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최초기경전에 나타난 지와 관
(1) 지개념의 전개
(2) 관의 대상
2. 사부사아함에 보이는 지관
(1) 단독의 지와 관
(2) 지관의 의미와 성격
(3) 선정수행으로서 지관의 위치
Ⅲ. 결론
Ⅱ. 본론
1. 최초기경전에 나타난 지와 관
(1) 지개념의 전개
(2) 관의 대상
2. 사부사아함에 보이는 지관
(1) 단독의 지와 관
(2) 지관의 의미와 성격
(3) 선정수행으로서 지관의 위치
Ⅲ. 결론
본문내용
識入處. 無所有入處. 非想非非想入處."
이 있어서 이 문제를 논의하는 데 도움된다. 즉, 초기에서 부파에 이르기까지 주요 禪定法으로서의 체계를 지닌 四無量心·四禪·四無色定
) 이에 대해서는 졸고 「원시불교의 禪定說 연구-四禪說을 중심으로」, pp.42-51 참조.
을 성취하기 위한 기초적인 修行으로서 止觀이 설정되어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자료에 근거해서 말하자면, 止觀은 일련의 禪定修行을 위한 예비적 수행으로서의 위치에 서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초기·부파불교의 수행법의 종합적인 틀로 간주할 수 있는 37보리분법과 止觀이 함께 설해진 자료
) MN.Ⅲ,p.289(Mah sa yatanikasutta), pp.296-297(Pi ap parisuddhisuttam).
도 발견된다. 37보리분법이 모두 나타나 있다는 사실은 이미 경전 편집 당시에 수행의 체계가 갖추어져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경전에서 念(sati), 三昧(sam dhi)가 먼저 등장하고, 이어서 37보리분법의 각 항목이 설해진 다음, 止觀이 따로 설정된 점은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즉, 당시 경전 작성 과정에서 止觀을 여러 禪定修行을 포괄하는 술어로 간주했을 가능성과 더불어 다른 禪定修行을 지칭하는 용어들과는 차별되는 止觀만이 지닌 성격을 인정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止觀을 禪定修行의 성취에 필수적인 기본적인 수행법으로, 또 다른 측면으로는 다양한 禪定修行이 체계화되는 과정에서 止觀을 중심으로 한 틀짜기가 시도되다가, 그 결과로 止觀이 초기·부파불교의 禪定을 대표하는 술어로 자리잡아 대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가늠해볼 수 있다.
Ⅲ. 결론
止觀修行의 이해가 후대에 확립된 테라바다의 전통적 해석에만 의존해서는 곤란하다는 문제를 서두에서 제기한 바 있다. 최근에 비파사나[觀]에 대한 관심의 고조가 看話禪 일변도의 전통적 禪의 이해방식에 대한 비판의식과 맞물려 있는 것이라면, 止觀이야말로 석가모니가 수행한 근본禪이라는 권위를 내세워 테라바다의 전통을 우선시해서 그들의 해석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여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논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止觀修行을 이해하고자 했기 때문에 그 근원인 초기불전에서 止觀의 연원을 문제삼았다. 그러나 초기불전에서는 止觀이 확립된 수행체계로서 구체적인 서술로 나타나 있지 않은 사정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이지만 止觀의 어원이 되는 개념들을 하나 하나 검토해서 止觀수행의 바탕을 드러내려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최초기불전의 분석 결과, 止는 '소박한 일상적 의미→감각적 욕망·감각기관·식별작용의 그침→열반에 가까운 개념'으로 그 의미가 전개되어 온 것으로 파악했다. 논자는 특히 止개념이 '감각적 욕망'과 '집착'이 그치고 사라진 상태가 止임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그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止가 '그침·적정·평온'의 의미라고 해서, 자칫 止를 신비적인 상태로 이해할 위험성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禪定修行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마음상태를 그치는 것이 止라면, 초기불교의 根本禪은 욕망의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욕망이라는 끊임없는 갈증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하게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禪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觀의 대상으로는 '성스러운 진리, 연기, 정법, 접촉된 대상, 안온'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觀은 최초기불전에 나오는 서술의 대부분이 '인식대상 또는 이미지'를 보고, 그것의 발생과 사라짐에 대한 '통찰'을 통해 무상·고·무아의 이치를 체득하는 수행이라는 기존의 이해와 차별을 둘만한 내용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觀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자리잡은 수행체계임을 확인하였다.
아함에서도 止가 단독으로 나타난 몇가지 용례를 찾아, '止滅, 輕安'의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아함에서 止와 觀은 결합된 용례가 일반적이며, '正覺을 이루는 수단'·'正見을 일으키는 두 가지 인연으로 하나'로 서술되어 있는 점을 들어, 止觀이 중요한 禪定修行으로서 간주되고 있다는 사실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禪定修行으로서 止觀의 위치는 四無量心·四禪·四無色定 등의 禪定을 닦는데 기본적인 수행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라는 가능성과 다양한 禪定의 술어를 止觀이라는 틀 안에서 포괄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도 밝혔다.
