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뇌내출혈, 간경화증 케이스스터디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뇌내출혈, 간경화증 케이스스터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성명
2. 연령
3. 성별
4. 주소
5. 전화번호
6. 보호자성명
7. 주소
8. 알레르기, 약물
9. 입원일자
10. 의학진단명
11. 정보제공자
12. 현재의 건강문제(발병시부터 현재까지의 병력 포함)

Ⅱ.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개인력
1) 이름
2) 나이/성별
3) 자녀
4) 입원일
5) 진단명
6) 직업
7) 교육정도
8) 발병일
9) 최근 투약상태
10) 음주
11) 흡연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가족력
4) 신체검진
3. 간호력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치료 및 경과
1) 간호과정 적용
2) 목표
3) 계획
4) 수행
5) 평가
6) 과학적 근거

Ⅲ. 천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전반적 사정
1) 일반적 사정
2) 현 병력
3) 건강 관리 양상
2. 건강 사정
1) 신체적 사정
2) 영양 사정
3) 배설 상태
4) 활동-운동 상태
5) 수면-휴식 상태
6) 인식-지각 상태
7) 아동의 성격
8) 가족과의 관계
9) 간호 과정

Ⅳ. 당뇨병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자료수집
1) 입원일
2) 진단명
3) 성별/나이
4) 학력
5) 체격
6) 활력증후
7) 주증상
8) 과거력
9) 현병력
10) 처치
2. 진단적 검사
1) Chest P-A 검사 결과
2) E.K.G 검사 결과
3) Chest P-A 검사 결과
3. 간호과정

Ⅴ.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신체사정
4) 기능적 건강양상의 사정
2. 진단적 검사 및 치료계획
1) 식이
2) 진단성 계획
3) 임상검사

