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체역학, 사이펀 실험 레포트
본문내용
려하면 대기압은 8m 정도이다.
실제로 가 8m를 초과하게 되면 수압의 저하로 공기가 고여서 흐름을 저해하므로 물이 흐르지 않게 되어
사이펀은 작용을 하지 않음, 따라서 사이펀의 최대높이의 식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 계산
위의 공식과 같이 첫 번째 데이터를 대입하여 사이펀의 최대높이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고정데이터 =826, =1176
손실계수 , ,
구 분
횟수
(mm)
(mm)
(mm)
(mm)
부압력
()
송수여부
(mm)
고정
H 변화
1
100
855
400
3000
340
○
-7566
2
100
850
400
3000
320
○
-7566
3
100
838
400
3000
340
○
-7566
변화
H 고정
1
124.5
745
400
3000
310
○
-10104
2
134.5
745
400
3000
340
○
-10091
3
144.5
745
400
3000
380
○
-10078
7. 고찰
관 속의 물은 양단의 압력 차에 의해 흐르기 때문에 중간에 높은 곳이 있어도 넘쳐 흐를 수 있다. 중간의 높은 곳이 동수 경사선을 넘을 때는 관 속의 압력은 마이너스로 된다. 그러나 절대 압력이 0 이하로 될 수는 없기 때문에 관이 동수경사선으로부터 대기압에 상당하는 수주 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면 물은 도중에서 끊겨 연속적으로 흐를 수 없게 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높은 곳을 넘어 물을 보내는 관을 사이펀이라 한다. 이번 실험은 이런 사이펀 현상을 이용한 실험이다. 은 A와 B의 수면차의 한계를 뜻하며. 이를 초과하게 되면 사이펀은 더 이상 작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험 시 값이 지나치게 크기
실제로 가 8m를 초과하게 되면 수압의 저하로 공기가 고여서 흐름을 저해하므로 물이 흐르지 않게 되어
사이펀은 작용을 하지 않음, 따라서 사이펀의 최대높이의 식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 계산
위의 공식과 같이 첫 번째 데이터를 대입하여 사이펀의 최대높이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고정데이터 =826, =1176
손실계수 , ,
구 분
횟수
(mm)
(mm)
(mm)
(mm)
부압력
()
송수여부
(mm)
고정
H 변화
1
100
855
400
3000
340
○
-7566
2
100
850
400
3000
320
○
-7566
3
100
838
400
3000
340
○
-7566
변화
H 고정
1
124.5
745
400
3000
310
○
-10104
2
134.5
745
400
3000
340
○
-10091
3
144.5
745
400
3000
380
○
-10078
7. 고찰
관 속의 물은 양단의 압력 차에 의해 흐르기 때문에 중간에 높은 곳이 있어도 넘쳐 흐를 수 있다. 중간의 높은 곳이 동수 경사선을 넘을 때는 관 속의 압력은 마이너스로 된다. 그러나 절대 압력이 0 이하로 될 수는 없기 때문에 관이 동수경사선으로부터 대기압에 상당하는 수주 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면 물은 도중에서 끊겨 연속적으로 흐를 수 없게 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높은 곳을 넘어 물을 보내는 관을 사이펀이라 한다. 이번 실험은 이런 사이펀 현상을 이용한 실험이다. 은 A와 B의 수면차의 한계를 뜻하며. 이를 초과하게 되면 사이펀은 더 이상 작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험 시 값이 지나치게 크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