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7. 참고문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명을 낮추고 소음을 최소화하며, 침대 주변을 정리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안위를 확인하여 필요 시 추가적인 도움을 드렸다.
간호수행
교육적 수행
15.패혈증으로 인한 고체온은 감염과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염이 혈류를 통해 퍼지면서 체내 면역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염증 매개체가 방출되어 열이 발생하는데, 고체온은 체내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깨뜨리고, 심장, 뇌,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혼란, 경련, 의식 저하, 부정맥, 심부전, 호흡 곤란, 신부전, 간 기능 저하 및 소화기 장애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6.대상자에게 고체온 시 비약물적인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땀을 잘 흡수하는 소재 및 가볍고 통기성 좋은 옷을 입도록 한다.
-몸을 식히기 위해 찬물 샤워를 하거나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도록 한다.
-얼음주머니를 겨드랑이 부위에 적용하도록 한다.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동을 최소로 유지하도록 한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심장과 신장 질환이 없다면 1일 2L 이상의 수분섭취를 하도록 한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해 몸의 회복을 돕도록 한다.
-고체온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병원에 방문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체온 정상 범위 내에서 측정된다.
2.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이다.
3.대상자는 퇴원 시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4.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체온 조절을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을 인식하고 적절히 수행한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8시간 안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 내 측정된다.
2.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오한, 오심, 구토 증상 중 2가지 이상 호전되었다고 말한다.
3.대상자는 3일 안에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감소한다.
4.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비약물적 방법 1가지 이상 수행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조동숙 외 (2012),여성건강간호학1,2 .수문사
·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최순희 외(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중증 패혈증과 패혈쇼크의 치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박순영 외 1명
· 근거 중심의 패혈증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정현
· 패혈증의 치료 동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패혈증과 다장기 부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약제팀a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안위를 확인하여 필요 시 추가적인 도움을 드렸다.
간호수행
교육적 수행
15.패혈증으로 인한 고체온은 감염과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염이 혈류를 통해 퍼지면서 체내 면역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염증 매개체가 방출되어 열이 발생하는데, 고체온은 체내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깨뜨리고, 심장, 뇌,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혼란, 경련, 의식 저하, 부정맥, 심부전, 호흡 곤란, 신부전, 간 기능 저하 및 소화기 장애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6.대상자에게 고체온 시 비약물적인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땀을 잘 흡수하는 소재 및 가볍고 통기성 좋은 옷을 입도록 한다.
-몸을 식히기 위해 찬물 샤워를 하거나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도록 한다.
-얼음주머니를 겨드랑이 부위에 적용하도록 한다.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동을 최소로 유지하도록 한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심장과 신장 질환이 없다면 1일 2L 이상의 수분섭취를 하도록 한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해 몸의 회복을 돕도록 한다.
-고체온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병원에 방문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체온 정상 범위 내에서 측정된다.
2.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이다.
3.대상자는 퇴원 시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4.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체온 조절을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을 인식하고 적절히 수행한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8시간 안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 내 측정된다.
2.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오한, 오심, 구토 증상 중 2가지 이상 호전되었다고 말한다.
3.대상자는 3일 안에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감소한다.
4.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비약물적 방법 1가지 이상 수행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조동숙 외 (2012),여성건강간호학1,2 .수문사
·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최순희 외(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중증 패혈증과 패혈쇼크의 치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박순영 외 1명
· 근거 중심의 패혈증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정현
· 패혈증의 치료 동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패혈증과 다장기 부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약제팀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