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증상 (Symptom)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3 .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4) Medication
5) 간호사정 결과 요약
6) 간호진단
7) 간호과정 적용

4 . 결론 및 제언

5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 결과가 매일 다르며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미술요법, 음악요법을 즐기려고 노력하여 반복해서 질문했을 때 올바르게 대답하시는 모습도 보이셨기 때문에 어느 정도 목표는 달성되었다고 평가되어짐.
7. 간호과정 적용
주관적 자료
- “내려 갈란다”
- “ㅇㅇ야 집에 가자“
- “이거 놔봐라”
객관적 자료
- 보행장애가 있음.
- 억제대 사용을 거부하고 내려오려는 모습 보임.
- 낙상위험사정도구 점수: 55점/ 낙상고위험군
낙상 경험 있음.(4년전)
과거력 : HTN
아달라트오로스 정(혈관확장제), 에나폰 정(삼환계 항우울제), 아디팜 정(항불안제) 복용중임.
간호진단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목표
장기
- 대상자는 입원생활 동안 낙상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을 입지 않는다.
단기
- 5일 이내에 대상자의 침대 난간은 항상 올려 져 있을 것이다.
- 5일 이내에 대상자 주위에 낙상의 위험요인이 없을 것이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과학적 근거
1. 낙상 위험 요인을 사정한다.
1. 선생님과 함께 병실 rounding시 대상자의 침상에 난간이 올려 져 있는지 확인하였고, 수시로 병실에 들러 난간의 상태와 침대고정 장치를 확인하였다.
침대 난간을 올리는 것은 대상자의 낙상을 예방하는 가장 근본적인 치료적 중재방안이다.
2. 보호자와 간병사에게 안전한 환경에 대해 교육한다.
2. 대상자가 혼자 있지 않게 하도록 요양보호사가 가급적 대상자 옆에 있을 것을 설명하였다.
보호자와 간병사가 가장 가까운 지지자이므로 교육하여 간호사가 자리를 비웠을 때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3.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1. 선생님과 함께 병실 rounding시 병실 화장실 상태를 보았고, 화장실 바닥에 물기가 있을 시 여사님께 말하였다.
3-2. 적절한 밝기의 조명을 유지하였다.
3-3.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도록 권유했다.
3-4. 낙상고위험군 표지를 침상에 부착했다.
낙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해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4. 대상자 주변의 모든 위험한 물건을 제거한다.
4. 위험한 물건(볼펜, 가위 등)을 미리 치워 사고를 예방하였다.
폭력을 행사하려 할 때 가까이 있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리 예방하기 위함이다.
5.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5. 병실을 적절한 습도로 유지하고 조명을 낮게 켜고 간호 및 처치에 있어 소수의 사람이 가도록 하였으며 TV를 끄는 등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여 스트레스 및 자극을 줄이기 위함이다.
6. 대상자가 심한 거부반응을 느낄 때 시간을 갖고 다시 시도한다.
6. 대상자는 옷 갈아입기에 거부반응을 보였으나 시간을 갖게 한 뒤 다시 설득하여 옷을 갈아입었다.
시간적 여유를 갖고 설득함으로써 대상자가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평 가
- 대상자와 간병사에게 침대난간을 올리고 있어야 함을 계속적으로 교육했으나 대상자는 난간이 불편하다고 여겨 잘 올리지 않았음.
- 수면을 취할 때는 꼭 난간을 올렸음.
- 낙상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대상자의 안전을 확실히 하기위해 적절한 중재가 계속적으로 필요 할 것으로 보임.
주관적 자료
- “이제 그만 먹을래”
- “움직이기 싫다”
객관적 자료
- 식사를 거의 안 드심. (30%정도)
- 식욕이 없다고 표현함.
- 배변 횟수 : 1회/3~4일
- 수분섭취가 부족함.
간호진단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목표
장기
- 대상자는 배변이 1~2일 간격으로 규칙적이 되도록 한다.
단기
- 대상자는1주일이내 배변 시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 대상자는 1주일이내 규칙적인 배설을 증강시키기 위해 변화된 식단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과학적 근거
1. 배변의 횟수와 특성을 사정한다.
1. 배변의 횟수와 특성을 사정하였다.
⇒ 변비가 있다. (1회/3~4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확한 배변양상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2. 평소의 운동량과 식습관을 사정한다.
2.평소의 운동량과 식습관을 사정하였다.
⇒ 평소에 움직이기 싫어하시며 침상에 있는 모습을 자주 관찰 할 수 있었다.
침상안정과 활동 감소는 변비를 유발하며, 대상자의 운동량이 줄어들었을 때 변비 예방을 위해 최소한의 운동량 증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3. 가능한 한 규칙적인 시간에 화장실에 가도록 한다.
3. 가능한 한 규칙적인 시간에 화장실에 가도록 하였다.
⇒ 배변감이 있을 때 호출을 하거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가능한 화장실에 가도록 격려하였다.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기르기 위함이다.
4. 적절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4. 적절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 두 시간에 한 컵 씩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하였다.
수분 섭취는 변을 묽게 해주고 배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5. 섬유질이 많은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런 음식들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5. 섬유질이 많은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런 음식들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 과류, 얼린 완두콩, 치아씨, 양파, 밀, 키위, 사과 등 섬유질이 많은 음식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가능한 자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고섬유 식이는 대변의 질량과 부피를 증가시켜 장내 이동을 원활하게 하므로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6. 배변하기 쉬운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한다.
6. 배변하기 쉬운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하였다.
⇒ 무릎이 배꼽과 명치 사이에 위치하게 하고 허리를 펴주는 이상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였다.
배변하기 쉬운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좀 더 용이하게 배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평 가
- 대변완화제도 식후 규칙적으로 복용하고 복용 후 한 컵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였음.
- 현재 배변이 1~2일 간격으로 규칙적이게 배설하고 있음.
Ⅴ . 참고문헌
조경숙 외. 최신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6).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대한치매학회 (http://www.dementia.or.kr/)
한국치매가족협회. (http://www.alzza.or.kr)
  • 가격2,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24.05.30
  • 저작시기2017.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