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현장실습 세미나) 영화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시청하고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두 가지 사회복지 관점으로 자신의 견해를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현장실습 세미나) 영화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시청하고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두 가지 사회복지 관점으로 자신의 견해를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 줄거리
2. 영화 등장인물들에게 필요한 복지
1) 노동자들의 안전
2) 부당 해고 방지
3) 특정 상황에 따른 어려움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우리는 두 번 죽어요. 한번은 전기구이 한번은 낙하. 근데 그런 거 하나도 안 무서워요. 우리가 무서운 건 해고에요. 해고되면 알바만 해야되니까”. 영화 속 막내가 한 대사의 일부다. 누구나 다 이력서를 채우기 위해 자기주도학습을 진행하고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는 없다. 본인이 하고 싶은 근로가 아닌 먹고살기 위해 하루를 버티는 노동자들도 있다. 그들에게는 안정적인 임금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본인의 목숨까지 던질 각오로 일을 한다. 너무나 가슴 아픈 일이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권리와 의무가 주어지지만 이들에게는 이를 생각하는 것이 사치다. 오히려 이들은 기업이 안정적인 근로를 수행할 수 있는 기계를 원한다면 본인이 인간이길 포기하고 기계이길 바라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은 무엇을 잘못한 것일까? 필자는 누구나 다 열심히 살 수 있지만 누구나 잘 살 수는 없다고 본다. 하지만 노력한 사람들이 적어도 잘 살 수 있도록 정부가 기회의 장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한국에서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 주입식 교육에 따라 등수가 나누어지고 이후에도 좋은 직장을 가기 위해 경쟁한다. 또한 사람들은 경쟁에서 뒤처진 사람들에게 관심조차 주지 않으며, 심지어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경쟁에 뛰어들지 못한 사람들은 도태된 사람들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정부는 단순히 지원 제도를 통해 경제적 어려움만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또한 본인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기업은 회사의 적합한 인재를 차별 없이 채용하여 복지가 비용을 통해 제공하는 비용이 아닌 조직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해야 한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법제처. 「근로기준법」.
https://www.moleg.go.kr/lawinfo/nwLwAnInfo.mo?mid=a1**********&cs_seq=430737
“‘임신하니까 해고’…직장인 40%, 출산휴가 제대로 못써”, 김래현, 뉴시스, 2023.10.09.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009_0002475814&cID=10201&pID=10200
“모든 노동자에게 모든 산업안전보건법 적용을”, 이숙견, 매일노동뉴스, 2023.06.01.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379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31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