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I. 가설공사, 토공 및 흙막이 공사
Ⅱ. 지정 및 기초공사
Ⅲ. 철근콘크리트 공사
Ⅳ. 강구조공사
Ⅴ. 조적공사・석공사・목공사
Ⅵ. 미장 및 타일공사・방수 및 도장공사
Ⅶ. 유리 및 창호공사・커튼월공사・수장 및 그 밖의 공사
Ⅷ. 건축시공 총론
I. 가설공사, 토공 및 흙막이 공사
Ⅱ. 지정 및 기초공사
Ⅲ. 철근콘크리트 공사
Ⅳ. 강구조공사
Ⅴ. 조적공사・석공사・목공사
Ⅵ. 미장 및 타일공사・방수 및 도장공사
Ⅶ. 유리 및 창호공사・커튼월공사・수장 및 그 밖의 공사
Ⅷ. 건축시공 총론
본문내용
한 대형 시스템화 거푸집
터널폼
벽체와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한번에 가능하게 하기 위해 ㄱ자, ㄷ자형으로 일체화 시킨 거푸집
플라잉폼
테이블폼이라고도 하며 거푸집 널, 장선, 멍에,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수평, 수직 이동이 가능한 바닥전용 거푸집
와플폼
무량판 구조에 2방향 장선바닥판 구조가 가능하도록 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알루미늄 거푸집
장점
①내식성이 크다.
②공기가 단축된다.
③시공면이 우수하다.
④전용횟수가 많다.
단점
①숙련된 작업자 필요
②초기비용이 비싸다.
③작업적용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무지주(Non Support)공법
보우빔
길이조절 안됨
페코빔
길이조절 가능
2-3. 거푸집 부속재료
거푸집 부속재료
①스페이서
: 철근 피복두께 유지 위해 벽, 바닥 철근에 대어주는 것
②세퍼레이터
: 벽 거푸집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 간격유지하는 격리재
③폼타이
: 거푸집 간격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막는 긴장재
④칼럼밴드
: 기둥 거푸집의 고정 및 측압버팀용, 주로 합판 거푸집에 사용
⑤박리재
: 거푸집의 탈형과 청소 용이 위해 합판 거푸집 표면에 바름
⑥와이어 클리퍼
: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⑦인서트
: 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 고정 위해 매입하는 철물
2-4. 거푸집의 시공순서
RC건축물 철근 조립순서
기초 → 기둥 → 벽 → 보 → 바닥
3. 콘크리트 재료
3-1. 시멘트 분류
포틀랜드시멘트 종류(5가지)
1종
2종
3종
4종
5종
보통
중용열
조강
저열
내황산염
시멘트 종류 고르기
① 조기강도가 크고 수화열이 많으며 저온에서 저하율이 낮다. 긴급공사, 한중공사에 쓰임:
조강시멘트
② 석탄 대신 중유를 원료로 쓰며, 제조시 산화철 섞이지 않도록 주의. 미장재, 인조석 원료:
백색시멘트
③ 내식성 좋으며 발열량 및 수축률 작음. 구조재, 방사성 차단: 중용열시멘트
3-2. 시멘트 일반사항
시멘트 주요 화합물 특징 및 순서
① C2S(규산2석회): 4주 이후의 장기강도에 기여
② C3S(규산3석회): 4주 이전의 조기강도에 기여
③ C3A(알루민산3석회): 수화작용 가장 빠름
④ C3AF(알루민산철4석회): 수화작용 느림, 강도기여도 적음.
수화작용 빠른 순서: ③ - ② - ④ - ①
시멘트 재료 시험
1. 비중시험 :
2. 분말도시험
① 표준체 거름 시험
② 블레인 공기투과장치 시험
3. 응결시간측정 시험(영향요소 3가지)
C3A
시멘트 분말도
온도
습도
↑
↑
↑
↓
응결시간 ↑
4. Autoclave 팽창도 =
3-3. 골재 일반사항
골재요구조건 표범견입실
①표면이 거칠고 둥근 것
②견고할 것
③입도가 적당할 것
④실적률이 클 것
시멘트 주요 화합물(용어와 설명)
흡수량
: 표면건조내부포수상태의 골재 중 포함되는 물의 양
함수량
: 습윤상태의 골재 내외부에 함유된 전체 물의 양
유효흡수량
: 표면건조내부포수상태의 콘크리트에서 기건 상태의 물의 양을 뺀 것
표면수량
: 골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량
골재의 함수상태, 비중 및 흡수율
절건비중
표건비중
겉보기비중
흡수율
A : 절건질량, B : 표면건조내부포수질량, C : 수중질량(습윤)
밀도 단위 : t/m3, g/cm3, 비중 단위 : 단위 없음
공극률(=간극률)(%)=100-실적률(%)
실적률(%) =
잔골재율(S/a) :
조립률(FM) = 10개의 체에서 거르고 각 체에 남아있는 질량 누적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값
목적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골재의 입도 판정
알칼리골재반응 정의 및 대책(3가지)
정의 : 시멘트의 알칼리성분과 골재의 실리카 성분이 만나 지속적으로 수분을 흡수팽창하는 현상
①알칼리성분 0.6%이하시멘트 사용
②무해한골재사용
③양질의 혼화재 사용
3-4. 혼화재료 : 혼화재, 혼화제
혼화재료
혼화재
정의
시멘트량의 5%이상 사용되어 배합계산에 포함
종류
①포졸란
②실리카흄
③플라이애시
④고로슬래그
Fly ash
특징
①동결융해저항성 증대
②시공연도 개선
③재료분리현상 감소
④단위수량 감소
①
규소합금 제조과정 중 부산물로 생성되는 미세 입자로써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시 사용되는 이산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화재
착색제
색깔
산화제 2철
크롬산 바륨
산화크롬
이산화망간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갈색
혼화제
정의
시멘트량의 1%이하 사용되어 배합계산에 포함되지 않고 약품적성질만 갖음
종류
AE제, 방청제, 유동화제, 지연제, 발포제, 기포제
AE제
공기연행제로 미세한 기포를 고르게 분포시킨다.
