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부모, 자녀간의 특성
2. 나는 어떤 자녀이고,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소개
1) 나는 어떤 자녀인지
(1) 사랑스러운 자녀
(2) 기대가 되는 자녀
(3) 호혜적 부모·자녀 관계
2)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1) 인자한 아버지
(2) 존경스러운 아버지
(3) 의지가 되는 아버지
(4) 고생하시는 어머니
(5) 희생적인 어머니
3. 시사점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부모, 자녀간의 특성
2. 나는 어떤 자녀이고,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소개
1) 나는 어떤 자녀인지
(1) 사랑스러운 자녀
(2) 기대가 되는 자녀
(3) 호혜적 부모·자녀 관계
2)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1) 인자한 아버지
(2) 존경스러운 아버지
(3) 의지가 되는 아버지
(4) 고생하시는 어머니
(5) 희생적인 어머니
3. 시사점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녀 자체가 사랑스럽고, 귀여우며, 소중한 마음이 드는 것은 부모 자신에 대한 느낌으로 자녀는 자신의 분신이라는 존재에 대한평가라는 점에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2) 기대가 되는 자녀
‘기대가 되는’이라는 용례로 살피자면, 자녀가 성장 단계일까? 라는 물음이 있을 수 있다. 부모는 자녀에게 무엇을 가장 기대하게 될까? 부모라면, 누구라도 “몸 건강하게 지내는 것”을 최고의 기대로 삼는다. 그리고 장성한 자녀일 경우에도 여전히 부모는 자녀의 역할로 ‘기대가되는 자녀’가 된다. 왜냐하면, 부모는 앞선 세대를 살아 온 유경험자로서 자녀와의 다른 경험치를 살았을 지라도, 삶의 전체, 그리고 삶의 궤적은 여전히 자녀가 부모를 쫓을 수밖에 없음을 깨닫게 된다.
(3) 호혜적 부모·자녀 관계
우리의 가정생활 윤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퇴계와 율곡의 이야기로 보자면, 퇴계는 “경장자유(敬長慈幼)”로 부모-자녀의 호혜적 도리를 말하였고, 율곡은 “아버지가 된 자는 자녀를 사랑할 것이요, 자녀는 부모의 은혜를 잊어서는 안 된다”하였다. 또한, 명심보감 효행편에도 부모-자녀 간의 호혜적 관계에 대해서 교훈이 있다. 또한 명심보감에는 인과응보에 관련된 사례들이 소개되는데, 부모에게 효도하는 효자에게 복이 들어온다는 점을 가르치고 있다. 즉, 인과응보는 베푼 것이 있으며, 조만간 나에게 그 베풀었던 효행들이 내게 다시 자녀로부터 돌아온다는 뜻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자녀가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머지않아 노인이 될 자신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희생을 감수하였던 것은 이 같은 효도를 받겠다는 준비 단계로 행하였던 것은 분명 아닐 터이다. 즉, 부모는 자녀를 희생적 사랑으로 양육시켰던 것이며, 자녀는 부모에게 받은 만큼을 보은한다는 마음으로 효도를 행하는 것은 아닌 상호간의 호혜적 관심에 따른 효행 실천이라 할 수 있다.
2)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1) 인자한 아버지
인자하다는 말은 사실 어머니와 더 어울릴 만한 의미이다. 하지만, 아버지라고 늘 엄격하고 무뚝뚝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인자한 아버지는 엄격한 아버지, 고생하시는 불쌍한 아버지의 모습 못지않게 자녀나 가족의 눈에 비쳐진 아버지에 대한 표상이다.
(2) 존경스러운 아버지
부모는 의례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 것이 우리의 정서이다. 여기서의 존경 역시 부모님의 존재 그대로의 존경이라기보다 아버지의 행위로 인한 존경의 마음이 발생한 연유가 나의 마음이 석연치 않은 면도 있음을 밝히면서 존경스러운 아버지에 대하여 본다. 근면함이거나 성실함으로 인한 존경이 더 큰 의미를 차지한다.
(3) 의지가 되는 아버지
아버지는 의지가 되는 존재임은 틀림없는 명제일 것이다. 혹간은 집안에 기여하지 못한 지탄받는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들려온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그 집안에서 의지가 되는 존재로 남는다.
