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Chapter16 혈관장애 대상자 간호
Ⅰ. 구조와 기능
Ⅱ. 자료수집
Ⅲ. 간호
1. 고혈압
2. 동맥질환
3. 정맥질환
4. 림프질환
Chapter17 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
Ⅰ. 구조와 기능
Ⅱ. 자료수집
Ⅲ. 간호
1. 적혈구 질환
2. 백혈구 질환
3. 응고장애
Ⅰ. 구조와 기능
Ⅱ. 자료수집
Ⅲ. 간호
1. 고혈압
2. 동맥질환
3. 정맥질환
4. 림프질환
Chapter17 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
Ⅰ. 구조와 기능
Ⅱ. 자료수집
Ⅲ. 간호
1. 적혈구 질환
2. 백혈구 질환
3. 응고장애
본문내용
종양발생 시
빈맥: 빈혈
요로계
요단백: 혈구질환 시 증가
복부
비장비후: 림프종, 단핵세포증가증, 백혈병
간비후: 백혈병
근골격계
뼈 통증: 용혈성 질환, 혈액계 악성 종양
관절기형: 출혈성 질환
신경계
뇌종양증상/징후: 백혈병, 림프종성세포의 침윤
(2) 진단검사
① 전혈구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적혈구, 혈색소, 헤마토크릿의 수치, 적혈구 지표, 적혈구염색검사, 백혈구, 전혈구검사에서는 약 7mL의 정맥혈 필요
구분
정상치
비고
적혈구 수
(RBC)
남: 450만-600만/mm
여: 400만-550만/mm
정맥혈1mL내에 순환하는 적혈구를 측정
- 높은 고도생활, 혈액농축, 원발성다혈구혈증 ▲
- 빈혈, 호지킨병, 백혈병 ▼
혈색소
(hemoglobin)
남: 14-18g/dL
여: 12-16g/dL
- 다혈구혈증, 혈액농축, 높은 고도생활 ▲
- 영양결핍, 출혈, 빈혈, 혈액의 희석 ▼
헤마토크릿
(hematocrit)
남: 40-54%
여: 37-47%
전혈에 대한 적혈구용량을 비율로 측정
- 원발성다혈구혈증, 혈액농축 ▲
- 적혈구 생산 감소, 적혈구 파괴 증가, 백혈병, 림프종 빈혈▼
적혈구 지표
(erythrocyte indices)
MCV: 76~100fl
MCH: 25~35pg*
MCHC: 30~38%
적혈구의 평균 크기, 무게, 혈색소 성분을 측정
다양한 종류의 빈혈을 진단하는데 도움
MCV(적혈구의 평균 용량, 크기를 검사)
- 간질환, 악성빈혈, 거대적하구성빈혈 ▲ <- 대구성
철분결핍성빈혈, 납중독, 지중해성빈혈 ▼<- 소구성
MCH(적혈구 한 개에 들어있는 평균 혈색소량)
MCHC(각 적혈구내 혈색소의 평ㅇ균 농축정도를 측정)
혈색소가 감소한 상태, 철분결핍성빈혈 ▼
백혈구 수(WBC)
5,000-10,000/mm
정맥혈1mL내에 백혈구수를 측정
혈소판수
150,000~400,000/mm
정맥혈1mL내에 순환하는 혈소판수를 측정
② 적혈구침강속도(ESR)
정상치: 0~20mm/h
응고되지 않은 혈액의 적혈구가 시험관 바닥으로 가라앉는 속도
증가하면 활동성 염증질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 백혈병, 악성종양, 호지킨병, 심한 빈혈, 무과립세포증 ▲
다혈구혈증, 겸상세포빈혈 ▼
③ 망상적혈구수
빈혈을 평가하는 가장 유용한 검사
④ 쿰검사(Coomb’s test)
직접 쿰검사: 적혈구에 대한 항체를 찾아내기 위한 검사
간접 쿰검사: 수혈 전에 수혈하려는 혈청에 적혈구 항체가 있는지 찾아내기 위한 검사
⑤ Leukocyte alkaline phosphatase(LAP)
호중구의 과립속에 들어있는 효소
정상치: 20~130단위(unit)
⑥ 혈청 ferritin 수치
혈장 내 유리 철분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
⑦ 총 철분결합능력
혈액내 이용 가능한 transferrin 양을 측정하는 검사
⑧ Schilling test
악성빈혈을 감별진단하는 검사법
Schilling test 방법
8~12시간 동안 수분 이외에 금식을 한다.
