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치매
간호사정
일반정보
입원과정 및 경위
입원 시 임상관찰 정보
개인정보
일상생활정보
과거력
신체 사정
건강요소
과거력
현재 건강상태
알러지
현재 질병
입원계기
보조기구
신체사정
기관별 관찰
조기 치매검사(MMSE)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
낙상 위험군 사정 척도
간호과정
간호진단: 환경 인지장애 증후군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Medicine
경구투약
결론
연구결과
치매
간호사정
일반정보
입원과정 및 경위
입원 시 임상관찰 정보
개인정보
일상생활정보
과거력
신체 사정
건강요소
과거력
현재 건강상태
알러지
현재 질병
입원계기
보조기구
신체사정
기관별 관찰
조기 치매검사(MMSE)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
낙상 위험군 사정 척도
간호과정
간호진단: 환경 인지장애 증후군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Medicine
경구투약
결론
연구결과
본문내용
tia/AD
MMES: 2/30점
왔던 길 계속 되돌아가심
문 잠겼는데 계속 문을 열려고 하심
진단
추가
자료
NANDA(2011) 영역:지각/인지
정의
사람, 장소, 시간, 상황에 대한 지남력이
장기간 상실되어 보호적 환경이 필요한 상태
특성
만성 혼돈 상태, 지속적인 지남력 장애, 집중력 장애, 간단한 지시에 따르지 못함, 추론하지 못함, 사회적 기능의 상실, 질문에 느리게 반응함
관련
요인
치매, 우울, 헌팅톤 병
계획
환경 인지장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목표: 대상자의 지남력이 향상된다
기대결과
간호지시
MMSE 검사 결과가
향상될 것이다.
중재 마지막 날 MMSE 검사를 시행한다.
병원에서 하는 프로그램에 매일 참여하도록 한다.
다른 환자분들과 자주 접촉시켜 대화하게 한다.
대상자는 질문에 같은
대답을 할 것이다.
학생간호사 나를 소개하고 매일 인식시킨다.
매일 자주 현재 날짜, 장소, 시간을 질문하고, 모를 시에는 시계, 달력 등을 보며 강조한다.
중재
수행
결과
매일 MMSE검사를 시행하였다.
점수가 오르지 않았다.
매일 같은질문을 정해놓고 물어보았다.
계속 “몰라” 라고만 대답하였다.
환자 로비에서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하였다.
이야기를 회피하시며 도망 갈려만 하였다.
매일 만날때마다 인사와 소개를 하였다.
관심이 없는 듯 도망갈려만 하였다.
인지능력에 관한 질문을 하였다.
대답은 계속 “몰라”로 하신다.
의사소통할 때, 대상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느린 속도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전달하였다.
내 말을 이해 못하는 듯 엉뚱한 대답을 할 때도 있으셨지만 전체적으로는 대화가 잘 이루어졌다.
평가
평가내용
결과
MMSE 검사 결과가 향상될 것이다.
매일 MMSE에 점수변화가 없어 의미가 없다고 평가함
대상자는 질문에 같은 대답을 할 것이다.
질문을 회피하고 “몰라”로만 대답하여 문제해결 미달성
Medicine
약명
사진
용법/용량
효능/효과
약리작용
부작용
주의사항
스틸녹스
10mg/1일
불면증
중추신경계
현기증/혼동
고령자:
최소 유효용량
로잘탄
12.5mg/1일
고혈압
신장/간
과민반응
저혈압
칼디비타
1정/1일
뼈 발육불량
순환/위
과칼슘증
고칼슘증
마그밀
1g-2g/1일
변비
위
설사/대사장애
고마그네슘
심바스틴
40mg/1일
뇌졸중
근
감각이상
콜레스테롤
에빅사
20mg/1일
알츠하이머
중추신경계
다기능장애/
감염
신장애/
간장애
쎄로켈
1-3회/1일
정신분열병
양극성장애
중추신경계
간장애/
심혈관계/
당뇨
간부전/
신부전
부스파
20mg/1일
불안장애
신장/간
혈압/신경/비충혈 등등...