방청제
염화물에 대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한다.
기포제
기포작용으로 인해 충전성을 개선하고 중량을 조절한다.
인트랩트 에어, 인트레인드 에어
1. 인트랩트 에어 : 일반콘크리트에 자연적으로 1~2% 생성된 기포
2. 인트레인드 에어 : AE제에 의해 생성된 0.025~0.25mm 지름의 미세기포
3. AE제 Entrained Air의 목적 동시재단(=플라이애시)
①동결융해저항성증대
②시공연도 개선
③재료분리현상감소
④단위수량감소
3-5. 콘크리트 배합설계
굵은골재 최대치수
일반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단면이 큰 콘크리트
① 25mm
② 40mm
③ 40mm
콘크리트 슬럼프 손실 원인(2가지)
① 증발에 의한 자유수감소
② 콘크리트 수화작용
용어쓰기
반죽질기
① 수량에 의해 변화하는 콘크리트 유동성의 정도
시공연도
② 컨시스턴시에 의한 치어붓기 난이도 정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마감성
③ 마감성의 난이를 표시하는 성질
성형성
④ 거푸집 등의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분리 일어나지 않은 성질
반죽질기 측정방법 3가지 - 슬플비
① 슬럼프시험
② 플로우시험
③ 비비시험
4. 콘크리트 시공, 각종 콘크리트
4-1. 콘크리트 비빔, 운반, 타설(1)
용어정의
다시비빔
응결이 시작되지 않은 콘크리트를 다시 비빔
되비빔
응결이 시작된 콘크리트를 다시 비빔
헛응결
시멘트에 물을 주입하고 10~20분 후에 굳어졌다 다시 묽어지고 순조롭게 경화되는 현상
슬럼프손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반죽질기가 감소하는 현상
슬럼프플로우
슬럼프시험 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
블리딩
콘크리트 타설시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물이
터널폼
벽체와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한번에 가능하게 하기 위해 ㄱ자, ㄷ자형으로 일체화 시킨 거푸집
플라잉폼
테이블폼이라고도 하며 거푸집 널, 장선, 멍에,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수평, 수직 이동이 가능한 바닥전용 거푸집
와플폼
무량판 구조에 2방향 장선바닥판 구조가 가능하도록 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알루미늄 거푸집
장점
①내식성이 크다.
②공기가 단축된다.
③시공면이 우수하다.
④전용횟수가 많다.
단점
①숙련된 작업자 필요
②초기비용이 비싸다.
③작업적용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무지주(Non Support)공법
보우빔
길이조절 안됨
페코빔
길이조절 가능
2-3. 거푸집 부속재료
거푸집 부속재료
①스페이서
: 철근 피복두께 유지 위해 벽, 바닥 철근에 대어주는 것
②세퍼레이터
: 벽 거푸집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 간격유지하는 격리재
③폼타이
: 거푸집 간격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막는 긴장재
④칼럼밴드
: 기둥 거푸집의 고정 및 측압버팀용, 주로 합판 거푸집에 사용
⑤박리재
: 거푸집의 탈형과 청소 용이 위해 합판 거푸집 표면에 바름
⑥와이어 클리퍼
: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⑦인서트
: 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 고정 위해 매입하는 철물
2-4. 거푸집의 시공순서
RC건축물 철근 조립순서
기초 → 기둥 → 벽 → 보 → 바닥
3. 콘크리트 재료
3-1. 시멘트 분류
포틀랜드시멘트 종류(5가지)
1종
2종
3종
4종
5종
보통
중용열
조강
저열
내황산염
시멘트 종류 고르기
① 조기강도가 크고 수화열이 많으며 저온에서 저하율이 낮다. 긴급공사, 한중공사에 쓰임:
조강시멘트
② 석탄 대신 중유를 원료로 쓰며, 제조시 산화철 섞이지 않도록 주의. 미장재, 인조석 원료:
백색시멘트
③ 내식성 좋으며 발열량 및 수축률 작음. 구조재, 방사성 차단: 중용열시멘트
3-2. 시멘트 일반사항
시멘트 주요 화합물 특징 및 순서
① C2S(규산2석회): 4주 이후의 장기강도에 기여
② C3S(규산3석회): 4주 이전의 조기강도에 기여
③ C3A(알루민산3석회): 수화작용 가장 빠름
④ C3AF(알루민산철4석회): 수화작용 느림, 강도기여도 적음.
