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맹자의 사상에 대하여
1. 성선설(性善說)
2. 사단설(四端說)
3. 대장부(大丈夫)
4. 호연지기(浩然之氣)
1. 성선설(性善說)
2. 사단설(四端說)
3. 대장부(大丈夫)
4. 호연지기(浩然之氣)
본문내용
그 어떤 유혹이나 위협에도 굴하지 않는 참된 용기를
지닌 사람을 맹자는 \'대장부\' 또는 \'대인\'이라고 하였다.
성인 군자가 이에 속하며 이와 반대로 감각적·생리적 욕구에 이끌려서
본성(4덕)을 무시해 버리거나 내 버려둠(자포자기)으로써 도량이 좁고 품성이
거친 사람을 \'소인\'이라고 했다.
4. 호연지기(호연지기)
맹자는 어려움 속에서도 인간의 본성을 항상 간직하는 사람을 \'선비\'라고
하였는데, 선비는 마음가짐이 흔들리지 않고 늘 올바른 일(의)을 매일같이
쌓아가야 하며, 이렇게 의로운 생활을 계속하면 \'지극히 크고 굳세고 곧은 기상\'이
생기는데, 이를 \' 호연지기\'라 하였다. 즉 호연지기란, 그 마음이 공명정대하며
천하에 부끄러움이 없고 그 신념이 절대 꺾이지 않는 높은 기상을 말한다.
지닌 사람을 맹자는 \'대장부\' 또는 \'대인\'이라고 하였다.
성인 군자가 이에 속하며 이와 반대로 감각적·생리적 욕구에 이끌려서
본성(4덕)을 무시해 버리거나 내 버려둠(자포자기)으로써 도량이 좁고 품성이
거친 사람을 \'소인\'이라고 했다.
4. 호연지기(호연지기)
맹자는 어려움 속에서도 인간의 본성을 항상 간직하는 사람을 \'선비\'라고
하였는데, 선비는 마음가짐이 흔들리지 않고 늘 올바른 일(의)을 매일같이
쌓아가야 하며, 이렇게 의로운 생활을 계속하면 \'지극히 크고 굳세고 곧은 기상\'이
생기는데, 이를 \' 호연지기\'라 하였다. 즉 호연지기란, 그 마음이 공명정대하며
천하에 부끄러움이 없고 그 신념이 절대 꺾이지 않는 높은 기상을 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