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티어의 생애
2.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1) 경험적 가족 치료의 개념
2) 경험적 가족치료인 Satir 모델의 특징
3) 치료기법
(1) 원가족과 가계도
(2) 영향력의 수레바퀴
(3) 가족 조각
3. 사티어의 가족체계
4. 부부성장을 위한 사티어의 의사소통 모형
1) 가족치료 분야의 선구자였던 사티어
2) 사티어가 제시했던 부부와 가정의 갈등문제에 대한 공통적인 원인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티어의 생애
2.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1) 경험적 가족 치료의 개념
2) 경험적 가족치료인 Satir 모델의 특징
3) 치료기법
(1) 원가족과 가계도
(2) 영향력의 수레바퀴
(3) 가족 조각
3. 사티어의 가족체계
4. 부부성장을 위한 사티어의 의사소통 모형
1) 가족치료 분야의 선구자였던 사티어
2) 사티어가 제시했던 부부와 가정의 갈등문제에 대한 공통적인 원인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 거처, 공기, 물, 활동, 그리고 정서적, 지식적, 육체적, 사회적, 정신적 삶에 대한 믿음과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외부와 상호작용하는 방식들을 통하여 변화하는 외부세계와 관계를 맺어간다. 관계를 맺을 때에 기대와 반응의 반복은 자기강화를 하기 때문에 당연시되며 익숙하게 되어 체계유지 방식이 된다. 이때 외부세계와 관계를 맺어가는 성향에 따라서 가족이 열린체계인가 닫힌 체계인가를 구분하였다.
열린체계는 가족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반응적이며 외부환경 간에 정보가 유통된다. 열린형 체계의 배후의 신념은 성장모델적 신념이다. 거기는 가부장적으로 힘있는 가족의 능력을 우선적으로 인정하기보다 개개인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그들의 능력을 각각 인정하므로서 수평적인 관계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가치가 무시되지 않고 자기 가치를 높게 가질 수 있게 된다. 행동은 행동하는 사람의 신념을 반영 할 수 있고 변화는 정상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열린형 체계에서는개인의 자유에 따라 적당한 때에 열림과 닫힘을 선택 할 수 도 있다. 선택의 자유가 있는 가족들의 의사소통은 성장-촉진적며 일치적이므로 자존감을 유지 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정서와 일치하여 표현 할 수 있다. 의사소통과 체계, 규칙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개방적이다. 규칙은 현실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최신의 것이며 인간 개개인을 귀히 여기므로 그들의 자존감을 존중하면서도 공공연하고 일치적 수평적이다. 이 체계 안에서는 가족들이 자유롭고 맑은 기분이 들며 몸은 쾌활하고 숨을 쉽게 쉬고 살 수 있다.
닫힌체계는 가족간에 관계가 경직되어 연결되지 않으며 외부사회와도정보가 유통되지 않는다. “가장 강한 힘을 가진자가 최선을 안다”라는 계급모델적 신념이다. 닫힌체계에서는 가족들이 융통성을 가질 수가 없다. 그러나 닫힌형의 가족체계를 고의적으로 이루는 것은 아니고 어떤 신념의 집합으로부터 발전 되는 것이다. 그 신념은 기본적으로 악한 사람을 선으로 계속 통제하는 것, 가장 힘있는 자는 선을 가장 잘 알고 있다는 것, 인간관계는 힘의 두려움으로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 등이다. 여기서는 의사소통이 성장-방해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져있는 비일치적인 회유, 비난, 초이성, 산만형이 될 수밖에 없다. 닫힌체계에서는 가족의 힘 있는 자 아버지나 어머니 등의 의지가 최우선이므로 그들의 의사가 존중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우두머리의 힘이 강할수록 계급적 성향은 뚜렷해지며 의사소통에 있어서도 구성원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은 어려워진다. 닫힌체계의 규칙은 비인격적이고 비밀스럽고 방어적이므로 가족들은 통증과 두통, 갇혀 있는 기분, 즉 폐쇄적 기분을 갖는다. 가족들은 서로 낯설고 부담스러우며 서로에게 정보를 감춘다. 또한 사티어는 건강한 가족일지라도 심한 고통에 직면하면 닫힌체계로 발전하기가 쉬워진다고 한다.