부파불교의 諸논서에서 止觀修行이 어떻게 보다 체계화 되어갔는지는 앞으로의 과제이다. 특히 천태지관으로 대표되는 대승에서의 止觀修行과 비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 참고문헌 >
1. 原典 및 사전류
· 『Sutta-Nip ta』, Pali Text Society, London, 1984년
· 『숫타니파아타』, 法頂 譯, 정음사, 1989년
· 『팔리어·한문 대조 法句經』, 동경대 인도철학연구실 編, 大島誠進堂書店, 1929년
· 『法句經』, 巨海 編譯, 고려원, 1993년
· 『Thera & Ther -g th 』, Pali Text Society, London, 1966년
· 『Pali Nik ya』, AN. Vol 1,2, AN.1,2
· 『大正新修大藏經』, 권1, 2, 동경, 1969년
· 『南傳大藏經』, 권23, 24, 25, 大藏出版株式會社, 1971년
· T.W.Rhys Davids & William Stede, 『Pali-English Dictionary』, PTS, London, 1986년
· 정승석 編, 『불전해설사전』, 高崎直道 外編, 春秋社, 1987년
2. 단행본 및 논문
· 김열권 편저, 『위빠사나 1』, 불광출판부, 1993년
· 平川彰, 『인도불교의 역사 上』, 민족사, 1991년
· 田上太秀·阿部肇一, 『인도의 선 중국의 선』, 최현각 譯, 민족사, 1991년
· 오형근, 『인도불교의 禪思想』, 한성, 1992년
· 김준호, 『원시불교의 禪定說 연구-四禪說을 중심으로』, 부산대, 1994
· 武邑尙邦, 『원시경전에 나타나 止觀의 의미』, 불교학 연구 n 12, 13, 용곡대학불교
학회, 1956년
· 舟橋一哉, 『원시불교 사상의 연구』, 法藏館, 1978년
· 中村元, 『원시불교에 있어서 止觀』(關口眞大, 止觀의 硏究), 岩波書店, 1975년
이 있어서 이 문제를 논의하는 데 도움된다. 즉, 초기에서 부파에 이르기까지 주요 禪定法으로서의 체계를 지닌 四無量心·四禪·四無色定
) 이에 대해서는 졸고 「원시불교의 禪定說 연구-四禪說을 중심으로」, pp.42-51 참조.
을 성취하기 위한 기초적인 修行으로서 止觀이 설정되어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자료에 근거해서 말하자면, 止觀은 일련의 禪定修行을 위한 예비적 수행으로서의 위치에 서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초기·부파불교의 수행법의 종합적인 틀로 간주할 수 있는 37보리분법과 止觀이 함께 설해진 자료
) MN.Ⅲ,p.289(Mah sa yatanikasutta), pp.296-297(Pi ap parisuddhisuttam).
도 발견된다. 37보리분법이 모두 나타나 있다는 사실은 이미 경전 편집 당시에 수행의 체계가 갖추어져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경전에서 念(sati), 三昧(sam dhi)가 먼저 등장하고, 이어서 37보리분법의 각 항목이 설해진 다음, 止觀이 따로 설정된 점은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즉, 당시 경전 작성 과정에서 止觀을 여러 禪定修行을 포괄하는 술어로 간주했을 가능성과 더불어 다른 禪定修行을 지칭하는 용어들과는 차별되는 止觀만이 지닌 성격을 인정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止觀을 禪定修行의 성취에 필수적인 기본적인 수행법으로, 또 다른 측면으로는 다양한 禪定修行이 체계화되는 과정에서 止觀을 중심으로 한 틀짜기가 시도되다가, 그 결과로 止觀이 초기·부파불교의 禪定을 대표하는 술어로 자리잡아 대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가늠해볼 수 있다.
