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사항
2. History Taking
3. Physical Examination(신체검진)
4. 욕창, 낙상, 통증 사정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투약, 처치
6. 간호과정
7. Self-Study
8. 참고문헌
2. History Taking
3. Physical Examination(신체검진)
4. 욕창, 낙상, 통증 사정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투약, 처치
6. 간호과정
7. Self-Study
8. 참고문헌
본문내용
em List)>
문제 확인 일자
문제
문제 해결 일자
21.10.31
조절되지 않는 포타슘 수치
21.10.31
조절되지 않는 인 수치
21.10.31
조절되지 않는 나트륨 수치
21.10.29
지시 불이행
21.10.27
욕창 위험
21.10.12
오른쪽 골반 통증
21.10.16
낙상 위험
21.10.12
고열
21.10.27
피부손상 위험(기저귀 착용, 침상안정)
21.10.12
전신허약
21.10.31
Hemoglobin 수치 저하
21.10.29
영양불균형
21.10.12
조절되지 않는 혈당
<문제 확인 및 해결 과정(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1 신기능 저하 및 지식 부족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자료수집
<객관적 자료>
- CKD stage 5
검사내용
10/16
10/31
11/2
Sodium
127▼
110▼
112▼
Potassium
4.7
7.2▲
5.8▲
Chloride
90▼
94▼
96▼
Phosphorus
2.3▼
10.6▲
6.0
- 2021.3.9. AKI 진단받고, PCN inserction과 DJ catheter inserction
2021.7.27. AKI on CKD진단
2021.8.12.부터 일주일에 2번 PERM catheter를 통해 투석 시행
10/31 Potassium 급격한 상승으로 응급투석
양쪽 하지 부종 관찰됨.
lasix 40mg, ketosteril 800mg, mytonin 25mg, Kalimate powd 5g, Lowpota susp 5g, Renvela 800mg 복용 중.
토마토 주스를 먹는 것을 간호사가 목격하였지만, 안먹었다고 하심.
10/31일 아침, 점심 식사 안하고, 저녁으로 우유 2팩 드심.
11/1 아침 1/5드시고, 점심으로 우유 1팩 드심.
<주관적 자료>
“입맛이 없어요.”
“일요일(31일)에는 정말 죽을 뻔 했어,,,”
집에서 감과 양념갈비를 가져와서 먹었다고 보호자가 말함.
“난 주스 안먹었고, 일절 아무것도 안먹어요”
“밥을 못먹겠어요”
“감은 먹어도 괜찮지 않아요?.”
“투석 이거 하기가 싫어... 조금만 빼줘.. 기운이 없어”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전해질(Na, K, P, Cl)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전해질 불균형 시 생기는 문제점을 3가지 이상 말로 표현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Na, K, P, Cl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한다.
3. 대상자는 1일 이내에 투석 식이에 대해 이해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다.
4. 대상자는 1일 이내에 먹어도 괜찮은 음식과 그렇지 않은 음식을 구분할 수 있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4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확인한다.
매일 I/O를 측정한다.
매일 같은 체중계로 체중을 측정한다.
매일 혈중 전해질(Na, K, P, Cl)수치를 측정한다.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면 레닌방출이 증가하고 신장의 고나류증진을 위해 혈압이 상승한다. 부정맥, 혈압상승, 빈호흡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장 기능 저하에 의해 나트륨 배설이 감소하고 체내 수분 보유량 또한 증가한다. 이는 부종, 고혈압, 심부전을 야기할 수 있다.
신장 기능 저하로 체내 수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이 증가한다.
신장으로 혈류장애를 일으키는 여러 요인에 근거하여 전해질 수치의 변화는 혈장 상실, 저혈량증, 쇼크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lasix 40mg, ketosteril 800mg, mytonin 25mg, Kalimate powd 5g, Lowpota susp 5g, Renvela 800mg)
칼륨을 낮추기 위해 배뇨를 도와주는 Lasix, mytonin와 고칼륨혈증치료제인 Kalimate powd와 Lowpota susp를 복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산을 낮추기 위해 고인산혈증 치료제인 Renvela을 사용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투석 식이에 대해서 교육한다.
