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Kirkpatrick의 교육훈련 평가 모형
2.2 교육에 대한 평가
3.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Kirkpatrick의 교육훈련 평가 모형
2.2 교육에 대한 평가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장기적으로 교육 도움을 받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교육에 대한 더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니즈에 맞게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평가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강사의 자질, 커리큘럼, 교육방식, 그리고 후속 대처 등이 있으며, 본인이 평가하였던 교육의 경우 강사의 자질과 커리큘럼, 교육 방식 등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를 준 편이다. 그러나 교육 후 후속 대처에 대해 아쉬움이 남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피드백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단기간의 교육이 끝났다고 하여 그것만으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닌, 교육 후 학습자가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잘 적용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후속 처리를 위해서 연락망 마련, 주기적인 학습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 공간 마련 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를 마련할 경우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3.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본인이 받았던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직접 평가를 진행한 후, 이에 대해 더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보고서에서 활용된 평가 기준은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 모형으로 “반응, 학습, 행동, 결과 평가”를 통해 교육 진행~약 1년간의 장기적인 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방법이었다. 평가 결과, 단순히 교육만을 진행한 것이 아닌 조직원과의 결속력을 다질 수 있는 교육과정이었기 때문에 업무 능률 및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었고, 이것으로 인해 회사 측면에서는 생산성의 증가라는 결과를 얻었다는 이점이 있었다.
하지만 교육 후 피드백을 마련할 수 있는 연락망, 자리 등이 없었기 때문에 부족함이 있을 때 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아쉽다는 평가를 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후속 대처에 대해 마련을 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효과적으로 교육을 진행하게 될 경우, 학습자의 성과는 회사의 생산성 향상, 이익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김영희, (2016). 재난안전 전문교육의 효과성 연구 : 민간 전문가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9759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552
교육에 대한 더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니즈에 맞게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평가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강사의 자질, 커리큘럼, 교육방식, 그리고 후속 대처 등이 있으며, 본인이 평가하였던 교육의 경우 강사의 자질과 커리큘럼, 교육 방식 등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를 준 편이다. 그러나 교육 후 후속 대처에 대해 아쉬움이 남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피드백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단기간의 교육이 끝났다고 하여 그것만으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닌, 교육 후 학습자가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잘 적용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후속 처리를 위해서 연락망 마련, 주기적인 학습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 공간 마련 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를 마련할 경우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3.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본인이 받았던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직접 평가를 진행한 후, 이에 대해 더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보고서에서 활용된 평가 기준은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 모형으로 “반응, 학습, 행동, 결과 평가”를 통해 교육 진행~약 1년간의 장기적인 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방법이었다. 평가 결과, 단순히 교육만을 진행한 것이 아닌 조직원과의 결속력을 다질 수 있는 교육과정이었기 때문에 업무 능률 및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었고, 이것으로 인해 회사 측면에서는 생산성의 증가라는 결과를 얻었다는 이점이 있었다.
하지만 교육 후 피드백을 마련할 수 있는 연락망, 자리 등이 없었기 때문에 부족함이 있을 때 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아쉽다는 평가를 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후속 대처에 대해 마련을 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효과적으로 교육을 진행하게 될 경우, 학습자의 성과는 회사의 생산성 향상, 이익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김영희, (2016). 재난안전 전문교육의 효과성 연구 : 민간 전문가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9759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552
추천자료
E-HRM에 대한 개념 접근 및 사례 연구 (코오롱 및 전자정부 구축 사례)
[정신장애]정신장애와 DSM-4(진단 및 통계편람), 정신장애와 약물중독, 정신장애와 건강교육,...
[사회기술훈련]사회기술훈련과 학습기제, 사회기술훈련과 시각장애인, 사회기술훈련과 프로젝...
GE의 인사 관리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각 ...
소비자심리학 ) 소비자로서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기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동...
산업심리학) 기업, 학교, 온라인 등 본인이 받았던 교육이나 훈련 사례를 바탕으로 효율성과 ...
산업심리학) 기업, 학교, 온라인 등 본인이 받았던 교육이나 훈련 사례를 바탕으로 효율성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