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7. 감염질환의 방어와 면역
Ⅰ.개요
Ⅱ.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 자연적 방어작용
2.물리&화학적 방어작용
3.미생물의 조직 친화성
4.면역약화 환자
Ⅲ.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면역응답
2.면역원 및 항원
3.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의 구조와 종류>
4.면역과 관련된 세포
5.항체 매개면역 또는 체액성 면역
6.항원-항체 반응
7.세포 매개성 면역
8.과민반응
9.면역관용과 자기면역
10.보체의 작용
<17과 문제>
18. 감염질환의 예방
Ⅰ.개요
1.자연면역(natural immunity)
2.획득면역(acquired immunity)
3.예방백신의 유용성
Ⅱ.백신의 종류와 예방접종
1.약독화 생백신
2.불활성화 백신
3.예방백신의 접종
1)B형 간염백신
2)폴리오
3)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백신
4)일본뇌염백신
5)인플루엔자 백신
6)유행성 출혈열 백신
<18과 문제>
Ⅰ.개요
Ⅱ.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 자연적 방어작용
2.물리&화학적 방어작용
3.미생물의 조직 친화성
4.면역약화 환자
Ⅲ.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면역응답
2.면역원 및 항원
3.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의 구조와 종류>
4.면역과 관련된 세포
5.항체 매개면역 또는 체액성 면역
6.항원-항체 반응
7.세포 매개성 면역
8.과민반응
9.면역관용과 자기면역
10.보체의 작용
<17과 문제>
18. 감염질환의 예방
Ⅰ.개요
1.자연면역(natural immunity)
2.획득면역(acquired immunity)
3.예방백신의 유용성
Ⅱ.백신의 종류와 예방접종
1.약독화 생백신
2.불활성화 백신
3.예방백신의 접종
1)B형 간염백신
2)폴리오
3)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백신
4)일본뇌염백신
5)인플루엔자 백신
6)유행성 출혈열 백신
<18과 문제>
본문내용
17. 감염질환의 방어와 면역
Ⅰ.개요
동물에게는 병원성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많은 종류의 자연적 방어인자가 존재
특이적 숙주방어기전(specific defence mechanism)
: 각각의 특이한 병원성 세균의 종이나 균주에 특이적으로 저항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전(non specific defence mechanism)
: 여러 종류의 병원성 세균에 모두 대항
Ⅱ.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 자연적 방어작용
감염에 영향을 주는 비특이적 방어 기전(나이, 음식, 스트레스, 의학적 시술)은 서로 다 른 동물 종들 사이에 특정 병원성 세균이 질병을 일으키는 데 매우 다양하게 작용
어떤 질병에 대한 저항성과 감수성의 차이는 종족 간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영양학적 차이와 조직 표면의 수용체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또한 자연적 방어작용으로 여김
①나이
감염질환 감수성에서 중요한 요소
②스트레스
정상의 건강한 성인에게도 질병을 유도
피로, 과로, 빈약한 식사, 탈수, 심한 기후변화 등
호르몬 균형의 극적 변화 유도
③식사
단백질 부족
→정상상재균총 구성 변화
→침입하고자 하는 병원성 세균의 증식 기회를 높여줌
설탕 제거 식단
→치아우식증 예방
→치아&잇몸을 몸에 부착하는 점착성 외피 다당질 생성 불가
2.물리&화학적 방어작용
조직 표면의 구조와 분비물은 미생물 침입에 대한 일차적 방어벽
물리적 방어벽-피부
화학적 방어벽-위장(낮은 pH)
①피부,점막
피지선-미생물 생장을 지연하는 지방산과 젖산을 분비
→피부의 pH를 낮추고 미생물의 침입에 방어
비인두나 기도 점막 내의 섬모상피세포의 물결작용
-세균세포를 위쪽으로 밀어올려 구강 분비물에 포착하여 뱉어냄
-삼켜서 위에서 사멸
②위산
인체 내 미생물의 증식을 막는 매우 중요한 화학적 방어작용
③용균소
신장과 안구 표면을 세정하는 분비물에 함유
미생물 집단을 크게 감소시킴
3.미생물의 조직 친화성