아침에 0.23~2.0ug의 방사성 비타민 B12를 경구투여하고, 24시간 소변을 모으기 시작한다.
1~2시간 후에 1,000ug의 비방사선 비타민 B12를 근육주사하여 간이나 혈장의 비타민 B12 결합장소를 일시적으로 포화시킨다.
정상 상태에서는 경구투여한 지 3~4시간 후부터 장에서 흡수된 방사성 비타민 B12는 결합장소가 포화된 상태이므로 체내에서 결합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설된다.
24시간 동안 소변에서 방사성 비타민 B12의 배설률이 7% 미만인 경우에는 1주일 후에 60mg의 내적인자를 추가하여 검사를 반복한다.
비타민 B12는 위장 내에 내적인자가 있어야만 흡수된다. 내적인자를 투여한 후 경구투여한 방사성 비타민 B12가 정상적으로 소장에서 흡수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면 악성빈혈로 진단할 수 있다.
재검사 결과 방사성 비타민 B12 흡수가 비정상이면 회장질환이 있는지 확인한다.
⑨ 혈색소 전기영동
헤모글로빈의 비정상적인 형태를 찾아내는 검사
출혈과 응고검사
Prothrombin time ,PT
외적 응고기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
응고인자 Ⅲ, Ⅶ, ⅹ이 얼마나 존재하고 기능하는가를 알 수 있음
정상치: 11~15초
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T
내적응고기전을 사정하며, Ⅱ, Ⅴ, Ⅷ, Ⅸ, Ⅹ, 를 평가
응고인자 분석
응고기전내의 모든 단계를 평가하는 검사
⑪ 골수천자와 생검
▶ 골수천자: 골수에서 세포나 골수액을 흡인
검사목적: 빈혈/금성백혈병/호중구감소증/혈소판감소증/호지킨병/다발성 골수종 등의 진행과정을 평가/진단
검사과정
- 검사 전 시술 설명/동의서 받음
- 필요 시 진정제 투여, 처치실이나 병실에서 시행(5-15분 정도 소요)
- 검사부위: 후장골릉
- 체위: 복위
- 피부를 소독하고 소독포를 덮은 후 국소마취 시행(찌르거나 타는 듯한 통증 유발)
- 천자바늘을 뼈 닿을 때까지 밀어 넣고 골막 관통
- 환자는 절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 골수 표본 채취 후 바늘 제거, 멸균 거즈로 즉시 압박
- 표본은 슬라이드 위에 도말 하여 검사실로 보냄
간호
- 검사 전 과정을 설명하여 정서적 지지
- 국소마취 시 날카로운 통증, 바늘 삽입 시 심한 압박감 있음을 설명
- 검사 후 약 15분 정도 손으로 압박 후 멸균 드레싱
- 약 2시간 모래주머니 대고 절대 안정
- 약 2시간 동안 15분마다, 그 후 24시간 동안 두 시간 마다 출혈. 감염증상 관찰
▶ 골수생검: 골수에서 고형 조직이나 세포를 얻는 검사
골수 내 질환을 진단하거나 평가하기 위해 골수조직 채취
피부를 절개하여(3-4mm) 큰 바늘 삽입 후 골수 조각이 바늘구멍 내에 들어오게 하여 골수 표본 얻음,
표본은 방부재 용액에 담아 검사실로 보냄
생검 후 간호
- 생검 부위 청결 및 건조 유지
- 출혈과 감염증상 관찰
- 생검 부위 드레싱 후 모래주머니나 얼음주머니 적용(출혈예방)
- 48시간 동안 젖지 않도록 주의