(4) 고생하시는 어머니
어머니의 수고를 보며, 죄스럽고,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생하시는 어머니에 대한 안타까움을 노래한 시인의
(2) 기대가 되는 자녀
‘기대가 되는’이라는 용례로 살피자면, 자녀가 성장 단계일까? 라는 물음이 있을 수 있다. 부모는 자녀에게 무엇을 가장 기대하게 될까? 부모라면, 누구라도 “몸 건강하게 지내는 것”을 최고의 기대로 삼는다. 그리고 장성한 자녀일 경우에도 여전히 부모는 자녀의 역할로 ‘기대가되는 자녀’가 된다. 왜냐하면, 부모는 앞선 세대를 살아 온 유경험자로서 자녀와의 다른 경험치를 살았을 지라도, 삶의 전체, 그리고 삶의 궤적은 여전히 자녀가 부모를 쫓을 수밖에 없음을 깨닫게 된다.
(3) 호혜적 부모·자녀 관계
우리의 가정생활 윤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퇴계와 율곡의 이야기로 보자면, 퇴계는 “경장자유(敬長慈幼)”로 부모-자녀의 호혜적 도리를 말하였고, 율곡은 “아버지가 된 자는 자녀를 사랑할 것이요, 자녀는 부모의 은혜를 잊어서는 안 된다”하였다. 또한, 명심보감 효행편에도 부모-자녀 간의 호혜적 관계에 대해서 교훈이 있다. 또한 명심보감에는 인과응보에 관련된 사례들이 소개되는데, 부모에게 효도하는 효자에게 복이 들어온다는 점을 가르치고 있다. 즉, 인과응보는 베푼 것이 있으며, 조만간 나에게 그 베풀었던 효행들이 내게 다시 자녀로부터 돌아온다는 뜻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자녀가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머지않아 노인이 될 자신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희생을 감수하였던 것은 이 같은 효도를 받겠다는 준비 단계로 행하였던 것은 분명 아닐 터이다. 즉, 부모는 자녀를 희생적 사랑으로 양육시켰던 것이며, 자녀는 부모에게 받은 만큼을 보은한다는 마음으로 효도를 행하는 것은 아닌 상호간의 호혜적 관심에 따른 효행 실천이라 할 수 있다.
2)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1) 인자한 아버지
인자하다는 말은 사실 어머니와 더 어울릴 만한 의미이다. 하지만, 아버지라고 늘 엄격하고 무뚝뚝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인자한 아버지는 엄격한 아버지, 고생하시는 불쌍한 아버지의 모습 못지않게 자녀나 가족의 눈에 비쳐진 아버지에 대한 표상이다.
(2) 존경스러운 아버지
부모는 의례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 것이 우리의 정서이다. 여기서의 존경 역시 부모님의 존재 그대로의 존경이라기보다 아버지의 행위로 인한 존경의 마음이 발생한 연유가 나의 마음이 석연치 않은 면도 있음을 밝히면서 존경스러운 아버지에 대하여 본다. 근면함이거나 성실함으로 인한 존경이 더 큰 의미를 차지한다.
(3) 의지가 되는 아버지
아버지는 의지가 되는 존재임은 틀림없는 명제일 것이다. 혹간은 집안에 기여하지 못한 지탄받는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들려온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그 집안에서 의지가 되는 존재로 남는다.
(4) 고생하시는 어머니
어머니의 수고를 보며, 죄스럽고,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생하시는 어머니에 대한 안타까움을 노래한 시인의
추천자료
카네기 인간관계론 요점정리 및 서평
춘천시립노인복지회관
[인간관계론] 변화하는 시대에 부모와 자식간의 효과적인 인간관계는 어떤 것이 좋으며, 부...
나의 목회 비전
커뮤니케이션 ) 자신의 부모-자녀 관계, 친구관계, 선후배관계, 연인관계, 의사소통에 대하여...
부모-자녀 관계의 특성에 대해 정리해보고 나는 어떤 자녀이고,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
가족관계론_부모-자녀 관계의 특성에 대해 정리해보고, 나는 어떤 자녀이고, 나의 부모는 어...
부모-자녀 관계의 특성에 대해 정리해보고, 나는 어떤 자녀이고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
부모자녀간의 특성에 대해 정리해보고, 나는 어떤 자녀이고, 나의 부모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