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 스트레스란
2.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
1) 대처
2) 적응
3) 레질리언스
3.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의 예
1) 대처
2) 적응
3) 레질리언스
(1) 예시 가족 상황
(2) 예시 가족의 역경
(3) 예시 가족이 지각한 레질리언스
가. 가족신념체계
나. 조직유형
다. 의사소통과정
4.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의 중요성
1) 대처
2) 적응
3) 레질리언스
5. 가족레질리언스에 대해서 가족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
1) 가족신념체계
2) 조직유형
3) 의사소통과정
6.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가족 스트레스란
2.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
1) 대처
2) 적응
3) 레질리언스
3.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의 예
1) 대처
2) 적응
3) 레질리언스
(1) 예시 가족 상황
(2) 예시 가족의 역경
(3) 예시 가족이 지각한 레질리언스
가. 가족신념체계
나. 조직유형
다. 의사소통과정
4.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의 중요성
1) 대처
2) 적응
3) 레질리언스
5. 가족레질리언스에 대해서 가족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
1) 가족신념체계
2) 조직유형
3) 의사소통과정
6.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세 번째 유형으로 모호한 스트레스원과 명확한 스트레스원으로 Hunter(1979)의 연구 결과에 의해 설명되어진다. 네 번째 유형으로 수의적 스트레스원과 불수의적 스트레스원에 의한다면, 선택적으로 발생된 사건과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일어난 사건으로 설명된다. 다섯 번째 유형으로 만성적 스트레스원과 급성적 스트레스원으로 장기간 지속되는 비만, 남아선호, 약물중독 등이며, 골절상, 입시에서의 실패 등으로 스트레스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만 단기간 지속되는 사건을 말한다. 마지막 유형으로 누적된 스트레스원과 단독 스트레스원으로 선행된 스트레스 사건이 미처리된 상태에서 또 다른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누적된 스트레스원으로 구분하며, 유발사건이 발생을 쉽게 대처할 수 있는 사건을 단독 스트레스원이라고 구분하였다.
2.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
1) 대처
현대인들은 가족생활 속에서 늘 크고 작은 스트레스 유발상황을 경험 하게 된다.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면 신체적, 심리적인 불균형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를 재정립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하거나 대응하기 위한 대처 방법을 찾는다. Lazarus등(1984)은 대처란 개인이 갖고 있는 자원을 지나치게 초월한다고 평가되는 특정한 내·외부적인 요구를 다루기 위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인지적, 행동적 노력이나 전략으로 정의 하였다.즉 대처는 스트레스 사건의 변화하는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역동적 과정이고 스트레스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목표 지향적 과정이다. 다양한 대처전략들 중에서 정서조절의 연구는 정신분석적 전통의 방어기제와 스트레스 대처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고 그 정의도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다. 그 중에서 가장 오래 연구되어온 접근은 Lazarus등(1991)의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중심적 대처이다. 문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이고 정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된 정서를 다루려는 시도를 말한다. 그런데 이 접근은 상황에 따라서 효과적인 전략이 달라질 수 있고 두 대처 방법 모두 단일 차원내의 상이한 하위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2) 적응
가족 레질리언스의 기원은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가족이 어떻게 스트레스에 적응해 나가고 역경으로부터 되돌아올 수 있는지 설명하는 새로운 구조이다. 초기 레질리언스의 개념은 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두다가 점점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체계와의 상호 작용과 환경의 영향의 맥락에서 가족에게로 좀 더 광범위해지면서 경제적 빈곤, 사망, 질병, 이혼, 자연재해 등과 같이 확대되었으며 이런 역경에 직면했을 때 어떤 가족들은 탄력적으로 역경을 수용하고 가족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회복해나간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국내에서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가족 레질리언스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가족학자들은 높은 위험 상황에서도 적응하는(positive adaptation)가족이 있음을 발견하고, 높은 위험 상황에서도 생존하는 개인 탄력성의 개념과유사하다고 보고 이를 가족 탄력성이라 명명하였다.