숙주 내에 정착&증식 하여 질병 유발을 위해서는 감염장소에 먼저 정착&증식해야 함
흡착 특이 수용체가 존재하고, 영양&환경적 면에서 적절해야 증식 가능
4.면역약화 환자
정의 : 하나, 그 이상의 방어기전의 잘못된 기능으로 감염 가능성이 증가된 상태의 숙주
원인 : 장기간 항생제 치료, 흡연, 과음, 마약 정백주사 사용, 수면 부족 등
Ⅲ.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면역응답
특정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기 위함
항원(antigen) : 면역응답을 유발시키는 외부 물질
항원자극의 결과-특이 단백질 생성(항체, 면역글로불린)
-특이 세포 생성(활성 T세포)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 : 항체가 주역이 되는 면역
세포성 면역(cellular immunity) : 활성 T세포에 기반을 둔 면역
<체액성 면역의 항체 생성 기전>
면역응답의 특징
이종 거대분자 침입 시 그에 대한 항체 생성
항체와 항원 간의 반응은 높은 특이성을 가짐
→항체와 활성 T세포는 자기를 만든 항원하고만 반응
→많은 연구와 진단에 이용
모든 항원-항체 반응이 유익하지 많은 않음(Ex. 과민증, 자가면역반응)
동물 자신의 조직 거대 분자에 대해서는 항체가 형성되지 않음
숙주 침입 미생물과 바이러스는 많은 수와 종류의 거대분자를 가짐
→숙주는 면역응답을 일으켜 질병을 방어&제어하는 면역절차를 확립
면역응답의 3가지 주요 특징-특이성(specificity)
-기억(memory)
-관용(tolerance)
①특이성
새로운 침입자에 대해서 특이적 반응을 타나냄
②기억
특정 항체 또는 활성 T세포 생성 시 같은 항체와 T세포를 빠른 속도로 다량 생성할 수 있는 능력
재감염에 대한 숙주의 저항성과 예방접종에 의한 숙주 보호에 중요
③관용
면역응답 시 항체와 활성 T세포가 생산되면 손상을 방지
2.면역원 및 항원
면역원(immunogen) : 동물에 어떤 물질을 투여하였을 때 면역응답을 유발하는 물질
면역응답은 항체 또는 활성 T세포로 나타나거나 두 과정이 모두 일어남
항원(antigen) : 항체&활성 T세포와 반응하는 물질
→대부분의 항원은 면역원이 되기도 함
(Ex. 불완전 항원(당, 아미노산, 작은 중합체)=합텐)
면역원의 요구조건-분자량(10,000이상)
-항원결정기(항원 분자 내의 제한된 부위)
이종분자로부터 돌출된 결정기, 중합쇄의 말단
: 항체 형성이 가장 용이하게 일어나는 부위
동종항원 : 어떤 항체를 유도시킨 항원
이종항원 : 어떤 항체와 반응하는 다른 항원
3.면역글로불린
혈청, 유즙 등의 체액에서 발견
항혈청(antiserum) :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
물리, 화학, 면역학적 성질에 의해 IgG, IgA, IgM, IgD, IgE군으로 분류
(IgM 생성 후 IgG생성)
<면역글로불린의 구조와 종류>
①면역글로불린 G
순환성 항체 중 가장 흔함
분자량-160,000
4개의 폴리펩티드쇄로 구성
쇄
Ⅰ.개요
동물에게는 병원성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많은 종류의 자연적 방어인자가 존재
특이적 숙주방어기전(specific defence mechanism)
: 각각의 특이한 병원성 세균의 종이나 균주에 특이적으로 저항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전(non specific defence mechanism)
: 여러 종류의 병원성 세균에 모두 대항
Ⅱ.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 자연적 방어작용
감염에 영향을 주는 비특이적 방어 기전(나이, 음식, 스트레스, 의학적 시술)은 서로 다 른 동물 종들 사이에 특정 병원성 세균이 질병을 일으키는 데 매우 다양하게 작용
어떤 질병에 대한 저항성과 감수성의 차이는 종족 간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영양학적 차이와 조직 표면의 수용체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또한 자연적 방어작용으로 여김
①나이
감염질환 감수성에서 중요한 요소
②스트레스
정상의 건강한 성인에게도 질병을 유도
피로, 과로, 빈약한 식사, 탈수, 심한 기후변화 등
호르몬 균형의 극적 변화 유도
③식사
단백질 부족
→정상상재균총 구성 변화
→침입하고자 하는 병원성 세균의 증식 기회를 높여줌
설탕 제거 식단
→치아우식증 예방
→치아&잇몸을 몸에 부착하는 점착성 외피 다당질 생성 불가
2.물리&화학적 방어작용