수화작용 빠른 순서: ③ - ② - ④ - ①
시멘트 재료 시험
1. 비중시험 :
2. 분말도시험
① 표준체 거름 시험
② 블레인 공기투과장치 시험
3. 응결시간측정 시험(영향요소 3가지)
C3A
시멘트 분말도
온도
습도
↑
↑
↑
↓
응결시간 ↑
4. Autoclave 팽창도 =
3-3. 골재 일반사항
골재요구조건 표범견입실
①표면이 거칠고 둥근 것
②견고할 것
③입도가 적당할 것
④실적률이 클 것
시멘트 주요 화합물(용어와 설명)
흡수량
: 표면건조내부포수상태의 골재 중 포함되는 물의 양
함수량
: 습윤상태의 골재 내외부에 함유된 전체 물의 양
유효흡수량
: 표면건조내부포수상태의 콘크리트에서 기건 상태의 물의 양을 뺀 것
표면수량
: 골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량
골재의 함수상태, 비중 및 흡수율
절건비중
표건비중
겉보기비중
흡수율
A : 절건질량, B : 표면건조내부포수질량, C : 수중질량(습윤)
밀도 단위 : t/m3, g/cm3, 비중 단위 : 단위 없음
공극률(=간극률)(%)=100-실적률(%)
실적률(%) =
잔골재율(S/a) :
조립률(FM) = 10개의 체에서 거르고 각 체에 남아있는 질량 누적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값
목적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골재의 입도 판정
알칼리골재반응 정의 및 대책(3가지)
정의 : 시멘트의 알칼리성분과 골재의 실리카 성분이 만나 지속적으로 수분을 흡수팽창하는 현상
①알칼리성분 0.6%이하시멘트 사용
②무해한골재사용
③양질의 혼화재 사용
3-4. 혼화재료 : 혼화재, 혼화제
혼화재료
혼화재
정의
시멘트량의 5%이상 사용되어 배합계산에 포함
종류
①포졸란
②실리카흄
③플라이애시
④고로슬래그
Fly ash
특징
①동결융해저항성 증대
②시공연도 개선
③재료분리현상 감소
④단위수량 감소
①
규소합금 제조과정 중 부산물로 생성되는 미세 입자로써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시 사용되는 이산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화재
착색제
색깔
산화제 2철
크롬산 바륨
산화크롬
이산화망간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갈색
혼화제
정의
시멘트량의 1%이하 사용되어 배합계산에 포함되지 않고 약품적성질만 갖음
종류
AE제, 방청제, 유동화제, 지연제, 발포제, 기포제
AE제
공기연행제로 미세한 기포를 고르게 분포시킨다.
방청제
염화물에 대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한다.
기포제
기포작용으로 인해 충전성을 개선하고 중량을 조절한다.
인트랩트 에어, 인트레인드 에어
1. 인트랩트 에어 : 일반콘크리트에 자연적으로 1~2% 생성된 기포
2. 인트레인드 에어 : AE제에 의해 생성된 0.025~0.25mm 지름의 미세기포
3. AE제 Entrained Air의 목적 동시재단(=플라이애시)
①동결융해저항성증대
②시공연도 개선
③재료분리현상감소
④단위수량감소
3-5. 콘크리트 배합설계
굵은골재 최대치수
일반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단면이 큰 콘크리트
① 25mm
② 40mm
③ 40mm
콘크리트 슬럼프 손실 원인(2가지)
① 증발에 의한 자유수감소
② 콘크리트 수화작용
용어쓰기
반죽질기
① 수량에 의해 변화하는 콘크리트 유동성의 정도
시공연도
② 컨시스턴시에 의한 치어붓기 난이도 정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마감성
③ 마감성의 난이를 표시하는 성질
성형성
④ 거푸집 등의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분리 일어나지 않은 성질
반죽질기 측정방법 3가지 - 슬플비
① 슬럼프시험
② 플로우시험
③ 비비시험
4. 콘크리트 시공, 각종 콘크리트
4-1. 콘크리트 비빔, 운반, 타설(1)
용어정의
다시비빔
응결이 시작되지 않은 콘크리트를 다시 비빔
되비빔
응결이 시작된 콘크리트를 다시 비빔
헛응결
시멘트에 물을 주입하고 10~20분 후에 굳어졌다 다시 묽어지고 순조롭게 경화되는 현상
슬럼프손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반죽질기가 감소하는 현상
슬럼프플로우
슬럼프시험 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
블리딩
콘크리트 타설시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물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