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유아를 위한 국악교육
Ⅲ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국악교육
Ⅳ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에서의 국악 교육활동
Ⅴ 결론 및 제언
Ⅱ 유아를 위한 국악교육
Ⅲ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국악교육
Ⅳ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에서의 국악 교육활동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문화를 통한 문화정체감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따라 전통예술에 대한 태도도 한걸음 나가 전통예술에보다 친숙해 지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에서는 각 주제에 따른 국악교육활동이 확대되어 특정 주제 중심으로만 이루어졌던 상태에서 벗어나 미흡하나마 여러 주제에서 연속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되어있다.
. 수준별 활동에서도 상당히 미흡하지만 수준별에 따른 활동들이 제시 되어있어 현장에서 수준별 고려를 제시하는 예시가 된다.
. 영역별 내용 역시 특정 영역 중심에서 벗어나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어 다루어져 있어 통합교육과정의 융통성을 제시하는 기반이 된다. 그러나 「자유선택활동」보다는 「집단 활동」이 훨씬 많다는 것을 교육과정운영에서 제고를 해보아야 할 부분이다.
. 구체적 내용에서는 아직도 국악기가 너무 제한적이며 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다. 또한 국악 감상활동에서는 감상곡의 제시가 구체적이지 못해 아직 유아들에 적절한 기준이나 자료탐색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검토와 자료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내용에서 숫자로 제시되지 않았지만 각 주제의 환경구성이나 간접활동을 통하여 접할 수 있는 국악활동의 폭은 더 넓어졌다.
셋째,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국악교육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면 전통문화와 전통예술로 언급되어 있으며 이중 국악교육은 전통문화에서도 다루어지지만 전통예술에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유치원지도자료를 살펴보면 10주제중 8주제에서 국악교육을 내포하고 있었고, 이는 미흡하나마 환경구성, 영역별, 수준별 활동에 포함되어 있어 대체적으로 연관성과 통합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 형성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아직 용어의 정리가 안되어 고전악기, 전통악기, 국악기로 사용하거나 전래민요, 민요, 전통음악 등으로 사용되는 혼란감이 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몇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본 연구에서 검토한 제 6차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는 제 5차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의 활동과 대체로 중복되지 않으므로 제 6차 자료 개발시 고려했던 바대로 5차 자료와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훨씬 다양하고 폭넓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아직도 미흡한 국악기 확보, 국악 감상곡, 국악기 다루기 등 뿐만 아니라 국악 장단에 대한 교사의 기초교육을 위해 재교육 프로그램과 재학생의 교육과정 구성 검토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며 더불어 용어 정리가 되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통 춤 활동의 확대만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 춤활동의 기본 지식 없이 비슷한 동작 흉내를 내는 수준의 변화를 위해 전통 춤 활동의 기본지식을 갖출 수 있는 노력과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문화전달자로써의 교사는 국악활동에 대해 열정적으로 임하는 자세를 갖고 본인이 즐거움을 느껴 유아들이 모델링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들이 국악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자유선택활동 자료를 개발하여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환경과 기회를 풍부히 주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부모 교육을 통한 국악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한다면 교육과정에 수록된 이상의 효과를 거둘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1999)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 1-12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1992)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김정순(1997) '음악개념형성을 중심으로 한 국악교육이 만 5세 유아의 국악음악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신대철(1993) 우리음악, 그 맛과 소리깔. 서울: 교보문고
신인숙(2000) '유아의 음감과 리듬감 인지에 관한 연구'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한국유아교육학회
안재신(1999)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유아음악교육'. 유아음악교육 교사 연수회. 한국음악교육학회
(2000)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한국유아교육학회
양은정(1996)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기숙(1992)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이성천(1991) '국악동요창작에 대한 몇가지 의견' 제1차 국악동요 작곡을 위한 워크삽, 국립 국악원·삼성문화재단
이순례, 김정준, 조윤미, 김정순(1999a). '나와 유치원에 대한 국악음률활동의 실제.' 어린이 교육(창간호). 사단법인 대한어린이교육협회.
