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요점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요점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출입자
일 반 인
전신, 조혈장기,눈,눈의 수정체,생식선
D=5(N-18)
100 rem/주
3 rem/3개월
1.5 rem/년
0.5 rem/년
피부,골,갑상선
15 rem/3개월
30 rem/년
3 rem/년
3 rem/년
수족,족관절
40 rem/3개월
75 rem/년
7.5 rem/년
7.5 rem/년
기타 단일기관
8 rem/3개월
15 rem/년
1.5 rem/년
1.5 rem/년
사고시
25 rem
-
-
긴급 작업시
10 rem
-
-
4.방사선 측정기
(1) 개인 피폭 관리용 측정기
필름 배지와 포켓 선량계,열형광 선량계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2)일반 방사선 관리용 측정기기
가장 널리 사용된는 것이 서베이 미터이며, 이것은 방사선 작업을 하는 동안 작업자가 휴대하여 부근의 방사선의 강도를 신속히 읽을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ㄱ.이온함식
포켓 선량계와 같이 x-선 또는 r-선에 의해 생성되는 이온쌍을 전리함에 모아서 측정하는 것으로 필요한 측정 범위를 조절 할 수 있다. 감도는 이온함의 용적에 따라 다르며, 선질 특성이 극히 좋고 고방사선장에 있어서도 포화하거나 응답 정지하거나 하는 수가 없다. 또한 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선량률계 또는 선량계로서도 쓸수 있으나 가격이 상당히 비싼 것이 많다.
ㄴ.G-M 계수관식
비교적 낮은 양의 방사선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작동원리는 이온함식형과 동일하나 이온함 대신 G-M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다.
단점은 선질 특성이 그다지 좋지 않고 계수관의 수명이 유한 하므로 때때로 계수관을 교환하여야 한다. 장점은 감도가 극히 높고 0.02mR/hr 정도의 저선량률의 검지도 할수 있다.
beta
-선에 대한 검출 감도는 특히 높고 표면 오염의 검출 등에 안성마춤이다. 방사선을 검출할 때 스피커 또는 리시버에 의하여 검출음을 발생하는 것이 많은데, 이것은 방사선의 상태를 감각적으로 포착할 수 있어서 편리 하다.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ㄷ.신틸레이션 계수관식
섬광 검출기를 전자 증배관 전면두에 접착하고 전치 증폭기와 연결 사용한 섬광 검출기를 사용한 것으로 섬광 결정체로는 NaI(T1),CsI(T1)을 주로 사용한다. 감도는 극히 높다.
5. 방사선 방호
방사선 방호의 3원칙
거리,시간,차폐
제 8 장 특수 방사선 투과검사법
1. 이동 방사선 투과검사법
대부분의 방사선 투과검사의 경우 방사선 선원, 시편 및 필름 상호간의 이동을 통해다른 검사법으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얻게 되는 긍정적인 이점이 있다. 촬영 방법으로는 회전 촬영법,주사법,단층 촬영법 등이 있다.
2. 고속도 방사선 투과검사법
특별히 고안된 고전압 발생장치 및 x-선 관을 사용하므로 백만분의 1초 또는 그 이하로 조사 시간을 로켓 추진체, 고속도 운동을 하는 기계를 정지 상태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입체 방사선 투과검사법
입체 방사선 투과검사법은 사람의 두눈 사이 만큼 떨어진 두 위치의 x-선 초점에 의해 얻어진 두 개의 방사선 투과 사진을 이용하는 것으로 두 투과 사진은 프리즘 또는 거울을 이용하여 각각의 눈이 단지 한 쪽의 투과 사진만을 볼 수 있도록 한 입체경을 통해 보게 된다. 이방법은 패러랙스법과 함께 방사선 투과검사법에 의해 시편 내의 결함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된다.
4.확대 촐영법
일반적인 방사선 투과검사시에는 시편과 필름은 기하학적 불선명도를 최소로 하기 위해 가능한 한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베타트론의 경우에서와 같이 초점의 크기가 극히 미세한 경우에는 필름을 시편에 밀착시키지 않고,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촬영하여 심한 기하학적 불선명도를 만들지 않고 확대된 투과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체를 3배 정도 확대시켜 보통의 방법으로 나타나지 않는 구조으 결함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5.중성자 투과검사법
중성자 투과검사에서는 전자파 방사선이 아닌 중성자를 이용하여 검사하며,보통의 방사선 투과검사로 불가능한 높은 원자번호를 갖는 두꺼운 시험체의 적용이 그 한 예이다.
직접 노출법-중성자의 조사에 의해 방사선 물질로 변하는 물질 사이 에 필름을 놓은 상태로 조사 한다. 이때 필름은 변환자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에 의해 감광된다.
전사법- 시편을 투과한 중성자가 단지 변환자만을 조사하여 방사성 물질로 변화시킨다. 조사가 종결된 후 변환자를 필름과 밀착시킴으로써 변환자로 부커의 방사성 강도에 따라 필름에 상을 만들게 된다.
6. 자동 방사선 투과검사법
시편을 감광유제와 밀착시킨 후 시편 내의 방사선 물질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에 의해 시편의 상을 얻는 검사법이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한 생체 조직이나 금속 조직용 시편과 같은 경우에 적용하는 실험실에서의 적용이 대부분이다. 원자력 이용 분야에 이 기법이 적용되며 연료 분포상태나 연료봉의 균질성 및 조사 연료봉 내의 붕괴 생성물의 농도 측정 등에 이용 된다.
7. 형광 투시 검사법
일반 방사선 투과검사의 경우 필름에 x-선상을 기록하는데 반해 형광 스크린에 가시적으로 관찰된다는 점이 다르다.
장점-검사 곡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다
단점-두껍고 고밀도인 또는 원자번호가 높은 재질에 대해서는 통과된 x-선 강도가 너무 낮아 형광 스크린에서 충분한 밝기의 상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비실용적이며, 또한 감도가 필름에 의한 기록보다 낮으며, 시험 결과에 대한 영구 기록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8. 미시 방사선 투과검사법
x-선 흡수도가 낮을 박편의 시편을미립자 감광재료를 사용하여 연속 x-선으로 촬영하여 얻은 투과 사진을 저배율의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관찰하거나 확대 사진을 만들어 관찰하는 방법
9.전자 방사선 투과검사법
x-선에 의해 조사된 연박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가 낮은 원자번호의 박편의 시편을 통과하여 진행한다. 이 전자들이 진행 과정의 차등흡수에 의해 필름에 시편의 구조를 나타낸다
시편은 얇고 흡수도가 낮은 재질로 제한된다.
10. x-선 회절법
실험실에서 화합물의 종류를 알아 낸다든가 ,결정구조를 확인한다든가 또는 냉간가공 및 어닐링이 금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는 등의 분야에서는 대단히 중요 하다.
  • 가격22,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24.05.30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