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 제목 / 년도
2. 이 영화를 선택하게 된 동기(이유)
3. 영화의 줄거리 요약
4. 등장인물 분석
5. 등장인물 간의 역동
6. 간호과정
7. Refedence
2. 이 영화를 선택하게 된 동기(이유)
3. 영화의 줄거리 요약
4. 등장인물 분석
5. 등장인물 간의 역동
6. 간호과정
7. Refedence
본문내용
서 위험하다.
4. 대상자의 행동을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4. 행동화가 나타날 수 있기에 이를 예방한다.
5. 대상자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음을 인식시킨다.
5. 대상자의 폭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6. 가족치료를 시행한다.
6. 가족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지지하며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
수행
수행
대상자 반응
1. 상담으로 불안 수준을 사정하였다.
1. 불안 정도를 사정한 결과, 중증의 불안으로 나타났으며 불안내용은 어린 시절의 충족되지 못한 애착이다.
2. 부적정한 분노를 다른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게 교육하였다.
2. 권투, 태권도, 유도 등 몸을 쓰는 운동으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 방법으로 표출 시 긍정적 강화를 했다.
3. 위협적이지 않은 환경과 활동을 제공하였다.
3. 위협적인 물건을 제거하였다.
평가
입원한 지 2주일이 지나자 이내로 자신이 공격성을 보이는 것을 인지하였다. 1달 후 공격성이 나타나면 자신이 스스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호과정 2
주관적 자료
-“3 다음에는 뭐지?”
“9”
“7 다음 숫자는?”
“71”
“1 2 3 4 ..... 80 이제 됐지?”
-엄마가 준 식빵을 테이블에 던지고 째려보는 사이 아빠가 오자
밝게“아빠. 오늘은 어땠어? 힘들진 않았어?”
객관적 자료
- 소변과 대변을 가릴 줄 알지만 기저귀를 갈자마자 대변을 본다.
- 엄마 앞에서 의도적으로 엄마를 제외한 사람들과는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함.
- 엄마의 말투를 조롱하듯 따라함.
간호 진단
충족되지 못한 의존 욕구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타인과 상호작용 시 분열을 사용하거나, 매달리거나 멀리하는 행동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간호사와 신뢰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만족스런 대인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행동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3.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타인과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을 할 것이다.
계획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
1. 치료적 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다.
1. 수용하고 긍정적인 존중을 전달하는 것은 대상자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출한다.
2. 의존적 행동을 하지 않아도 치료자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2. 치료자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아는 것은 대상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3. 대상자가 자신의 대인관계 패턴(매달리거나 멀리하는 행동)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3. 타인과 상호작용을 할 때 대상자는 자신의 분열기제 사용과 매달리고 멀리하는 행동유형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4. 대인관계 패턴이 만족스런 관계를 어떻게 방해하는 지 이해하도록 돕는다.
4. 자신에 대한 타인의 지각을 인식하고 그 행동이 타인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도록 한다.
5. 독립적인 행동에 대해 긍정적 강화를 제공한다.
5.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자긍심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6. 자기주장기법을 교육한다.
6. 주장적인 태도로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에 의해 자존감이 증진되기 때문이다.
7. 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7. 다른 사람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8. 의존성을 조장하지 않으면서 대상 불변성을 획득하도록 대상자를 돕는다.
8. 버림받는 것에 대한 공포를 해결하고 만족스런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수행
수행
대상자 반응
1. 매일 오전과 오후에 30분씩 대상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 반영을 통해 대상자가 자기 가치감을 지각하도록 했다.
1. 대상자와 이야기 할 때마다 집중해서 경청을 하고 공감을 표현하였으며,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수용적,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2. 자기주장기법을 교육한다.
2.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이 증가하여 자존감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3. 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하였다.
3.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아서 자신의 자긍심이 향상되었다고 말하였다.
평가
입원 3일 째 간호사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였다. 5일째에는 대인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행동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하였다. 10일 지나자 타인과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을 하였다.
7. Refedence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성장과정을 잘 나타낸 영화인 것 같다. 어릴 적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알 수 있어서 좋았다.
4. 대상자의 행동을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4. 행동화가 나타날 수 있기에 이를 예방한다.
5. 대상자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음을 인식시킨다.
5. 대상자의 폭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6. 가족치료를 시행한다.
6. 가족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지지하며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
수행
수행
대상자 반응
1. 상담으로 불안 수준을 사정하였다.
1. 불안 정도를 사정한 결과, 중증의 불안으로 나타났으며 불안내용은 어린 시절의 충족되지 못한 애착이다.
2. 부적정한 분노를 다른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게 교육하였다.
2. 권투, 태권도, 유도 등 몸을 쓰는 운동으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 방법으로 표출 시 긍정적 강화를 했다.
3. 위협적이지 않은 환경과 활동을 제공하였다.
3. 위협적인 물건을 제거하였다.
평가
입원한 지 2주일이 지나자 이내로 자신이 공격성을 보이는 것을 인지하였다. 1달 후 공격성이 나타나면 자신이 스스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호과정 2
주관적 자료
-“3 다음에는 뭐지?”
“9”
“7 다음 숫자는?”
“71”
“1 2 3 4 ..... 80 이제 됐지?”
-엄마가 준 식빵을 테이블에 던지고 째려보는 사이 아빠가 오자
밝게“아빠. 오늘은 어땠어? 힘들진 않았어?”
객관적 자료
- 소변과 대변을 가릴 줄 알지만 기저귀를 갈자마자 대변을 본다.
- 엄마 앞에서 의도적으로 엄마를 제외한 사람들과는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함.
- 엄마의 말투를 조롱하듯 따라함.
간호 진단
충족되지 못한 의존 욕구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타인과 상호작용 시 분열을 사용하거나, 매달리거나 멀리하는 행동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간호사와 신뢰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만족스런 대인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행동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3.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타인과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을 할 것이다.
계획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
1. 치료적 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다.
1. 수용하고 긍정적인 존중을 전달하는 것은 대상자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출한다.
2. 의존적 행동을 하지 않아도 치료자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2. 치료자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아는 것은 대상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3. 대상자가 자신의 대인관계 패턴(매달리거나 멀리하는 행동)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3. 타인과 상호작용을 할 때 대상자는 자신의 분열기제 사용과 매달리고 멀리하는 행동유형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4. 대인관계 패턴이 만족스런 관계를 어떻게 방해하는 지 이해하도록 돕는다.
4. 자신에 대한 타인의 지각을 인식하고 그 행동이 타인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도록 한다.
5. 독립적인 행동에 대해 긍정적 강화를 제공한다.
5.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자긍심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6. 자기주장기법을 교육한다.
6. 주장적인 태도로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에 의해 자존감이 증진되기 때문이다.
7. 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7. 다른 사람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8. 의존성을 조장하지 않으면서 대상 불변성을 획득하도록 대상자를 돕는다.
8. 버림받는 것에 대한 공포를 해결하고 만족스런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수행
수행
대상자 반응
1. 매일 오전과 오후에 30분씩 대상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 반영을 통해 대상자가 자기 가치감을 지각하도록 했다.
1. 대상자와 이야기 할 때마다 집중해서 경청을 하고 공감을 표현하였으며,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수용적,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2. 자기주장기법을 교육한다.
2.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이 증가하여 자존감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3. 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하였다.
3.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아서 자신의 자긍심이 향상되었다고 말하였다.
평가
입원 3일 째 간호사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였다. 5일째에는 대인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행동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하였다. 10일 지나자 타인과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을 하였다.
7. Refedence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성장과정을 잘 나타낸 영화인 것 같다. 어릴 적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