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시각을 비교하고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10점)
1)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시각
2) 나의 생각
2. 장애인정책 이슈(장애인이동권, 탈시설, 중증장애인노동권)중 하나를 선택하여 현황 및 쟁점 등을 작성하고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20점)
1) 장애인 이동권이란?
2) 장애인 이동 현황
3) 전국 장애인 차별철폐 연대 지하철 운행방해 사건
4) 장애인 이동권 관련 쟁점
5) 장애인 이동권과 관련된 나의 생각 – 전장연 시위를 중심으로
1)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시각
2) 나의 생각
2. 장애인정책 이슈(장애인이동권, 탈시설, 중증장애인노동권)중 하나를 선택하여 현황 및 쟁점 등을 작성하고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20점)
1) 장애인 이동권이란?
2) 장애인 이동 현황
3) 전국 장애인 차별철폐 연대 지하철 운행방해 사건
4) 장애인 이동권 관련 쟁점
5) 장애인 이동권과 관련된 나의 생각 – 전장연 시위를 중심으로
본문내용
령이 만들어지고 관련 예산이 증액되게 된다. 즉, 수많은 시민들의 지지와 도움이 절실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전장연 시위로 인해 오히려 시민들이 등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한국리서치 https://hrcopinion.co.kr/archives/23500 참조.
에 의하면 우리 사회는 장애인 인권에 관심이 있으며(71%), 장애인이 이동을 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에도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전장연 시위의 주요 주장에 대해 지지한다는 응답이 80% 이상이며, 장애인 이동권을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 비율도 높게 나타나 많은 사람들이 시위 취지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전장연 시위와 관련하여 ‘아무리 옳은 주장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었으므로 이해할 수 없다’가 전체의 50%, ‘시위를 계기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했다’ 35%로 나타났다. 전장연 시위가 장애인 이동권관 관련된 일반사람들의 인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 것이다.
지금, 전장연 사람들은 ‘내가 시민들을 인질로 하여 정부를 압박하면 장애인복지 관련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거야’라는 큰 착각을 하고 있다. 민심은 천심이고 정치인들은 표를 의식해서라도 다수의 시민들의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는 데 말이다. 일단 장애인 시민단체들은 지금과 같이 시민들의 출근길을 위협하여 시민들의 민심을 잃는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행동에 대해 사과한 후 시민들에게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정치권을 압박하여 관련 법령이나 예산을 증액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처럼 시위를 지속하게 된다면 정치권의 관심도 잠깐일 뿐이고 민심도 잃어버려 최악의 결과물을 맞이할 것이라 생각한다.
■ 참고문헌
논문
김진희, 2023,「장애인복지 실천 현장에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 유효한 의료적 모델과 실현해야 할 사회적 모델 사이에 있는 현장」,『2023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윤수정, 2023,「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헌법재판」,『공법학연구』제24권 2호.
2.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2023, 『2023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3. 사이트
참여연대(https://www.peoplepower21.org).
연합뉴스(https://www.yna.co.kr).
한국리서치(https://hrcopinion.co.kr).
KBS뉴스(https://news.kbs.co.kr/news).
실제로 한국리서치 https://hrcopinion.co.kr/archives/23500 참조.
에 의하면 우리 사회는 장애인 인권에 관심이 있으며(71%), 장애인이 이동을 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에도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전장연 시위의 주요 주장에 대해 지지한다는 응답이 80% 이상이며, 장애인 이동권을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 비율도 높게 나타나 많은 사람들이 시위 취지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전장연 시위와 관련하여 ‘아무리 옳은 주장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었으므로 이해할 수 없다’가 전체의 50%, ‘시위를 계기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했다’ 35%로 나타났다. 전장연 시위가 장애인 이동권관 관련된 일반사람들의 인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 것이다.
지금, 전장연 사람들은 ‘내가 시민들을 인질로 하여 정부를 압박하면 장애인복지 관련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거야’라는 큰 착각을 하고 있다. 민심은 천심이고 정치인들은 표를 의식해서라도 다수의 시민들의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는 데 말이다. 일단 장애인 시민단체들은 지금과 같이 시민들의 출근길을 위협하여 시민들의 민심을 잃는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행동에 대해 사과한 후 시민들에게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정치권을 압박하여 관련 법령이나 예산을 증액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처럼 시위를 지속하게 된다면 정치권의 관심도 잠깐일 뿐이고 민심도 잃어버려 최악의 결과물을 맞이할 것이라 생각한다.
■ 참고문헌
논문
김진희, 2023,「장애인복지 실천 현장에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 유효한 의료적 모델과 실현해야 할 사회적 모델 사이에 있는 현장」,『2023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윤수정, 2023,「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헌법재판」,『공법학연구』제24권 2호.
2.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2023, 『2023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3. 사이트
참여연대(https://www.peoplepower21.org).
연합뉴스(https://www.yna.co.kr).
한국리서치(https://hrcopinion.co.kr).
KBS뉴스(https://news.kbs.co.kr/news).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장애인복지론 출석수업대체과제물)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사회복지 3학년]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모델과 사회적모델의 시각을 비교하고 본인의 생...
2021년 1학기 장애인복지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장애인 정책 최근 이슈 하나 선택)
[사회복지학과]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모델과 사회적모델의 시각을 비교하고 본인의 생각...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모델과 사회적모델의 시각을 비교하고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2...
[장애인복지론]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모델과 사회적모델의 시각을 비교하고 본인의 생각...
사회복지학과 3 장애인복지론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시각을 비교...
장애인복지론 2024학년도 1학기 출석수업대체]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
2024년 1학기 장애인복지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 모델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