● 외식할 때 주의사항
국물과 양념장은 소량만
냉면과 메밀국수는 인과 칼륨이 높음
주문시 소금 넣지 않도록
피자, 햄버거, 전골, 찌개류는 염분량이 많아 가급적 주의
● 혈액 투석 환자의 1일 식단
열량 1840kcal, 단백질 63g, 염분(소금) 3.6g, 칼륨 1802mg, 인 998mg
● 식이요법
단백질 : 하루에 4토막 저도가 적당
수분제한
● 수분섭취와 갈증을 조절하는 방법
짜게 먹지 않기(국물 섭취 줄이기)
물 보다는 얼음 조각을 입안에 넣고 천천히 녹여먹기
찬물로 입안을 헹군 후 뱉어내기
껌을 씹으면 입안이 마르지 않아 수분 섭취를 줄일 수 있음
실내 습도를 높여 건조하지 않도록
전해질 불균형 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교육한다.
● 나트륨 증가 > 혈압상승, 체중증가로 혈관과 신장, 심장 부담
● 칼륨 증가 > 근육마비, 부정맥, 심장마비
● 인 증가 > 가려움증, 골다공증, 골연화증→뼈의 약화,
>부갑상샘 기능 항진증, 심혈관계 합병증
만성신부전 환자의 자기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 자기관리 원칙
체중이 많이 늘지 않도록 수분섭취에 조심하기
체중계와 혈압계를 준비하여 매일 체중과 혈압을 측정
혈액투석 식사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함
복용하는 약을 상세히 알고 처방대로 잘 복용하기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휴식을 적당히 하기
규칙적인 배변을 보도록 노력하고 변비가 생겼을 경우 의사와 상의
모든 감염에 주의하기
만성신부전환자는 체내 수분 보유량을 감소키기 위해 나트륨 제한, 수분제한 식이를 한다. 또한, 체내 칼륨의 과도한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하루 60~70mEq로 칼륨섭취 제한을 권장한다.
2. 칼륨 수치가 증가하면 주로 손, 발이나 입술이 저린 증상이 나타나거나,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부정맥이 나타나 심장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인이 축적되면 신장이 인을 몸밖으로 배출하는 능력이 적어져, 혈액 내 인수치가 높아지고 칼슘 수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 칼슘 수치를 올리기 위해 뼈에서 칼슘이 혈액으로 녹아 나와 혈관내 침착되거나, 피부 밑에 가라앉아 간지러움이 나타나고 관절에 침착되어 관절통을 일으킬 수 있다.
3. 만성신부전 환자는 수분과 노폐물을 배출하는 신장
문제 확인 일자
문제
문제 해결 일자
21.10.31
조절되지 않는 포타슘 수치
21.10.31
조절되지 않는 인 수치
21.10.31
조절되지 않는 나트륨 수치
21.10.29
지시 불이행
21.10.27
욕창 위험
21.10.12
오른쪽 골반 통증
21.10.16
낙상 위험
21.10.12
고열
21.10.27
피부손상 위험(기저귀 착용, 침상안정)
21.10.12
전신허약
21.10.31
Hemoglobin 수치 저하
21.10.29
영양불균형
21.10.12
조절되지 않는 혈당
<문제 확인 및 해결 과정(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1 신기능 저하 및 지식 부족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자료수집
<객관적 자료>
- CKD stage 5
검사내용
10/16
10/31
11/2
Sodium
127▼
110▼
112▼
Potassium
4.7
7.2▲
5.8▲
Chloride
90▼
94▼
96▼
Phosphorus
2.3▼
10.6▲
6.0
- 2021.3.9. AKI 진단받고, PCN inserction과 DJ catheter inserction
2021.7.27. AKI on CKD진단
2021.8.12.부터 일주일에 2번 PERM catheter를 통해 투석 시행
10/31 Potassium 급격한 상승으로 응급투석
양쪽 하지 부종 관찰됨.
lasix 40mg, ketosteril 800mg, mytonin 25mg, Kalimate powd 5g, Lowpota susp 5g, Renvela 800mg 복용 중.
토마토 주스를 먹는 것을 간호사가 목격하였지만, 안먹었다고 하심.
10/31일 아침, 점심 식사 안하고, 저녁으로 우유 2팩 드심.
11/1 아침 1/5드시고, 점심으로 우유 1팩 드심.
<주관적 자료>
“입맛이 없어요.”
“일요일(31일)에는 정말 죽을 뻔 했어,,,”
집에서 감과 양념갈비를 가져와서 먹었다고 보호자가 말함.
