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작물학1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용작물학1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기상생태형을 중심으로 기술할 것, 15점)

1) 경기도 지역 재배 벼 품종
2) 벼의 기상생태형
(1) 기상생태형의 분류
(2) 기상생태형에 따른 재배적 특성
(3) 기상생태형에 따른 경기지역 벼 품종의 재배적 특성
3) 경기도 지역 재배 벼 품종의 필리핀 보급 시 재배 과정 중 예상 문제점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하라.
(최근 2020년 이후 통계자료를 참고할 것, 15점)

1)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 현황
2) 우리나라 벼 생산 및 소비 현황
3) 현황 분석 및 대책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베트남, 인도네시아의 쌀소비량이 증가했으나 브라질의 쌀 소비량은 감소했다. 교역과 관련해서 수출의 경우 인도의 쌀 수출량이 증가했지만, 미국의 쌀 수출량은 감소했다. 수입의 경우 베트남과 브라질의 쌀 수입량이 증가했다.
지난 10년 간 우리나라의 벼 생산량은 400만 톤 전후에서 정체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최근 5년 동안은 400만 톤을 밑돌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벼 재배면적도 꾸준히 하락하면서 2012년 849,172ha에서 2021년 732,477ha로 10년 동안 대략 14% 정도 감소하였다. 그리고 논벼 10a당 생산량은 2015년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2021년은 2020년 483이라는 최저 수치로 인한 기저효과에 따라 503을 기록하며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수치는 2015년 542, 2016년 539의 생산량과 비교하면 다소 낮다고 할 것이다. 여기에 지난 10년 동안 우리 국민의 1인당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2년 69.8에서 2023년 56.4를 기록하며 지난 10년 동안 1인당 쌀소비량은 20%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으로 우리 국민들의 외식횟수가 그 이전과 비교하면 상당히 감소했는데도, 쌀 소비량은 증가하지 않고 감소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쌀자급률이 2021년 기준 84.6%고, 2022년 예상 쌀자급률은 82.5%수준에 그친다. 반면, 쌀 자급률과 관련하여 일본은 10년 동안 거의 100%에 수치를 보인다. 우리 정부는 식량자급률을 2022년 기준 44.4%에서 2027년엔 55.5%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 그 목표를 달성한다고 해도 이는 매우 부족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근본적인 개선 없이는 55.5%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앞서 통계로 확인했듯이 식생활이 다양화, 편의화되면서 쌀 소비량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고,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 증가로 대체식품 소비도 늘어나고 있다. 반면 육류 소비량은 2015년 46.9kg에서 2022년 59.3kg으로 쌀 소비량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이에 따라 2009년 이래 쌀 소비 운동이 범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추진되어 왔고, 2014년 \'쌀 가공산업 육성과 쌀 이용 촉진을 위한 5개년 계획\'도 시행 중이지만, 쌀 소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에는 30년 전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따라서 쌀 소비 촉진을 위해 단발성 행사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지속 가능한 소비 기반을 구축하려면 쌀 중심의 식습관 회복과 쌀 가공산업 활성화가 필요하다. 특히 MZ세대가 쌀을 쉽게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아침식사의 영양학적 이점, 특히 청소년의 정신 및 신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해야 한다. 연구에 따르면, 쌀 중심의 아침식사는 집중력 향상과 체지방 감소,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도움이 된다.
편의점에서 쌀 가공식품과 소포장 상품의 판매를 확대하고, FF상품 개발을 통해 젊은 세대의 쌀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글루텐프리 시장을 활용해 쌀가공식품의 인증을 활성화하고, 쌀의 고유 가치를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사례처럼 밀가루 일부를 쌀로 대체하는 프로젝트도 쌀 소비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정부는 쌀 소비 촉진을 위해 농가와 기업이 협력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쌀 산업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소비자 인식 개선이 필수적이다.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농가와 기업이 함께 혁신적인 마케팅 전략과 품질 개선에 힘쓴다면 쌀 소비 촉진은 물론, 농업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국 이러한 협력은 우리나라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3. 참고문헌
식용작물학1, 박순직·이종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재배학원론, 류수노·권순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해외곡물시장 동향 2023 제12권 제2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3.
통계청, 2023 국제통계연감, 양곡소비량조사(2022년), 2021년 농작물생산통계.
https://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24/06/report_23_crop_01.pdf
https://kosis.kr/index/index.do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9.13
  • 저작시기202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1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