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문헌 고찰: 원발성 골관절염(무릎)
가. 질환의 정의
나. 원인
다. 병태생리
라. 증상
마. 진단 및 검사
바. 치료
사. 간호
아. 경과 및 합병증
2. 본론
1) 간호사정
가. 간호력
나. 신체검진
다. 간호기록지
라. 진단검사
마. 약물
2) 간호과정 적용
가. 간호진단
나. 간호과정
3. 참고문헌
1) 문헌 고찰: 원발성 골관절염(무릎)
가. 질환의 정의
나. 원인
다. 병태생리
라. 증상
마. 진단 및 검사
바. 치료
사. 간호
아. 경과 및 합병증
2. 본론
1) 간호사정
가. 간호력
나. 신체검진
다. 간호기록지
라. 진단검사
마. 약물
2) 간호과정 적용
가. 간호진단
나.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른쪽 무릎)에 Hemovac 적용 중
7월 DM(당뇨) 진단받고 P.O 복용 중
간호계획
단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3일째(7/23) 수술 부위에 부종, 발적, 통증과 같은 감염 증상이 없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7일(7/27)까지 감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감염 증상을 사정한다.
1)-1. 7/20. 수술 직후부터 3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수술 2일째부터는 Duty마다)
체온(℃)
맥박(회/분)
호흡(회/분)
7/20 17:00
37.1
102
22
7/20 20:00
37.5
106
24
7/20 23:00
37.1
104
21
7/21 06:00
37.3
103
23
7/21 11:00
37.4
102
22
7/21 21:00
37.3
98
20
7/22 06:00
37.1
101
18
7/22 11:00
37.5
100
20
7/22 21:00
37.1
94
20
감염 시 체온, 호흡, 맥박이 상승한다.
1)-2. 7/20. 매일 혈액 검사를 확인했다.
WBC
(×103/㎕)
RBC
(×106/㎕)
CRP정량
(mg/dl)
ESR
(mm/hr)
7/20
11.9
3.68
4.3
75
7/21
11.3
3.87
2.5
51
7/22
10.7
4.04
0.9
29
7/23
10.4
4.14
0.7
24
7/24
10.2
4.31
0.5
22
7/25
10.1
4.54
0.4
21
7/26
9.7
4.87
0.3
20
7/27
8.8
4.96
0.2
18
WBC, RBC, CRP 정량, ESR(적혈구 침강속도) 수치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3. 7/20. 매일 수술 부위의 피부 상태와 감염 징후(부종, 발적, 통증)를 확인했다.
부종(4점척도)
발적
통증(NRS)
7/20
2+(4mm)
9점
7/21
1+(2mm)
-
7점
7/22
-
-
5점
감염을 예방하고,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부위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를 한다.
2)-1. 7/20. 매일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전과 후에 손을 깨끗이 씻고 무균적으로 수행했다.
대상자 간호 시 무균술로 감염의 위험을 차단한다.
2)-2. 7/20. 매일 수술 부위 피부와 배액관을 확인 후 멸균생리식염수로 소독하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교체했다.
배액 량
색
냄새
피부 상태
7/20
25g
sanguineous
(bloody)
-
clean
7/21
10g
serous
(yellow)
-
clean
7/22
제거
clean
2)-3. 7/20. 매일 수술 부위를 건조하게 유지 시켰다.
7/22
7/23
7/24
피부 건조 상태
양호
양호
양호
감염 후의 치료보다 예방이 효과적이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7/20. 매일 방문객의 방문을 하루 1번으로 제한해 충분한 휴식을 제공했다.
충분한 휴식으로 감염과 스트레스
요인들을 감소시킨다.
충분한 영양을 제공한다.
7/21 15:00. 단백질과 칼로리가 풍부한 음식을 제공하고 영양을 평가했다.
대상자
어려움 없이 잘 식사하고 있음을 관찰함
영양사
충분하고 필요한 영양대로 제공됨을 다시 확인함
충분한 영양은 치료와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다.
처방된 항생제를 사용해 감염을 예방한다.