복합투약
출처: 네이버 건강 의약품 (http://health.naver.com/drug/pillIdentifier.nhn#)
경구투약
구강을 통한 투약
장점
가장 보편적이고 편리한 경로
피부손상을 주지 않아 안전함
경제적
단점
약물의 맛이 좋지 않은 경우 복용하기 힘듬
위점막에 자극을 주어 오심/구토 유발가능
위액으로 약의 흡수를 방해, Retard
지침
1
투약 기본지침 5가지
약, 용량, 시간, 방법, 환자
2
의문이 가는 처방에 대해서 간호사나 의사에게 질문
3
투여하는 약물과 대상자에 대해 할고 있음, 대상자의 진단을 알고 투여하고자 하는 약물이 그 사람의 질병에 적합한지 알아야함
4
약물이 대상자의 상태에 적합한지 알아야함
5
마약과 수면제는 법률의 규제를 받는 것으로 수량을 확인, 보관시에는 반듯이 약장에 넣어 잠궈둔다
6
용기에 표시된 약물만을 사용
7
약물을 투여하기전 입원카드나 팔찌를 확인하거나 대상자가 자신의 이름을 스스로 말하도록 한다
8
어떤 이유로 인해 약물이 투여되지 못했을 때 이유와 함께 투여되지 못한 사실을 기록
9
투약 과오가 발생하면 즉시 책임간호사나 담당간호사에게 보고
투약 방법
1
약카드를 읽고 서랍, 선반, 약봉투에서 약을 꺼낸다(1차확인)
2
약용지의 표지와 약카드의 지시내용을 비교해 본다(2차확인)
3
약이 오염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필요량에 맞게 적확한 양을 준비
4
준비한 약을 카드와 함께 투약카나 쟁반에 놓는다
5
용기의 표지를 다시 확인한 다음 약병, 상자, 약봉투를 제자리에 둔다(3차확인)
6
약준비가 끝나면 병실에서 약카드와 환자를 확인
7
환자에게 설명
8
약을 투약하고 약을 전부 삼킬때까지 환자곁에 머문다(특히 정신과)
9
주어진 약의 용량, 시간, 환자의 불평을 기록하고 서명한다
10
투약카드는 다음 투약시간함에 꽂아둔다
11
30분후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환자방에 가 본다
주의사항
1
투약전 손을 깨끗이 씻는다
2
약을 너무 많이 따랐을 경우 약병에 다시 넣어서는 안된다
3
색의 변화와 냄새가 나거나, 성분이 변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4
자극성 약이나 치아 변색의 염려가 있는 약은 빨대를 사용
5
액체약은 병을 옮겨 담아서는 안된다
6
의식이 없는 환자나 삼킬수 없는 환자에게는 경구로 투약하지 않는다
7
약은 환자에게 집접먹이고 다른사람을 통하여 투약해서는 안된다
8
투약을 준비한 사람이 반드시 투약하고 기록하는 일까지 완수해야한다
9
만일 투약에 실수가 있을 때는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
결론
연구결과
2013년 4월1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서부노인병원 황○○씨의 AD, HTN, Knee OA인 환자를 사정한 결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간호진단을 내렸다.
인지능 저하와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라는 간호진단을 내렸으며, 대상자는 대화중 하고 싶은 말이나 감정등을 말하였지만 묻는 질문이나 대화에 지속적으로 회피할려하여 MMSE나 질문등 크게 의미가 있지가 않았다.
단기간 수행으로 진보가 없어, 좀 더 장기간 반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www.druginfo.com
노인간호학, 송민순(2008), 서울대학교출판부
성인간호학(하), 전시자(2009), 현문사
정신간호학(상), 이경순(2007) 현문사
www.druginfo.co.kr
http://www.edementia.or.kr/main.php
http://en.wikipedia.org/wiki/Dementia
http://cafe.naver.com/victoryan/192
NANDA 간호진단(2011)
[병원이름]
MMES: 2/30점
왔던 길 계속 되돌아가심
문 잠겼는데 계속 문을 열려고 하심
진단
추가
자료
NANDA(2011) 영역:지각/인지
정의
사람, 장소, 시간, 상황에 대한 지남력이
장기간 상실되어 보호적 환경이 필요한 상태
특성
만성 혼돈 상태, 지속적인 지남력 장애, 집중력 장애, 간단한 지시에 따르지 못함, 추론하지 못함, 사회적 기능의 상실, 질문에 느리게 반응함
관련
요인
치매, 우울, 헌팅톤 병
계획
환경 인지장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목표: 대상자의 지남력이 향상된다
기대결과
간호지시
MMSE 검사 결과가
향상될 것이다.
중재 마지막 날 MMSE 검사를 시행한다.
병원에서 하는 프로그램에 매일 참여하도록 한다.
다른 환자분들과 자주 접촉시켜 대화하게 한다.
대상자는 질문에 같은
대답을 할 것이다.
학생간호사 나를 소개하고 매일 인식시킨다.
매일 자주 현재 날짜, 장소, 시간을 질문하고, 모를 시에는 시계, 달력 등을 보며 강조한다.
중재
수행
결과
매일 MMSE검사를 시행하였다.
점수가 오르지 않았다.
매일 같은질문을 정해놓고 물어보았다.
계속 “몰라” 라고만 대답하였다.
환자 로비에서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하였다.
이야기를 회피하시며 도망 갈려만 하였다.
매일 만날때마다 인사와 소개를 하였다.
관심이 없는 듯 도망갈려만 하였다.
인지능력에 관한 질문을 하였다.
대답은 계속 “몰라”로 하신다.
의사소통할 때, 대상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느린 속도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전달하였다.
내 말을 이해 못하는 듯 엉뚱한 대답을 할 때도 있으셨지만 전체적으로는 대화가 잘 이루어졌다.
평가
평가내용
결과
MMSE 검사 결과가 향상될 것이다.