⑫ 림프관조영술
방사선을 이용하여 림프계를 검사하는 것, 림프관을 염색시키는 파란색 염료를 양쪽 발의 둘
빈맥: 빈혈
요로계
요단백: 혈구질환 시 증가
복부
비장비후: 림프종, 단핵세포증가증, 백혈병
간비후: 백혈병
근골격계
뼈 통증: 용혈성 질환, 혈액계 악성 종양
관절기형: 출혈성 질환
신경계
뇌종양증상/징후: 백혈병, 림프종성세포의 침윤
(2) 진단검사
① 전혈구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적혈구, 혈색소, 헤마토크릿의 수치, 적혈구 지표, 적혈구염색검사, 백혈구, 전혈구검사에서는 약 7mL의 정맥혈 필요
구분
정상치
비고
적혈구 수
(RBC)
남: 450만-600만/mm
여: 400만-550만/mm
정맥혈1mL내에 순환하는 적혈구를 측정
- 높은 고도생활, 혈액농축, 원발성다혈구혈증 ▲
- 빈혈, 호지킨병, 백혈병 ▼
혈색소
(hemoglobin)
남: 14-18g/dL
여: 12-16g/dL
- 다혈구혈증, 혈액농축, 높은 고도생활 ▲
- 영양결핍, 출혈, 빈혈, 혈액의 희석 ▼
헤마토크릿
(hematocrit)
남: 40-54%
여: 37-47%
전혈에 대한 적혈구용량을 비율로 측정
- 원발성다혈구혈증, 혈액농축 ▲
- 적혈구 생산 감소, 적혈구 파괴 증가, 백혈병, 림프종 빈혈▼
적혈구 지표
(erythrocyte indices)
MCV: 76~100fl
MCH: 25~35pg*
MCHC: 30~38%
적혈구의 평균 크기, 무게, 혈색소 성분을 측정
다양한 종류의 빈혈을 진단하는데 도움
MCV(적혈구의 평균 용량, 크기를 검사)
- 간질환, 악성빈혈, 거대적하구성빈혈 ▲ <- 대구성
철분결핍성빈혈, 납중독, 지중해성빈혈 ▼<- 소구성
MCH(적혈구 한 개에 들어있는 평균 혈색소량)
MCHC(각 적혈구내 혈색소의 평ㅇ균 농축정도를 측정)
혈색소가 감소한 상태, 철분결핍성빈혈 ▼
백혈구 수(WBC)
5,000-10,000/mm
정맥혈1mL내에 백혈구수를 측정
혈소판수
150,000~400,000/mm
정맥혈1mL내에 순환하는 혈소판수를 측정
② 적혈구침강속도(ESR)
정상치: 0~20mm/h
응고되지 않은 혈액의 적혈구가 시험관 바닥으로 가라앉는 속도
증가하면 활동성 염증질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 백혈병, 악성종양, 호지킨병, 심한 빈혈, 무과립세포증 ▲
다혈구혈증, 겸상세포빈혈 ▼
③ 망상적혈구수
빈혈을 평가하는 가장 유용한 검사
④ 쿰검사(Coomb’s test)
직접 쿰검사: 적혈구에 대한 항체를 찾아내기 위한 검사
간접 쿰검사: 수혈 전에 수혈하려는 혈청에 적혈구 항체가 있는지 찾아내기 위한 검사
⑤ Leukocyte alkaline phosphatase(LAP)
호중구의 과립속에 들어있는 효소
정상치: 20~130단위(unit)
⑥ 혈청 ferritin 수치
혈장 내 유리 철분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
⑦ 총 철분결합능력
혈액내 이용 가능한 transferrin 양을 측정하는 검사
⑧ Schilling test
악성빈혈을 감별진단하는 검사법
Schilling test 방법
8~12시간 동안 수분 이외에 금식을 한다.