5)-1. 7/20.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하루 4회, Vancomycin Hcl 1g inj. 500mg IV 투여하고 부작용과 주의사항을 교육했다.
5)-2. 7/20. 1시간 뒤 주사 부위에 감염 징후 여부를 관찰했다.
투여 1시간 후
18:00
00:00
06:00
주사부위 상태
양호
양호
양호
보다 적극적인 예방법은 항생제 투여이다.
감염 예방에 대해 교육한다.
7/21. 대상자와 보호자, 방문객에게 손 씻기를 교육했다.
대상자
침상에 식사 전·후에 손소독제로 손소독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보호자
교육 후 손 씻는 모습을 3회 이상 관찰할 수 있었다.
방문객
교육 후 대상자를 만나기 전에 손씻는 모습을 관찰했다.
손 씻기는 좋은 감염 예방법이다.
간호 평가
<단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3일째(7/23) 수술 부위에 부종, 발적과 같은 감염 증상이 없으나, 혈액 검사에서 감염 소견을 보이므로 목표가 달성되지 못함
<장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7일(7/27)까지 감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어 목표가 달성됨
대상자는 수술 후 7일(7/27)째 상처 부위가 깨끗하게 치유되어 목표가 달성됨
참고문헌
질환백과; 골관절염.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28
골(퇴행성)관절염.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33876&CONT_CLS_CD=001020001005&CONT_ID=6710 (2016)
퇴행성 무릎관절염(비수술적 치료). 김영진(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http://kshp.or.kr/ 병원약사회지(2014)
슬관절학회와 함께하는 퇴행성 관절염 가이드북. 대한 슬관절학회. http://www.koreaknee.or.kr/pop/file/guidebook.pdf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하권(제7판). 현문사 (2019년)
permahealthcare(인도제약회사). What Are the Various Stages of Osteoarthritis?. https://www.permahealthcare.com/blog/arthritis/osteoarthritis/what-are-the-various-stages-of-osteoarthritis (2019년)
Causes of Osteoarthritis. chegg study. https://www.chegg.com/learn/nutrition/nutrition/causes-of-osteoarthritis
재활운동요법. 병원간호사회. http://www.khna.or.kr/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제4판). 현문사 (2020년)
7월 DM(당뇨) 진단받고 P.O 복용 중
간호계획
단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3일째(7/23) 수술 부위에 부종, 발적, 통증과 같은 감염 증상이 없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7일(7/27)까지 감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감염 증상을 사정한다.
1)-1. 7/20. 수술 직후부터 3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수술 2일째부터는 Duty마다)
체온(℃)
맥박(회/분)
호흡(회/분)
7/20 17:00
37.1
102
22
7/20 20:00
37.5
106
24
7/20 23:00
37.1
104
21
7/21 06:00
37.3
103
23
7/21 11:00
37.4
102
22
7/21 21:00
37.3
98
20
7/22 06:00
37.1
101
18
7/22 11:00
37.5
100
20
7/22 21:00
37.1
94
20
감염 시 체온, 호흡, 맥박이 상승한다.
1)-2. 7/20. 매일 혈액 검사를 확인했다.
WBC
(×103/㎕)
RBC
(×106/㎕)
CRP정량
(mg/dl)
ESR
(mm/hr)
7/20
11.9
3.68
4.3
75
7/21
11.3
3.87
2.5
51
7/22
10.7
4.04
0.9
29
7/23
10.4
4.14
0.7
24
7/24
10.2
4.31
0.5
22
7/25
10.1
4.54
0.4
21
7/26
9.7
4.87
0.3
20
7/27
8.8
4.96
0.2
18
WBC, RBC, CRP 정량, ESR(적혈구 침강속도) 수치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3. 7/20. 매일 수술 부위의 피부 상태와 감염 징후(부종, 발적, 통증)를 확인했다.
부종(4점척도)
발적
통증(NRS)
7/20
2+(4mm)
9점
7/21
1+(2mm)
-
7점
7/22
-
-
5점
감염을 예방하고,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부위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를 한다.