“난 주스 안먹었고, 일절 아무것도 안먹어요”
“밥을 못먹겠어요”
“감은 먹어도 괜찮지 않아요?.”
“투석 이거 하기가 싫어... 조금만 빼줘.. 기운이 없어”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전해질(Na, K, P, Cl)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전해질 불균형 시 생기는 문제점을 3가지 이상 말로 표현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Na, K, P, Cl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한다.
3. 대상자는 1일 이내에 투석 식이에 대해 이해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다.
4. 대상자는 1일 이내에 먹어도 괜찮은 음식과 그렇지 않은 음식을 구분할 수 있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4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확인한다.
매일 I/O를 측정한다.
매일 같은 체중계로 체중을 측정한다.
매일 혈중 전해질(Na, K, P, Cl)수치를 측정한다.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면 레닌방출이 증가하고 신장의 고나류증진을 위해 혈압이 상승한다. 부정맥, 혈압상승, 빈호흡의 증상이 나타난다.
신장 기능 저하에 의해 나트륨 배설이 감소하고 체내 수분 보유량 또한 증가한다. 이는 부종, 고혈압, 심부전을 야기할 수 있다.
신장 기능 저하로 체내 수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이 증가한다.
신장으로 혈류장애를 일으키는 여러 요인에 근거하여 전해질 수치의 변화는 혈장 상실, 저혈량증, 쇼크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lasix 40mg, ketosteril 800mg, mytonin 25mg, Kalimate powd 5g, Lowpota susp 5g, Renvela 800mg)
칼륨을 낮추기 위해 배뇨를 도와주는 Lasix, mytonin와 고칼륨혈증치료제인 Kalimate powd와 Lowpota susp를 복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산을 낮추기 위해 고인산혈증 치료제인 Renvela을 사용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투석 식이에 대해서 교육한다.
● 외식할 때 주의사항
국물과 양념장은 소량만
냉면과 메밀국수는 인과 칼륨이 높음
주문시 소금 넣지 않도록
피자, 햄버거, 전골, 찌개류는 염분량이 많아 가급적 주의
● 혈액 투석 환자의 1일 식단
열량 1840kcal, 단백질 63g, 염분(소금) 3.6g, 칼륨 1802mg, 인 998mg
● 식이요법
단백질 : 하루에 4토막 저도가 적당
수분제한
● 수분섭취와 갈증을 조절하는 방법
짜게 먹지 않기(국물 섭취 줄이기)
물 보다는 얼음 조각을 입안에 넣고 천천히 녹여먹기
찬물로 입안을 헹군 후 뱉어내기
껌을 씹으면 입안이 마르지 않아 수분 섭취를 줄일 수 있음
실내 습도를 높여 건조하지 않도록
전해질 불균형 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교육한다.
● 나트륨 증가 > 혈압상승, 체중증가로 혈관과 신장, 심장 부담
● 칼륨 증가 > 근육마비, 부정맥, 심장마비
● 인 증가 > 가려움증, 골다공증, 골연화증→뼈의 약화,
>부갑상샘 기능 항진증, 심혈관계 합병증
만성신부전 환자의 자기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 자기관리 원칙
체중이 많이 늘지 않도록 수분섭취에 조심하기
체중계와 혈압계를 준비하여 매일 체중과 혈압을 측정
혈액투석 식사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함
복용하는 약을 상세히 알고 처방대로 잘 복용하기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휴식을 적당히 하기
규칙적인 배변을 보도록 노력하고 변비가 생겼을 경우 의사와 상의
모든 감염에 주의하기
만성신부전환자는 체내 수분 보유량을 감소키기 위해 나트륨 제한, 수분제한 식이를 한다. 또한, 체내 칼륨의 과도한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하루 60~70mEq로 칼륨섭취 제한을 권장한다.
2. 칼륨 수치가 증가하면 주로 손, 발이나 입술이 저린 증상이 나타나거나,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부정맥이 나타나 심장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인이 축적되면 신장이 인을 몸밖으로 배출하는 능력이 적어져, 혈액 내 인수치가 높아지고 칼슘 수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 칼슘 수치를 올리기 위해 뼈에서 칼슘이 혈액으로 녹아 나와 혈관내 침착되거나, 피부 밑에 가라앉아 간지러움이 나타나고 관절에 침착되어 관절통을 일으킬 수 있다.
3. 만성신부전 환자는 수분과 노폐물을 배출하는 신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