조직 표면의 구조와 분비물은 미생물 침입에 대한 일차적 방어벽
물리적 방어벽-피부
화학적 방어벽-위장(낮은 pH)
①피부,점막
피지선-미생물 생장을 지연하는 지방산과 젖산을 분비
→피부의 pH를 낮추고 미생물의 침입에 방어
비인두나 기도 점막 내의 섬모상피세포의 물결작용
-세균세포를 위쪽으로 밀어올려 구강 분비물에 포착하여 뱉어냄
-삼켜서 위에서 사멸
②위산
인체 내 미생물의 증식을 막는 매우 중요한 화학적 방어작용
③용균소
신장과 안구 표면을 세정하는 분비물에 함유
미생물 집단을 크게 감소시킴
3.미생물의 조직 친화성
숙주 내에 정착&증식 하여 질병 유발을 위해서는 감염장소에 먼저 정착&증식해야 함
흡착 특이 수용체가 존재하고, 영양&환경적 면에서 적절해야 증식 가능
4.면역약화 환자
정의 : 하나, 그 이상의 방어기전의 잘못된 기능으로 감염 가능성이 증가된 상태의 숙주
원인 : 장기간 항생제 치료, 흡연, 과음, 마약 정백주사 사용, 수면 부족 등
Ⅲ.특이적 숙주방어기전
1.면역응답
특정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기 위함
항원(antigen) : 면역응답을 유발시키는 외부 물질
항원자극의 결과-특이 단백질 생성(항체, 면역글로불린)
-특이 세포 생성(활성 T세포)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 : 항체가 주역이 되는 면역
세포성 면역(cellular immunity) : 활성 T세포에 기반을 둔 면역
<체액성 면역의 항체 생성 기전>
면역응답의 특징
이종 거대분자 침입 시 그에 대한 항체 생성
항체와 항원 간의 반응은 높은 특이성을 가짐
→항체와 활성 T세포는 자기를 만든 항원하고만 반응
→많은 연구와 진단에 이용
모든 항원-항체 반응이 유익하지 많은 않음(Ex. 과민증, 자가면역반응)
동물 자신의 조직 거대 분자에 대해서는 항체가 형성되지 않음
숙주 침입 미생물과 바이러스는 많은 수와 종류의 거대분자를 가짐
→숙주는 면역응답을 일으켜 질병을 방어&제어하는 면역절차를 확립
면역응답의 3가지 주요 특징-특이성(specificity)
-기억(memory)
-관용(tolerance)
①특이성
새로운 침입자에 대해서 특이적 반응을 타나냄
②기억
특정 항체 또는 활성 T세포 생성 시 같은 항체와 T세포를 빠른 속도로 다량 생성할 수 있는 능력
재감염에 대한 숙주의 저항성과 예방접종에 의한 숙주 보호에 중요
③관용
면역응답 시 항체와 활성 T세포가 생산되면 손상을 방지
2.면역원 및 항원
면역원(immunogen) : 동물에 어떤 물질을 투여하였을 때 면역응답을 유발하는 물질
면역응답은 항체 또는 활성 T세포로 나타나거나 두 과정이 모두 일어남
항원(antigen) : 항체&활성 T세포와 반응하는 물질
→대부분의 항원은 면역원이 되기도 함
(Ex. 불완전 항원(당, 아미노산, 작은 중합체)=합텐)
면역원의 요구조건-분자량(10,000이상)
-항원결정기(항원 분자 내의 제한된 부위)
이종분자로부터 돌출된 결정기, 중합쇄의 말단
: 항체 형성이 가장 용이하게 일어나는 부위
동종항원 : 어떤 항체를 유도시킨 항원
이종항원 : 어떤 항체와 반응하는 다른 항원
3.면역글로불린
혈청, 유즙 등의 체액에서 발견
항혈청(antiserum) :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
물리, 화학, 면역학적 성질에 의해 IgG, IgA, IgM, IgD, IgE군으로 분류
(IgM 생성 후 IgG생성)
<면역글로불린의 구조와 종류>
①면역글로불린 G
순환성 항체 중 가장 흔함
분자량-160,000
4개의 폴리펩티드쇄로 구성
쇄
추천자료
소화계통 기관의 특징- 입
죽음의 위기와 상담
P. S. Macfarlane 외, 2000, Pathology Illustrated,면역,IG,특이면역,비특이면역
질염의 발병원인과 증상 및 치료
아동 폐렴 케이스
아동간호실습 NICU(신생아중환자실 신생아 집중 치료실) 케이스
COPD 대상자 간호, 만성 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수술_후_환자의_합병증의_증상과_예방을_위한_간호중재
환자사정법
1.면역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사례 & 2....
소화성 궤양에 대해
05.항생제를 이용한 항균실험 : 항생제는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감염방지를 위한 목적을 가지...
(2017 기초간호과학) 1 급성염증 만성염증 특징적인 차이, 염증 형태적분류, 염증 국소적영향...
영아기 건강문제(영아기 장애- 고열, 뇌성마비, 사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