Ⅲ. 결론
止觀修行의 이해가 후대에 확립된 테라바다의 전통적 해석에만 의존해서는 곤란하다는 문제를 서두에서 제기한 바 있다. 최근에 비파사나[觀]에 대한 관심의 고조가 看話禪 일변도의 전통적 禪의 이해방식에 대한 비판의식과 맞물려 있는 것이라면, 止觀이야말로 석가모니가 수행한 근본禪이라는 권위를 내세워 테라바다의 전통을 우선시해서 그들의 해석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여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논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止觀修行을 이해하고자 했기 때문에 그 근원인 초기불전에서 止觀의 연원을 문제삼았다. 그러나 초기불전에서는 止觀이 확립된 수행체계로서 구체적인 서술로 나타나 있지 않은 사정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이지만 止觀의 어원이 되는 개념들을 하나 하나 검토해서 止觀수행의 바탕을 드러내려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최초기불전의 분석 결과, 止는 '소박한 일상적 의미→감각적 욕망·감각기관·식별작용의 그침→열반에 가까운 개념'으로 그 의미가 전개되어 온 것으로 파악했다. 논자는 특히 止개념이 '감각적 욕망'과 '집착'이 그치고 사라진 상태가 止임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그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止가 '그침·적정·평온'의 의미라고 해서, 자칫 止를 신비적인 상태로 이해할 위험성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禪定修行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마음상태를 그치는 것이 止라면, 초기불교의 根本禪은 욕망의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욕망이라는 끊임없는 갈증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하게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禪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觀의 대상으로는 '성스러운 진리, 연기, 정법, 접촉된 대상, 안온'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觀은 최초기불전에 나오는 서술의 대부분이 '인식대상 또는 이미지'를 보고, 그것의 발생과 사라짐에 대한 '통찰'을 통해 무상·고·무아의 이치를 체득하는 수행이라는 기존의 이해와 차별을 둘만한 내용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觀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자리잡은 수행체계임을 확인하였다.
아함에서도 止가 단독으로 나타난 몇가지 용례를 찾아, '止滅, 輕安'의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아함에서 止와 觀은 결합된 용례가 일반적이며, '正覺을 이루는 수단'·'正見을 일으키는 두 가지 인연으로 하나'로 서술되어 있는 점을 들어, 止觀이 중요한 禪定修行으로서 간주되고 있다는 사실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禪定修行으로서 止觀의 위치는 四無量心·四禪·四無色定 등의 禪定을 닦는데 기본적인 수행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라는 가능성과 다양한 禪定의 술어를 止觀이라는 틀 안에서 포괄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도 밝혔다.
부파불교의 諸논서에서 止觀修行이 어떻게 보다 체계화 되어갔는지는 앞으로의 과제이다. 특히 천태지관으로 대표되는 대승에서의 止觀修行과 비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 참고문헌 >
1. 原典 및 사전류
· 『Sutta-Nip ta』, Pali Text Society, London, 1984년
· 『숫타니파아타』, 法頂 譯, 정음사, 1989년
· 『팔리어·한문 대조 法句經』, 동경대 인도철학연구실 編, 大島誠進堂書店, 1929년
· 『法句經』, 巨海 編譯, 고려원, 1993년
· 『Thera & Ther -g th 』, Pali Text Society, London, 1966년
· 『Pali Nik ya』, AN. Vol 1,2, AN.1,2
· 『大正新修大藏經』, 권1, 2, 동경, 1969년
· 『南傳大藏經』, 권23, 24, 25, 大藏出版株式會社, 1971년
· T.W.Rhys Davids & William Stede, 『Pali-English Dictionary』, PTS, London, 1986년
· 정승석 編, 『불전해설사전』, 高崎直道 外編, 春秋社, 1987년
2. 단행본 및 논문
· 김열권 편저, 『위빠사나 1』, 불광출판부, 1993년
· 平川彰, 『인도불교의 역사 上』, 민족사, 1991년
· 田上太秀·阿部肇一, 『인도의 선 중국의 선』, 최현각 譯, 민족사, 1991년
· 오형근, 『인도불교의 禪思想』, 한성, 1992년
· 김준호, 『원시불교의 禪定說 연구-四禪說을 중심으로』, 부산대, 1994
· 武邑尙邦, 『원시경전에 나타나 止觀의 의미』, 불교학 연구 n 12, 13, 용곡대학불교
학회, 1956년
· 舟橋一哉, 『원시불교 사상의 연구』, 法藏館, 1978년
· 中村元, 『원시불교에 있어서 止觀』(關口眞大, 止觀의 硏究), 岩波書店, 1975년
추천자료
- 간척사업의 개념
- 연례악의 개념 및 분류
- 지식경영의 개념과 정의에 대한 이해
- 르네상스의 개념과 특징
- 사회복지의 개념
- 발달심리학의 개념과 특징 관련이론
-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정책방향,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논하시오.
- 인간발달 개념, 인간발달 원리, 인간발달 단계
- 보육의 개념 필요성 목적
- 사회복지정책 개념을 정의하는데 있어 쟁점이 되는 7가지 내용을 설명
- 창의성의 개념,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접근,창의성과 교육,창의성 검사,창의적 사고기법,브랜...
- 통합방법론의 개념과 특징, 통합적 방법론 등장배경, 통합방법론 과정(단계)
- 빈곤의 개념 및 정의, 빈곤의 원인, 빈곤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