4. 부부성장을 위한 사티어의 의사소통 모형
1) 가족치료 분야의 선구자였던 사티어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에서 김영애 교수가 소개하고 있는 사티어에 대한 소개의 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족치료 분야의 선구자인 버지니아 사티어(1916-1988)는 위스컨신 주 밀워키 근처의 한 농장에서 다섯 자녀의 장녀로 태어났다. 그녀의 어린 시절 성장과정에서 시골 농장의 경험들은 곧 그녀의 성장 중심의 사티어 모델의 치료적 신념과 방법론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Satir는 세살에 혼자서 글을 깨우치고, 아홉 살에는 ‘지혜의 書’를 포함한 학교 도서관의 모든 장서들을 통독하기도 했다. 영특했던 사티어는 어른들의 삶에 회의를 느꼈고 그녀는 다섯 살 어린나이에 자기가 자라 어른이 되면 아이들을 힘들게 하는 어른들의 잘못을 찾아내어 고쳐주는 수사반장이 되겠다는 결심을 하기도 하였다. 버지니아 사티어는 Milwaukee의 한 고등학교를 16세에 조기졸업하고, Milwaukee State Teacher\'sCollege(현 University of Wisconsin)에 입학하였다. 대학생활을 하면서Abraham Lincoln House(ALH)라는 흑인을 위한 복지기관에서 알바이트를 했던 경험은 사티어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과 인간자체에 대한 존중감을 가지게 했던 것이다. 그녀는 19세에 대학을 졸업하자 곧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으며 일 년 후에는 교장이 되었고 교사로 있는 동안 학생들의 문제 뒤에는 반드시 문제의 가족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모들을 적극적으로 설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교사로서의 한계를 경험한 후에는 가족에 대한 연구를 더하고 싶은 희망으로 The University of Chicago 대학원에 입학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48년 졸업 후 그녀는1955년까지 Calmest Gyros 박사와 함께 Illinoise Psychiatric Institute에서 일을 하면서 가족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더욱 많은 것을 깨달았으며, 그 후 DonJackson, Jules Riskin과 함께 The 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를 설립하였고 이곳에서 최초의 가족치료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지도했던 것이다. 그 후 1964년 Big Sur, California에 있는 Esalen Institute로 옮겼으며 이곳에서는 특히 명상과 신체를 사용한 치료에 관심을 가졌다. 이곳에서 Human Potential Development Program을 감독하는 첫 번째 지도감독자가 되었다. 버지니아 사티어는 1964년 Conjoint Family Therapy를, 1972년에 Peoplemaking을 출간하였다(The Satir Model-Beyond Family Therapy와 Satir Meditation은 Dr.Banmen이 완성하였다.) 그녀는 명상과 가족치료, 가족치료사 전문가 훈련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유럽,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홍콩, 그리고 소련까지 전 세계적으로 가족치료를 전파하였다. 1973년 The University of Wisconsin으로부터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티어의 워크
열린체계는 가족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반응적이며 외부환경 간에 정보가 유통된다. 열린형 체계의 배후의 신념은 성장모델적 신념이다. 거기는 가부장적으로 힘있는 가족의 능력을 우선적으로 인정하기보다 개개인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그들의 능력을 각각 인정하므로서 수평적인 관계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가치가 무시되지 않고 자기 가치를 높게 가질 수 있게 된다. 행동은 행동하는 사람의 신념을 반영 할 수 있고 변화는 정상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열린형 체계에서는개인의 자유에 따라 적당한 때에 열림과 닫힘을 선택 할 수 도 있다. 선택의 자유가 있는 가족들의 의사소통은 성장-촉진적며 일치적이므로 자존감을 유지 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정서와 일치하여 표현 할 수 있다. 의사소통과 체계, 규칙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개방적이다. 규칙은 현실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최신의 것이며 인간 개개인을 귀히 여기므로 그들의 자존감을 존중하면서도 공공연하고 일치적 수평적이다. 이 체계 안에서는 가족들이 자유롭고 맑은 기분이 들며 몸은 쾌활하고 숨을 쉽게 쉬고 살 수 있다.
닫힌체계는 가족간에 관계가 경직되어 연결되지 않으며 외부사회와도정보가 유통되지 않는다. “가장 강한 힘을 가진자가 최선을 안다”라는 계급모델적 신념이다. 닫힌체계에서는 가족들이 융통성을 가질 수가 없다. 그러나 닫힌형의 가족체계를 고의적으로 이루는 것은 아니고 어떤 신념의 집합으로부터 발전 되는 것이다. 그 신념은 기본적으로 악한 사람을 선으로 계속 통제하는 것, 가장 힘있는 자는 선을 가장 잘 알고 있다는 것, 인간관계는 힘의 두려움으로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 등이다. 여기서는 의사소통이 성장-방해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져있는 비일치적인 회유, 비난, 초이성, 산만형이 될 수밖에 없다. 닫힌체계에서는 가족의 힘 있는 자 아버지나 어머니 등의 의지가 최우선이므로 그들의 의사가 존중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우두머리의 힘이 강할수록 계급적 성향은 뚜렷해지며 의사소통에 있어서도 구성원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은 어려워진다. 닫힌체계의 규칙은 비인격적이고 비밀스럽고 방어적이므로 가족들은 통증과 두통, 갇혀 있는 기분, 즉 폐쇄적 기분을 갖는다. 가족들은 서로 낯설고 부담스러우며 서로에게 정보를 감춘다. 또한 사티어는 건강한 가족일지라도 심한 고통에 직면하면 닫힌체계로 발전하기가 쉬워진다고 한다.