2)-1. 7/20. 매일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전과 후에 손을 깨끗이 씻고 무균적으로 수행했다.
대상자 간호 시 무균술로 감염의 위험을 차단한다.
2)-2. 7/20. 매일 수술 부위 피부와 배액관을 확인 후 멸균생리식염수로 소독하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교체했다.
배액 량
색
냄새
피부 상태
7/20
25g
sanguineous
(bloody)
-
clean
7/21
10g
serous
(yellow)
-
clean
7/22
제거
clean
2)-3. 7/20. 매일 수술 부위를 건조하게 유지 시켰다.
7/22
7/23
7/24
피부 건조 상태
양호
양호
양호
감염 후의 치료보다 예방이 효과적이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7/20. 매일 방문객의 방문을 하루 1번으로 제한해 충분한 휴식을 제공했다.
충분한 휴식으로 감염과 스트레스
요인들을 감소시킨다.
충분한 영양을 제공한다.
7/21 15:00. 단백질과 칼로리가 풍부한 음식을 제공하고 영양을 평가했다.
대상자
어려움 없이 잘 식사하고 있음을 관찰함
영양사
충분하고 필요한 영양대로 제공됨을 다시 확인함
충분한 영양은 치료와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다.
처방된 항생제를 사용해 감염을 예방한다.
5)-1. 7/20.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하루 4회, Vancomycin Hcl 1g inj. 500mg IV 투여하고 부작용과 주의사항을 교육했다.
5)-2. 7/20. 1시간 뒤 주사 부위에 감염 징후 여부를 관찰했다.
투여 1시간 후
18:00
00:00
06:00
주사부위 상태
양호
양호
양호
보다 적극적인 예방법은 항생제 투여이다.
감염 예방에 대해 교육한다.
7/21. 대상자와 보호자, 방문객에게 손 씻기를 교육했다.
대상자
침상에 식사 전·후에 손소독제로 손소독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보호자
교육 후 손 씻는 모습을 3회 이상 관찰할 수 있었다.
방문객
교육 후 대상자를 만나기 전에 손씻는 모습을 관찰했다.
손 씻기는 좋은 감염 예방법이다.
간호 평가
<단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3일째(7/23) 수술 부위에 부종, 발적과 같은 감염 증상이 없으나, 혈액 검사에서 감염 소견을 보이므로 목표가 달성되지 못함
<장기 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7일(7/27)까지 감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어 목표가 달성됨
대상자는 수술 후 7일(7/27)째 상처 부위가 깨끗하게 치유되어 목표가 달성됨
참고문헌
질환백과; 골관절염.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28
골(퇴행성)관절염.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33876&CONT_CLS_CD=001020001005&CONT_ID=6710 (2016)
퇴행성 무릎관절염(비수술적 치료). 김영진(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http://kshp.or.kr/ 병원약사회지(2014)
슬관절학회와 함께하는 퇴행성 관절염 가이드북. 대한 슬관절학회. http://www.koreaknee.or.kr/pop/file/guidebook.pdf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하권(제7판). 현문사 (2019년)
permahealthcare(인도제약회사). What Are the Various Stages of Osteoarthritis?. https://www.permahealthcare.com/blog/arthritis/osteoarthritis/what-are-the-various-stages-of-osteoarthritis (2019년)
Causes of Osteoarthritis. chegg study. https://www.chegg.com/learn/nutrition/nutrition/causes-of-osteoarthritis
재활운동요법. 병원간호사회. http://www.khna.or.kr/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제4판). 현문사 (2020년)
추천자료
관절염 case study
OS- 골관절염(Osteoarthritis) 케이스
[간호학]Hemiplegia 편마비
골관절염 케이스,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골관절염 케이스 스터디, 골관절염 case study, ...
Gonarthrosis,무릎관절증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대퇴골 경부 바닥의 골절 케...
성인간호학실습 골관절염 case (A+ 보장 간호진단 4개)
관절염 케이스
A+자료입니다)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실습, 골관절염 케이스, 골관절염 간호과정, 골관절염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