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타냅니다.
1
4
6
8
9
1
1
0
0
0
0
2
0
1
0
0
0
3
0
0
0
0
0
4
0
0
0
0
0
(2) A=B={a,b,c,d}에서 R={(a,a),(a,b),(a,c),(a,d),(b,d),(c,d),(d,a),(d,b),(d,c),(d,d)
정의역: A = {a, b, c, d}
치역: B = {a, b, c, d}
관계 R은 주어진 순서쌍들의 집합입니다.
관계행렬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행렬의 행은 정의역의 원소들을, 열은 치역의 원소들을 나타냅니다.
a
b
c
d
a
1
1
1
1
b
0
0
0
1
c
0
0
0
1
d
1
1
1
1
양의 정수 집합에서 x = y² 일 때 (x,y) ∈ R 로 정의되는 관계 R이 반사관계, 비반사관계, 대칭관계, 반대칭관계 중에서 어떤 관계가 성립하는지 판별하여라
모든 원소 a, b에 대해 (a, b)와 (b, a)가 모두 R에 속하면 a = b여야 합니다. 이 경우, (a, b)가 R에 속하려면 a = b²이어야 하고, (b, a)가 R에 속하려면 b = a²이어야 합니다. 이 두 조건이 동시에 만족하려면 a = b = 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관계 R은 반대칭관계에 해당합니다.
다음 방향그래프에 대한 관계의 반사폐포와 대칭폐포를 방향그래프로 그려라.
반사폐포는 원래의 관계에 모든 (x,x) 형태의 쌍을 추가하여, 모든 원소가 자신과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대칭폐포는 원래의 관계에 (x,y)가 있을 때, (y,x)를 추가하여 모든 관계가 대칭적이도록 하는 것입니다.
왼쪽부터 각각 반사폐포와 대칭폐포입니다.
1
4
6
8
9
1
1
0
0
0
0
2
0
1
0
0
0
3
0
0
0
0
0
4
0
0
0
0
0
(2) A=B={a,b,c,d}에서 R={(a,a),(a,b),(a,c),(a,d),(b,d),(c,d),(d,a),(d,b),(d,c),(d,d)
정의역: A = {a, b, c, d}
치역: B = {a, b, c, d}
관계 R은 주어진 순서쌍들의 집합입니다.
관계행렬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행렬의 행은 정의역의 원소들을, 열은 치역의 원소들을 나타냅니다.
a
b
c
d
a
1
1
1
1
b
0
0
0
1
c
0
0
0
1
d
1
1
1
1
양의 정수 집합에서 x = y² 일 때 (x,y) ∈ R 로 정의되는 관계 R이 반사관계, 비반사관계, 대칭관계, 반대칭관계 중에서 어떤 관계가 성립하는지 판별하여라
모든 원소 a, b에 대해 (a, b)와 (b, a)가 모두 R에 속하면 a = b여야 합니다. 이 경우, (a, b)가 R에 속하려면 a = b²이어야 하고, (b, a)가 R에 속하려면 b = a²이어야 합니다. 이 두 조건이 동시에 만족하려면 a = b = 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관계 R은 반대칭관계에 해당합니다.
다음 방향그래프에 대한 관계의 반사폐포와 대칭폐포를 방향그래프로 그려라.
반사폐포는 원래의 관계에 모든 (x,x) 형태의 쌍을 추가하여, 모든 원소가 자신과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대칭폐포는 원래의 관계에 (x,y)가 있을 때, (y,x)를 추가하여 모든 관계가 대칭적이도록 하는 것입니다.
왼쪽부터 각각 반사폐포와 대칭폐포입니다.
추천자료
수학1(통계) 학습지도안
수학교육학 신론
수학교육학 신론 요약정리
[이산수학]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성격,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목표,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인식,...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선택중심교...
[수학과교육][고등학교수학]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성격,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목...
[레포트]이산 수학 명제, 집합 문제 풀이 과제
★ 이산수학 기초문제 풀이 (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다음 식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양의...
(방송통신대 이산수학 기말시험)1. 2019학년도 이산수학의 기말시험 기출문제 중 6개 문제(5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