3) 레질리언스
레질리언스는 역경으로부터 다시 일어나 강해지고 자원을 더 풍부하게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것은 위기와 도전에 대한 반응으로 인내하고 자정하며, 성장해 가는 역동적 과정이다. Hemandez(1993)은 개인적 특성으로 인하여 레질리언스가 획득된다고 하였고 Werner(1993)등은 개인적 자질이 환경요인과 상호작용하여 탄력성을 갖게 된다는 상호작용 효과를 들고 있다. 레질리언스(resilience또는 resiliency)의사전적인 의미는 되튐, 탄력, 탄성(elasticity), 복원력으로서 ‘상처 받지 않음(invulnerability)과는 구분되며 오히려 레질리언스란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조차 영향을 거의 받지 않거나 덜 받으며 유능감(efficacy)으로 스트레스상황에 대처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가족 레질리언스의 개념은 1990년대부터 개인 레질리언스 이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하였으며 개인에 대한 연구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체계의 영향과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가족에게 적용되었다. 가족 레질리언스는 가족내의 개인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가족을 하나의 전체적인 기능 단위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가족과 관련된 문헌에서 레질리언스의 개념은 합의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학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개념화되고 있다.
레질리언스 연구의 선구자인 Walsh(1998)는 레질리언스의 개념을 ‘취약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통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맞서 ‘잘 견뎌 내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단지 상처입거나 곤궁에 처한 상태를 일컫는 소극적인 의미가 아니라 고통스러운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이를 회복하고 극복한다는 적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족 레질리언스를 McCubbin(1988)은 가족이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이에 적응되고, 변화에 직면하여 이를 저항하도록 돕는 가족의 특징, 차원, 속성이라 보았다. 이러한 정의의 강조점은 스트레스에 직면한 가족의 적응 자질에 초점을 두고 특히 대처, 인내, 생존을 증진시키는 과정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3.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의 예
1) 대처
손자녀 B는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가족의 화합을 도모한다.
“아무래도... 힘들잖아요... 농사일이... 그럼 (할머니, 할아버지가)짜증낼 때도 있어요... 그럴 때는 잔소리 안할만하게 청소를 하거나 설거지하거나.. 트집잡힐 것을 알아서 처리해요.”
“위기상황에 잘 대처해요. 할아버지가 고막 터지셨을 때 제가 병원을 데려 갔었고...”
“돈을 써야하면 얼마나 써야하는지 말해야 하고, 피시방 가면 안 되고, 나쁜 친구들 만나면 안 된다고 해요. (잘 지켜?) 피시방은 가요. 누나는 알고... 할머니 할아버지는 몰라요.(아시면 ?) 뚜껑 열려요. 혼나요. 집안에서 안
2.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
1) 대처
현대인들은 가족생활 속에서 늘 크고 작은 스트레스 유발상황을 경험 하게 된다.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면 신체적, 심리적인 불균형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를 재정립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하거나 대응하기 위한 대처 방법을 찾는다. Lazarus등(1984)은 대처란 개인이 갖고 있는 자원을 지나치게 초월한다고 평가되는 특정한 내·외부적인 요구를 다루기 위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인지적, 행동적 노력이나 전략으로 정의 하였다.즉 대처는 스트레스 사건의 변화하는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역동적 과정이고 스트레스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목표 지향적 과정이다. 다양한 대처전략들 중에서 정서조절의 연구는 정신분석적 전통의 방어기제와 스트레스 대처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고 그 정의도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다. 그 중에서 가장 오래 연구되어온 접근은 Lazarus등(1991)의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중심적 대처이다. 문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이고 정서 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된 정서를 다루려는 시도를 말한다. 그런데 이 접근은 상황에 따라서 효과적인 전략이 달라질 수 있고 두 대처 방법 모두 단일 차원내의 상이한 하위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2) 적응
가족 레질리언스의 기원은 가족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가족이 어떻게 스트레스에 적응해 나가고 역경으로부터 되돌아올 수 있는지 설명하는 새로운 구조이다. 초기 레질리언스의 개념은 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두다가 점점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체계와의 상호 작용과 환경의 영향의 맥락에서 가족에게로 좀 더 광범위해지면서 경제적 빈곤, 사망, 질병, 이혼, 자연재해 등과 같이 확대되었으며 이런 역경에 직면했을 때 어떤 가족들은 탄력적으로 역경을 수용하고 가족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회복해나간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국내에서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가족 레질리언스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가족학자들은 높은 위험 상황에서도 적응하는(positive adaptation)가족이 있음을 발견하고, 높은 위험 상황에서도 생존하는 개인 탄력성의 개념과유사하다고 보고 이를 가족 탄력성이라 명명하였다.