아침에 0.23~2.0ug의 방사성 비타민 B12를 경구투여하고, 24시간 소변을 모으기 시작한다.
1~2시간 후에 1,000ug의 비방사선 비타민 B12를 근육주사하여 간이나 혈장의 비타민 B12 결합장소를 일시적으로 포화시킨다.
정상 상태에서는 경구투여한 지 3~4시간 후부터 장에서 흡수된 방사성 비타민 B12는 결합장소가 포화된 상태이므로 체내에서 결합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설된다.
24시간 동안 소변에서 방사성 비타민 B12의 배설률이 7% 미만인 경우에는 1주일 후에 60mg의 내적인자를 추가하여 검사를 반복한다.
비타민 B12는 위장 내에 내적인자가 있어야만 흡수된다. 내적인자를 투여한 후 경구투여한 방사성 비타민 B12가 정상적으로 소장에서 흡수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면 악성빈혈로 진단할 수 있다.
재검사 결과 방사성 비타민 B12 흡수가 비정상이면 회장질환이 있는지 확인한다.
⑨ 혈색소 전기영동
헤모글로빈의 비정상적인 형태를 찾아내는 검사
출혈과 응고검사
Prothrombin time ,PT
외적 응고기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
응고인자 Ⅲ, Ⅶ, ⅹ이 얼마나 존재하고 기능하는가를 알 수 있음
정상치: 11~15초
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T
내적응고기전을 사정하며, Ⅱ, Ⅴ, Ⅷ, Ⅸ, Ⅹ, 를 평가
응고인자 분석
응고기전내의 모든 단계를 평가하는 검사
⑪ 골수천자와 생검
▶ 골수천자: 골수에서 세포나 골수액을 흡인
검사목적: 빈혈/금성백혈병/호중구감소증/혈소판감소증/호지킨병/다발성 골수종 등의 진행과정을 평가/진단
검사과정
- 검사 전 시술 설명/동의서 받음
- 필요 시 진정제 투여, 처치실이나 병실에서 시행(5-15분 정도 소요)
- 검사부위: 후장골릉
- 체위: 복위
- 피부를 소독하고 소독포를 덮은 후 국소마취 시행(찌르거나 타는 듯한 통증 유발)
- 천자바늘을 뼈 닿을 때까지 밀어 넣고 골막 관통
- 환자는 절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 골수 표본 채취 후 바늘 제거, 멸균 거즈로 즉시 압박
- 표본은 슬라이드 위에 도말 하여 검사실로 보냄
간호
- 검사 전 과정을 설명하여 정서적 지지
- 국소마취 시 날카로운 통증, 바늘 삽입 시 심한 압박감 있음을 설명
- 검사 후 약 15분 정도 손으로 압박 후 멸균 드레싱
- 약 2시간 모래주머니 대고 절대 안정
- 약 2시간 동안 15분마다, 그 후 24시간 동안 두 시간 마다 출혈. 감염증상 관찰
▶ 골수생검: 골수에서 고형 조직이나 세포를 얻는 검사
골수 내 질환을 진단하거나 평가하기 위해 골수조직 채취
피부를 절개하여(3-4mm) 큰 바늘 삽입 후 골수 조각이 바늘구멍 내에 들어오게 하여 골수 표본 얻음,
표본은 방부재 용액에 담아 검사실로 보냄
생검 후 간호
- 생검 부위 청결 및 건조 유지
- 출혈과 감염증상 관찰
- 생검 부위 드레싱 후 모래주머니나 얼음주머니 적용(출혈예방)
- 48시간 동안 젖지 않도록 주의
⑫ 림프관조영술
방사선을 이용하여 림프계를 검사하는 것, 림프관을 염색시키는 파란색 염료를 양쪽 발의 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