Ⅵ. 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사정
1) 일반적 배경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약물
2. 간호진단
1) 객담생성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2) 객담배출 및 코막힘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위험성
3) 많은 양의 땀,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Ⅶ. 뇌내출혈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일반정보
1) 환자소개
2) 입원시 정보
3) 건강력
2. 간호진단
1) 객담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의료장비(호흡기), foley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 부동/부종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Ⅷ. 간경화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Personal History
1) 환자이름
2) 병실
3) 나이
4) 성별
5) 가족사항
6) 종교
7) 직업
8) 입원날짜
9) 진단명
10) 면담날짜
11) 활력증후
12) 키
13) 체중
2. Health History
1) 주호소
2) 현병력
3) 과거력(PHx)
3. Nursing Process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증
*PCO2 감소 : 심인성 쇼크, 심근 경색증
*Bicarbonate(HCO3-) 감소 : 대사성 산증이나 호흡성 알칼리증에 대한 보상
*Protein, urine 증가 : 신염, 네프로제, 요로결석, 급성감염교원병
*(CCR)Creatinine clearance 감소 : 분당 10ml/min 이하로 감소하면 심각한 신손상 의미
Ⅵ. 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사정
1) 일반적 배경
이름 : 김 XX 연령 : 2개월 성별 : 남
진단명 : Bronchiolitis 입원일 : 8. 27 정보제공자 : 어머니
분만형태 : C/SEC 출생시 체중 : 3.9kg
복위/흉위/두위 : 46/41/40 입원시 체중/신장 : 5.8/57
2) 건강력
(1) 성장발달과업
영아기 : 태어나서 약 2세까지를 영아기로 보는데 영아기의 2년이라는 짧은 시기에 무력해 보이는 아기는 하나의 독립된 존재로서 성장한다. 급속한 신체발달로 만 2세가 되면 혼자서 뛰어다닐수 있다.
▶ 김XX 환아는 매우 순한 편이고 보채는 일이 거의 없다. 정서상태는 평소에 안정적이었으나 병원입원 후부터 짜증이 좀 늘었으나 그다지 큰 변화는 없다.
(2) 가족력
아버지께서 고혈압이 있으시다.
(3) 과거력 : 없음
(4) 주호소 : 기침
(5) 현병력
① 발병당시 ~ 입원
40일된 남아는 내원 3일전 기침증상이 있다가 내원 2일전부터 가래를 동반한 기침증상이 있었으며 열은 없었다. 내원일에도 증상호전없이 서산의료원 들러 입원치료 권유받고 ER통해 입원 하였다.
② 입원당시 ~ 사정당시
입원시 V/S 은 HR 148회, 호흡 42회, 체온 37.1도로 안정적이었다.
당시 숨을 쉴때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심했으며 부모님들 걱정하시며 불안해 하셨다.
가습기를 적용해 주었고 Suction시행시 연노란색의 분비물이 배액되었다. 기침간간히 하였고 호흡곤란은 없었다.
8월 28일 : V/S은 156 - 58 - 36.5 로 약간의 빈호흡이 있었다.
코막힘은 여전했고 그르렁거리는 호흡과 기침간간히 있었다. 현재 분유 수유중이고 묽은변이 관찰되었다.
8월 29일 : V/S은 150 - 45 - 37도로 안정적이었고 기저귀 발진생겨 통풍건조 격려하였다. 기저귀발진 연고를 바르도록 하였고 분비물 소량씩 흡입하였다. Fluid 제거하고 Heparin Cap 으로 교체하였다.
3) 신체검진
(1) 코
외비공의 개폐여부 : 개방되어 있음
분비물의 종류 : 콧물 양 : 소량
감기유무 : Bronchiolitis로 감기증상 있음
코피 : 없음 코막힘 : 약간의 코막힘 있음
(2) 목
선(비대촉진시 이동여부) : 비대되지 않음
인후통 : 확인불가
감염 : 세기관지에 염증 있음
부종 : 없음 경직 : 없음
(3) 호흡기계
가슴 : 약간의 견축 보임
청진시 rale이 호기시 심하게 들림. 겉으로 보기에도 호흡음이 거칠음
호흡곤란 : 기도내의 과도한 분비물로 인해 호흡곤란 약간씩 나타남
감염 : 세기관지의 염증
4) 약물
① unasyn
효능 : B-lactamase 저항성 ampicilline
용량 : 100~200mg/kg/day in 3~4 divided IM, IV
부작용 : 주사시 통증, 설사, 황달
② Ambroxol syr
효능 : 용해성 거담제
용량 : 1.2~1.6mg/kg/day in 3 divided IM, IV
부작용 : 설사, 변비, 발진, 구내마비감, 팔의 마비감
금기 : 첫 임신부
③ Formoterol dry syr
효능 : 기관지 확장제
용량 : 2mcg/kg bid or tid
부작용 : 심계항진, 빈맥, 진전, 두통, 열
④ Roxitromycin tab
효능 : 반합성 macrolide 계 항균제
용량 : 2.5~5mg/kg bid
부작용 : 알레르기 반응, 발진, 두드러기, 신경독성
⑤ Ventolin
효능 : B-selective adrenergic agent
용량 : 간헐투여 - 2.5~5mg을 N/S로 희석 2~4mg 으로 만든후 nebulizer로 10분에 걸쳐 흡입
부작용 : 빈맥, 심계항진, 말초혈관확장, 진전, 오심, 구토, 식욕증가
금기 : 교감신경 흥분성 amine류에 과민 체질
주의 : 서방정은 절단 및 분말로 복용해서는 안되며 정제그대로 복용
⑥ Hydrocortisone valerate cream
효능 : topical corticosteroid
용량 : 1일 2~3회 환부에 도포
2. 간호진단
1) 객담생성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객관적 근거>
Suction 시행시 연노락색의 객담 배출된다.
청진시 산재성 나음과 악설음이 들린다.
호흡이 평균 40회로 약간의 빈호흡을 보인다.
<주관적 근거>
“ 숨쉬는 것이 힘들어 보여요 ” “ 코에 콧물이 자주 고여요 ”
목표/기대결과
환자는 편안히 호흡을 유지한다. /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①8시간 간격으로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②지시대로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자가 투여하도록 교육한다.
③수분공급,흉부물리요법, 기침을 통해 분비물 배출을 증진시킨다.
④의사처방없이 항히스타민제, 울혈제거제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①기도가 적절히 개방되지 못하면 호흡곤란으로 호흡수가 늘어나게 된다.
②항생제사용은 제2의 감염을 예방해 준다.
③수분공급은 환자의 탈수를 막아주고 흉부물리요법은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해준다.
④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은 분비물을 건조시키게 하는 원인이 된다.
간호중재
①활력증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호흡수가 평균 40회로 약간 빠른 호흡을 보여주었다.
②항생제로 Roxitromycin tab를 사용하였고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③적절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지시하였고 손을 컵모양을로 오므리고 아이의 등을 2~3분동안 두들겨 주도록 교육하였다.
④의사처방없이 다른약의 사용을 금하도록 하였다.
2) 객담배출 및 코막힘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위험성
<객관적 자료> .호흡양상 : 40회/분의 정도로 약간의 빈호흡을 보이고 수면시에 호흡음이 거칠게 들린다.
. 객담 : 기침을 할때 그르렁하는 가래소리 들리나 잘
  • 가격9,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