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영어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텍스트를 읽으면서 1) 바이러스, 2) 면역체계, 3) 백신과 관련하여 각각 알 수 있는 모든 것을 빠짐없이 한글로 정리 접두사 미래의 새로운 키워드 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영어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텍스트를 읽으면서 1) 바이러스, 2) 면역체계, 3) 백신과 관련하여 각각 알 수 있는 모든 것을 빠짐없이 한글로 정리 접두사 미래의 새로운 키워드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아래의 두 가지 과제(A, B)를 모두 작성하시오. (A, B 각각 15점, 총 30점 만점)
A. Virus. (교재 Unit 1, 멀티강의 1강~2강)
1. 텍스트를 읽으면서 1) 바이러스, 2) 면역체계, 3) 백신과 관련하여 각각 알 수 있는 모든 것을 빠짐없이 한글로 정리한다. (※ 다른 자료를 참조하지 않는다. 텍스트를 한 줄 한 줄 읽으면서 바이러스, 면역체계와 관련된 것을 자세하게 정리한다.) -6점-
1) 바이러스 2) 면역체계 3) 백신
2. 교재 Unit 1과 멀티강의 1, 2강에서 접두사가 사용된 단어를 모두 찾아 적고, 각각의 단어에 대해 접두사의 의미와 단어의 의미를 밝힌다. -2점-
3. 교재 Unit 1과 멀티강의 1, 2강에서 다음이 사용된 문장을 하나씩 찾아 적고, 문법적인 설명을 곁들인다. 가령 문제가 ‘관계대명사 that’이면, 다음과 같은 답안을 작성할 수 있다. -각1점×7=7점-
ex. 관계대명사 that
문장: A virus is a submicroscopic infectious agent that replicates only inside the living cells of an organism.
설명:
a) 관계대명사 that의 선행사는 agent이다.
b) ‘A virus is a submicroscopic infectious agent.’와 ‘The agent replicates only inside the living cells of an organism.’의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 that을 써서 연결하였다.
c) 뒷문장에서 The agent는 사물이고 주어 역할을 하기에 관계대명사 that이 사용되었다.
1) 수동태 2) 3형식 문장 3) 4형식 문장 4) 5형식 문장 5) to 부정사 6) 동명사 7) 타동사

B. 교재 Part 2의 Unit 9 (멀티강의 9강~10강)를 참조하여 미래의 새로운 키워드를 작성해 보기
1. 교재의 Unit 9, Unit 10과 겹치지 않는 내가 관심있는 미래의 새로운 키워드 10개를 인터넷 검색엔진에서 찾기(단, 교재 Unit 9, Unit 10에 제시된 키워드 제외)
2. 선택한 10개의 각 키워드마다 키워드의 정확한 영문 정의(definition)를 인터넷에서 찾아 적고 한글로 해석하기(영문 정의의 정확한 출처의 인터넷 주소 링크를 적을 것)
3. 이것을 키워드로 선정한 이유를 한글로 작성하기(5줄 내외의 분량)
4. 키워드를 활용한 영어 예문 3개를 인터넷에서 찾아 적고 한글로 해석할 것(해당 키워드에 반드시 밑줄을 긋고 예문의 정확한 출처의 인터넷 주소 링크를 적을 것)

C. 참고문헌

본문내용

1 and 0) at the same time.
양자 컴퓨팅은 전자나 광자와 같은 아원자 입자를 사용한다. 양자 비트 또는 큐비트는 이러한 입자가 동시에 여러 상태(예: 1과 0)에 존재할 수 있게 한다.
②Quantum computing uses the qubit as the basic unit of information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bit.
양자 컴퓨팅은 기존의 비트 대신 큐비트를 정보의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③Scientists and engineers from QuTech in Delft, the Netherlands, are working hard to make Quantum computing a reality.
네덜란드 델프트의 QuTech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은 양자 컴퓨팅을 현실화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9) Quantum teleportation(양자 순간이동)
- 정의: Quantum teleportation is a technique for transferring quantum information from a sender at one location to a receiver some distance away.
- 해석: 양자 순간이동은 한 위치의 송신자가 먼 거리의 수신자에게 양자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Quantum_teleportation
- 키워드로 선정한 이유: Quantum teleportation은 양자 얽힘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간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로, 물리적인 물체가 아닌 양자 상태를 원격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안전한 정보 전송 및 차세대 통신 기술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혁신적인 가능성을 제공한다.
- 예문
①Since 2015, experimental quantum teleportation has moved from simple to complex quantum states (multiple degrees of freedom, high-dimensional quantum states) and from proof-of-principle demonstrations to real-world applications.
2015년 이후, 실험적 양자 순간이동은 단순한 양자 상태에서 복잡한 양자 상태(다중 자유도, 고차원 양자 상태)로 발전하였으며, 원리 증명 단계에서 실제 응용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
②In quantum physics, quantum mechanics describes how particles behave at the quantum level and it introduces the concepts of superposition, entanglement and quantum states, which are vital to the understanding of quantum teleportation.
양자 물리학에서 양자 역학은 입자가 양자 수준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설명하며, 양자 순간이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중첩, 얽힘 및 양자 상태의 개념을 도입한다.
③The usefulness of quantum teleportation lies in its ability to send quantum information arbitrarily far distances without exposing quantum states to thermal decoherence from the environment or other adverse effects.
양자 순간이동의 유용성은 양자 상태를 환경으로부터의 열적 탈동조화나 기타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임의의 먼 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는 데 있다.
10) Synthetic biology(합성 생물학)
- 정의: Synthetic biology is a field of science that involves redesigning organisms for useful purposes by engineering them to have new abilities.
- 해석: 합성 생물학은 새로운 능력을 갖추도록 유기체를 재설계하는 과학 분야이다.
- 출처: https://www.genome.gov/about-genomics/policy-issues/Synthetic-Biology
- 키워드로 선정한 이유: Synthetic biology는 생명체의 유전적 구조를 인공적으로 설계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생물학적 시스템과 기능을 창출하는 분야로, 의학, 에너지, 환경 등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 예문
①Synthetic biology is emerging as a key technology in the recently intensifying global competition for technological hegemony in the bio-industry.
합성 생물학은 최근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②Synthetic biology can change the genetic material in viruses, bacteria, yeasts, plants, or animals to give them useful new characteristics.
합성 생물학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효모, 식물 또는 동물의 유전 물질을 변경하여 유용한 새로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③Synthetic biology is a new discipline that has recently emerged in close connection with systems biology.
합성 생물학은 시스템 생물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최근에 등장한 새로운 학문이다.
C. 참고문헌
대학영어, 손향숙, 신현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https://www.etymonline.com/
https://www.englishcentral.com/blog/ko/ko-english-prefixes/
  • 가격6,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4.09.13
  • 저작시기202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1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