3) 레질리언스
레질리언스는 역경으로부터 다시 일어나 강해지고 자원을 더 풍부하게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것은 위기와 도전에 대한 반응으로 인내하고 자정하며, 성장해 가는 역동적 과정이다. Hemandez(1993)은 개인적 특성으로 인하여 레질리언스가 획득된다고 하였고 Werner(1993)등은 개인적 자질이 환경요인과 상호작용하여 탄력성을 갖게 된다는 상호작용 효과를 들고 있다. 레질리언스(resilience또는 resiliency)의사전적인 의미는 되튐, 탄력, 탄성(elasticity), 복원력으로서 ‘상처 받지 않음(invulnerability)과는 구분되며 오히려 레질리언스란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조차 영향을 거의 받지 않거나 덜 받으며 유능감(efficacy)으로 스트레스상황에 대처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가족 레질리언스의 개념은 1990년대부터 개인 레질리언스 이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하였으며 개인에 대한 연구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체계의 영향과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가족에게 적용되었다. 가족 레질리언스는 가족내의 개인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가족을 하나의 전체적인 기능 단위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가족과 관련된 문헌에서 레질리언스의 개념은 합의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학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개념화되고 있다.
레질리언스 연구의 선구자인 Walsh(1998)는 레질리언스의 개념을 ‘취약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통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맞서 ‘잘 견뎌 내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단지 상처입거나 곤궁에 처한 상태를 일컫는 소극적인 의미가 아니라 고통스러운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이를 회복하고 극복한다는 적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족 레질리언스를 McCubbin(1988)은 가족이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이에 적응되고, 변화에 직면하여 이를 저항하도록 돕는 가족의 특징, 차원, 속성이라 보았다. 이러한 정의의 강조점은 스트레스에 직면한 가족의 적응 자질에 초점을 두고 특히 대처, 인내, 생존을 증진시키는 과정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3.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점의 예
1) 대처
손자녀 B는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가족의 화합을 도모한다.
“아무래도... 힘들잖아요... 농사일이... 그럼 (할머니, 할아버지가)짜증낼 때도 있어요... 그럴 때는 잔소리 안할만하게 청소를 하거나 설거지하거나.. 트집잡힐 것을 알아서 처리해요.”
“위기상황에 잘 대처해요. 할아버지가 고막 터지셨을 때 제가 병원을 데려 갔었고...”
“돈을 써야하면 얼마나 써야하는지 말해야 하고, 피시방 가면 안 되고, 나쁜 친구들 만나면 안 된다고 해요. (잘 지켜?) 피시방은 가요. 누나는 알고... 할머니 할아버지는 몰라요.(아시면 ?) 뚜껑 열려요. 혼나요. 집안에서 안
추천자료
(가족역동과상담, 공통) 가족스트레스 이론인 ABC-X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 B, C, X가 ...
[가족역동과상담 4학년] 가족스트레스 이론인 ABC-X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 B, C, X가 ...
[가족역동과상담 4학년] 가족레질리언스의 주요 개념인 (1) 가족신념체계, (2) 조직유형, (3)...
(가족역동과상담, 공통) 가족 스트레스 이론에서 나오는 ABC-X 모델에 대하여 A, B, C, X이 ...
[2023 가족역동과상담] 가족 스트레스 이론에서 나오는 ABC-X 모델에 대하여 A, B, C, X이 무...
가족역동과상담
(가족역동과상담 4학년) 가족 스트레스 이론에서 나오는 ABC-X 모델에 대하여 A, B, C, X이 ...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가족역동과상담, 공통) 1. 가족 스트레스 연구에서 긍정적 관...
2024년 1학기 가족역동과상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가족 스트레스 연구, 가족레질리언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