4. 부부성장을 위한 사티어의 의사소통 모형
1) 가족치료 분야의 선구자였던 사티어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에서 김영애 교수가 소개하고 있는 사티어에 대한 소개의 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족치료 분야의 선구자인 버지니아 사티어(1916-1988)는 위스컨신 주 밀워키 근처의 한 농장에서 다섯 자녀의 장녀로 태어났다. 그녀의 어린 시절 성장과정에서 시골 농장의 경험들은 곧 그녀의 성장 중심의 사티어 모델의 치료적 신념과 방법론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Satir는 세살에 혼자서 글을 깨우치고, 아홉 살에는 ‘지혜의 書’를 포함한 학교 도서관의 모든 장서들을 통독하기도 했다. 영특했던 사티어는 어른들의 삶에 회의를 느꼈고 그녀는 다섯 살 어린나이에 자기가 자라 어른이 되면 아이들을 힘들게 하는 어른들의 잘못을 찾아내어 고쳐주는 수사반장이 되겠다는 결심을 하기도 하였다. 버지니아 사티어는 Milwaukee의 한 고등학교를 16세에 조기졸업하고, Milwaukee State Teacher\'sCollege(현 University of Wisconsin)에 입학하였다. 대학생활을 하면서Abraham Lincoln House(ALH)라는 흑인을 위한 복지기관에서 알바이트를 했던 경험은 사티어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과 인간자체에 대한 존중감을 가지게 했던 것이다. 그녀는 19세에 대학을 졸업하자 곧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으며 일 년 후에는 교장이 되었고 교사로 있는 동안 학생들의 문제 뒤에는 반드시 문제의 가족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모들을 적극적으로 설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교사로서의 한계를 경험한 후에는 가족에 대한 연구를 더하고 싶은 희망으로 The University of Chicago 대학원에 입학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48년 졸업 후 그녀는1955년까지 Calmest Gyros 박사와 함께 Illinoise Psychiatric Institute에서 일을 하면서 가족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더욱 많은 것을 깨달았으며, 그 후 DonJackson, Jules Riskin과 함께 The 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를 설립하였고 이곳에서 최초의 가족치료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지도했던 것이다. 그 후 1964년 Big Sur, California에 있는 Esalen Institute로 옮겼으며 이곳에서는 특히 명상과 신체를 사용한 치료에 관심을 가졌다. 이곳에서 Human Potential Development Program을 감독하는 첫 번째 지도감독자가 되었다. 버지니아 사티어는 1964년 Conjoint Family Therapy를, 1972년에 Peoplemaking을 출간하였다(The Satir Model-Beyond Family Therapy와 Satir Meditation은 Dr.Banmen이 완성하였다.) 그녀는 명상과 가족치료, 가족치료사 전문가 훈련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유럽,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홍콩, 그리고 소련까지 전 세계적으로 가족치료를 전파하였다. 1973년 The University of Wisconsin으로부터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티어의 워크
추천자료
가족치료 모델
[가족복지]가족의 구성, 가족제도의 유형과 사회 경제적 원인, 현대의 가족문제, 외국의 가족...
[★발표자료★][가족치료 Family Therapy] 사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 사티어 가족치료 ...
사회복지실천모델(4체계모델,생활모델,생태체계모델,문제해결모델,과제중심모델,인지행동모델...
경험적 가족치료 사례분석과 경험적 가족치료 특징,치료과정,치료기법 분석 및 경험적 가족치...
경험적 가족치료의 대표학자인 사티어(생애, 업적 등등)에 대해 조사하여 제출하시오
경험적 가족치료의 대표학자인 사티어의 생애 업적 등에 대해 조사하여 제출하시오
경험적 가족치료의 대표학자인 사티어(생애, 업적 등등)에 대해 조사하여 제출하시오.
경험적 가족치료의 대표학자인 사티어 생애, 업적 등에 대해 조사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