매일 MMSE에 점수변화가 없어 의미가 없다고 평가함
대상자는 질문에 같은 대답을 할 것이다.
질문을 회피하고 “몰라”로만 대답하여 문제해결 미달성
Medicine
약명
사진
용법/용량
효능/효과
약리작용
부작용
주의사항
스틸녹스
10mg/1일
불면증
중추신경계
현기증/혼동
고령자:
최소 유효용량
로잘탄
12.5mg/1일
고혈압
신장/간
과민반응
저혈압
칼디비타
1정/1일
뼈 발육불량
순환/위
과칼슘증
고칼슘증
마그밀
1g-2g/1일
변비
위
설사/대사장애
고마그네슘
심바스틴
40mg/1일
뇌졸중
근
감각이상
콜레스테롤
에빅사
20mg/1일
알츠하이머
중추신경계
다기능장애/
감염
신장애/
간장애
쎄로켈
1-3회/1일
정신분열병
양극성장애
중추신경계
간장애/
심혈관계/
당뇨
간부전/
신부전
부스파
20mg/1일
불안장애
신장/간
혈압/신경/비충혈 등등...
복합투약
출처: 네이버 건강 의약품 (http://health.naver.com/drug/pillIdentifier.nhn#)
경구투약
구강을 통한 투약
장점
가장 보편적이고 편리한 경로
피부손상을 주지 않아 안전함
경제적
단점
약물의 맛이 좋지 않은 경우 복용하기 힘듬
위점막에 자극을 주어 오심/구토 유발가능
위액으로 약의 흡수를 방해, Retard
지침
1
투약 기본지침 5가지
약, 용량, 시간, 방법, 환자
2
의문이 가는 처방에 대해서 간호사나 의사에게 질문
3
투여하는 약물과 대상자에 대해 할고 있음, 대상자의 진단을 알고 투여하고자 하는 약물이 그 사람의 질병에 적합한지 알아야함
4
약물이 대상자의 상태에 적합한지 알아야함
5
마약과 수면제는 법률의 규제를 받는 것으로 수량을 확인, 보관시에는 반듯이 약장에 넣어 잠궈둔다
6
용기에 표시된 약물만을 사용
7
약물을 투여하기전 입원카드나 팔찌를 확인하거나 대상자가 자신의 이름을 스스로 말하도록 한다
8
어떤 이유로 인해 약물이 투여되지 못했을 때 이유와 함께 투여되지 못한 사실을 기록
9
투약 과오가 발생하면 즉시 책임간호사나 담당간호사에게 보고
투약 방법
1
약카드를 읽고 서랍, 선반, 약봉투에서 약을 꺼낸다(1차확인)
2
약용지의 표지와 약카드의 지시내용을 비교해 본다(2차확인)
3
약이 오염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필요량에 맞게 적확한 양을 준비
4
준비한 약을 카드와 함께 투약카나 쟁반에 놓는다
5
용기의 표지를 다시 확인한 다음 약병, 상자, 약봉투를 제자리에 둔다(3차확인)
6
약준비가 끝나면 병실에서 약카드와 환자를 확인
7
환자에게 설명
8
약을 투약하고 약을 전부 삼킬때까지 환자곁에 머문다(특히 정신과)
9
주어진 약의 용량, 시간, 환자의 불평을 기록하고 서명한다
10
투약카드는 다음 투약시간함에 꽂아둔다
11
30분후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환자방에 가 본다
주의사항
1
투약전 손을 깨끗이 씻는다
2
약을 너무 많이 따랐을 경우 약병에 다시 넣어서는 안된다
3
색의 변화와 냄새가 나거나, 성분이 변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4
자극성 약이나 치아 변색의 염려가 있는 약은 빨대를 사용
5
액체약은 병을 옮겨 담아서는 안된다
6
의식이 없는 환자나 삼킬수 없는 환자에게는 경구로 투약하지 않는다
7
약은 환자에게 집접먹이고 다른사람을 통하여 투약해서는 안된다
8
투약을 준비한 사람이 반드시 투약하고 기록하는 일까지 완수해야한다
9
만일 투약에 실수가 있을 때는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
결론
연구결과
2013년 4월1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서부노인병원 황○○씨의 AD, HTN, Knee OA인 환자를 사정한 결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간호진단을 내렸다.
인지능 저하와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라는 간호진단을 내렸으며, 대상자는 대화중 하고 싶은 말이나 감정등을 말하였지만 묻는 질문이나 대화에 지속적으로 회피할려하여 MMSE나 질문등 크게 의미가 있지가 않았다.
단기간 수행으로 진보가 없어, 좀 더 장기간 반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www.druginfo.com
노인간호학, 송민순(2008), 서울대학교출판부
성인간호학(하), 전시자(2009), 현문사
정신간호학(상), 이경순(2007) 현문사
www.druginfo.co.kr
http://www.edementia.or.kr/main.php
http://en.wikipedia.org/wiki/Dementia
http://cafe.naver.com/victoryan/192
NANDA 간호진단(2011)
[병원이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