준비물
2) 채혈 부위
3) 자가혈당 측정기 이용법
3. 자가혈당검사 시간 및 횟수
1) 당뇨인의 혈당조절 상태, 당뇨병의 유형, 인슐린 주사 횟수, 급성병증의 상태, 직업 생활, 운동량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2) 그 밖에 검사가 필요한 경우
4. 자가혈당검사의 정확성에 대한 영향 요인
1) 사용자의 잘못
2) Hematocrit
3) Hyperglycemia & Hypoglycemia
4) 스트립의 이상
5) 혈당 측정기의 작동 불량
5. 검사결과의 기록
6. 검사결과의 해석 및 이용
1) 검사결과의 해석
2) 검사결과의 이용
7. 아픈 날의 관리
1) 몸이 아픈 날에 혈당조절이 안되는 이유
2) 몸이 아픈 날의 지침
본문내용
알콜로 채혈부위를 소독하지 않아도 된다.
② 기계의 전원을 켠다
③ 스트립의 code와 기계의 스트립 code가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일치시킨다
④ 스트립 pad가 손에 닿지 않게 스트립을 병에서 꺼낸다
⑤ 스트립 pad를 위로 하여 스트립을 삽입한다
⑥ 손가락을 몇번 비비고 손끝을 30초 정도 내리거나 손을 흔든다.
⑦ 채혈시는 매번 채혈부위를 변경하며, 피부상태에 맞추어 채혈침의 깊이조절을 한다.
만일 손가락 부위 소독을 위해 알코올 솜을 사용했다면 알코올이 마른 후 찌르도록 한다.
⑧ 될 때까지 안쪽에서 손가락 끝으로 부드럽게 짜준다. 단지 손가락 끝을 쥐어짜는 것보다 손가락을 전체적으로 짜주는 것이 더 좋다.
⑨ 각 측정기의 방식에 따라 검사한다.
⑩ 일정시간 후 측정기의 화면에 나타난 혈당치를 읽는다
3. 자가혈당검사 시간 및 횟수
1) 당뇨인의 혈당조절 상태, 당뇨병의 유형, 인슐린 주사 횟수, 급성병증의 상태, 직업
생활, 운동량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혈당치가 의료진이 권고하는 혈당목표에 도달할 때까지는 1일 4회(매
식전과 취침 전)에 실시하고, 혈당치가 혈당목표 범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1. 2회 → 2. 3회주 로 줄이고 시간대를 번갈아가며 검사한다.
필요시 식후 2시간에 검사를 시행하며, 또한 밤동안에 환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저혈당을 확인하기 위해 새벽 3시에 검사가 권장된다.
2) 그 밖에 검사가 필요한 경우
. 몸이 아플때
. 저혈당이 고혈당 증상이 느껴질 때
. 음식섭취나 활동이 평상시와 다를 때
. 스트레스가 심할 때
. 인슐린 양이 변경
② 기계의 전원을 켠다
③ 스트립의 code와 기계의 스트립 code가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일치시킨다
④ 스트립 pad가 손에 닿지 않게 스트립을 병에서 꺼낸다
⑤ 스트립 pad를 위로 하여 스트립을 삽입한다
⑥ 손가락을 몇번 비비고 손끝을 30초 정도 내리거나 손을 흔든다.
⑦ 채혈시는 매번 채혈부위를 변경하며, 피부상태에 맞추어 채혈침의 깊이조절을 한다.
만일 손가락 부위 소독을 위해 알코올 솜을 사용했다면 알코올이 마른 후 찌르도록 한다.
⑧ 될 때까지 안쪽에서 손가락 끝으로 부드럽게 짜준다. 단지 손가락 끝을 쥐어짜는 것보다 손가락을 전체적으로 짜주는 것이 더 좋다.
⑨ 각 측정기의 방식에 따라 검사한다.
⑩ 일정시간 후 측정기의 화면에 나타난 혈당치를 읽는다
3. 자가혈당검사 시간 및 횟수
1) 당뇨인의 혈당조절 상태, 당뇨병의 유형, 인슐린 주사 횟수, 급성병증의 상태, 직업
생활, 운동량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혈당치가 의료진이 권고하는 혈당목표에 도달할 때까지는 1일 4회(매
식전과 취침 전)에 실시하고, 혈당치가 혈당목표 범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1. 2회 → 2. 3회주 로 줄이고 시간대를 번갈아가며 검사한다.
필요시 식후 2시간에 검사를 시행하며, 또한 밤동안에 환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저혈당을 확인하기 위해 새벽 3시에 검사가 권장된다.
2) 그 밖에 검사가 필요한 경우
. 몸이 아플때
. 저혈당이 고혈당 증상이 느껴질 때
. 음식섭취나 활동이 평상시와 다를 때
. 스트레스가 심할 때
. 인슐린 양이 변경
추천자료
당뇨병 환자 개입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원인과 병태생리 및 당뇨환자 교육
당뇨병에 관한 문헌고찰
[간호학]뇌졸증, 천식, 심근경색, 당뇨병, 폐렴 문헌고찰 및 진단검사 조사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간호전략
당뇨환자 교육자료
CAOD, PTCA, 당뇨 DM 케이스
안호배 Package part 2. 당뇨병. Blood Sugar Test. 인슐린 (BST 혈당검사)
[당뇨병][당뇨][혈당][성인병][합병증][자가혈당측정][치료]당뇨병(당뇨)의 분류, 당뇨병(당...
간호실무,당뇨병의 진단검사,당뇨병 예방법,혈당검사,자가혈당검사,당화혈색소,인슐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