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려고/하러 동사
예쁘려고(x), 아름다우러(x) - ‘-려, -러’가 올 수 없으므로 형용사
⑨ 명령형 어미 ‘-어라’와 청유형 어미 ‘-자’와 결합할 수 있으면 동사,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이다.
예) 먹어라/먹자, 해라/하자 동사
예뻐라/예쁘자 (x) - ‘-어라’, ‘-자’가 올 수 없으므로 형용사
⑩ 일반적으로 동사는 양태부사와, 형용사는 정도부사와 어울린다.
예) 잘 뛴다(O) / 매우 뛴다(X)
잘 빠르다(X) / 매우 빠르다(O)
그러나 ‘시간이 매우 모자랐다.’, ‘다리가 매우 저렸다.’와 같이 일부 자동사에는 정도 부사가 어울릴 수 있다.
⑪ 동사는 알림, 물음, 시킴, 권유의 범주를, 형용사는 시킴과 권유를 보이지 않는다.
예) 읽는다, 읽느냐, 읽어라, 읽자 동사
붉다,
예쁘려고(x), 아름다우러(x) - ‘-려, -러’가 올 수 없으므로 형용사
⑨ 명령형 어미 ‘-어라’와 청유형 어미 ‘-자’와 결합할 수 있으면 동사,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이다.
예) 먹어라/먹자, 해라/하자 동사
예뻐라/예쁘자 (x) - ‘-어라’, ‘-자’가 올 수 없으므로 형용사
⑩ 일반적으로 동사는 양태부사와, 형용사는 정도부사와 어울린다.
예) 잘 뛴다(O) / 매우 뛴다(X)
잘 빠르다(X) / 매우 빠르다(O)
그러나 ‘시간이 매우 모자랐다.’, ‘다리가 매우 저렸다.’와 같이 일부 자동사에는 정도 부사가 어울릴 수 있다.
⑪ 동사는 알림, 물음, 시킴, 권유의 범주를, 형용사는 시킴과 권유를 보이지 않는다.
예) 읽는다, 읽느냐, 읽어라, 읽자 동사
붉다,
키워드
추천자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시제, 상, 서법에 대해 설명해 보십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
[인문과학]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시제 상 서법에 대해 설명해 보십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을 나열하고 설명해 보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한국어 자모의 소리 나는 방식을 알아보고,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 및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_현대국어에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의 실태와 유형, 그리고 배경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한국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 및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15/15점]단형피동과 장형피동의 의미차이에 대해서 기술하시오.-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