이순례, 김정준, 조윤미, 김정순(1999b). 유아를 위한 전통문화 교육활동;국악 편. 교육부.
이순례(1999c). '유아국악음률교육과정 연구' 강남대학교논문집 제34집. 강남대학교.
이순례(1998). '유아국악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집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인문과학논집. 제 6집. 인문과학연구소.
이순례(1997). '유아 국악교육에 관한 일 연구-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비교'. 강남대학교 논문집 제30집.
이순례, 김정준(1997). '문학을 통한 국악 교육의 활동 방안'. 어린이교육 15집.
이순례, 김명순, 김지영, 박희숙(1996). 유아음률교육활동자료. 교육부.
이흥수(1999). '유아의 음악적 성장을 돕는 교육'. 유아음악교육 교사 연수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임수연(1995). '현행국악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조윤미(1998). 유아기 전통 음률활동. 서울: 한국어린이육영회.
Campbell, P.S. & Scott-Kassner, C.(1995).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Grades, New York: Schirmer Books.
Kathleen M. Bayless, Marjorie E. Ramsey(1991). Music: A Way of Life for the Young Child 4thed. Merrill.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둘째,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에서는 각 주제에 따른 국악교육활동이 확대되어 특정 주제 중심으로만 이루어졌던 상태에서 벗어나 미흡하나마 여러 주제에서 연속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되어있다.
. 수준별 활동에서도 상당히 미흡하지만 수준별에 따른 활동들이 제시 되어있어 현장에서 수준별 고려를 제시하는 예시가 된다.
. 영역별 내용 역시 특정 영역 중심에서 벗어나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어 다루어져 있어 통합교육과정의 융통성을 제시하는 기반이 된다. 그러나 「자유선택활동」보다는 「집단 활동」이 훨씬 많다는 것을 교육과정운영에서 제고를 해보아야 할 부분이다.
. 구체적 내용에서는 아직도 국악기가 너무 제한적이며 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다. 또한 국악 감상활동에서는 감상곡의 제시가 구체적이지 못해 아직 유아들에 적절한 기준이나 자료탐색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검토와 자료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내용에서 숫자로 제시되지 않았지만 각 주제의 환경구성이나 간접활동을 통하여 접할 수 있는 국악활동의 폭은 더 넓어졌다.
셋째,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국악교육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면 전통문화와 전통예술로 언급되어 있으며 이중 국악교육은 전통문화에서도 다루어지지만 전통예술에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유치원지도자료를 살펴보면 10주제중 8주제에서 국악교육을 내포하고 있었고, 이는 미흡하나마 환경구성, 영역별, 수준별 활동에 포함되어 있어 대체적으로 연관성과 통합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 형성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아직 용어의 정리가 안되어 고전악기, 전통악기, 국악기로 사용하거나 전래민요, 민요, 전통음악 등으로 사용되는 혼란감이 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몇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본 연구에서 검토한 제 6차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는 제 5차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의 활동과 대체로 중복되지 않으므로 제 6차 자료 개발시 고려했던 바대로 5차 자료와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훨씬 다양하고 폭넓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아직도 미흡한 국악기 확보, 국악 감상곡, 국악기 다루기 등 뿐만 아니라 국악 장단에 대한 교사의 기초교육을 위해 재교육 프로그램과 재학생의 교육과정 구성 검토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며 더불어 용어 정리가 되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통 춤 활동의 확대만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 춤활동의 기본 지식 없이 비슷한 동작 흉내를 내는 수준의 변화를 위해 전통 춤 활동의 기본지식을 갖출 수 있는 노력과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문화전달자로써의 교사는 국악활동에 대해 열정적으로 임하는 자세를 갖고 본인이 즐거움을 느껴 유아들이 모델링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들이 국악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자유선택활동 자료를 개발하여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환경과 기회를 풍부히 주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부모 교육을 통한 국악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한다면 교육과정에 수록된 이상의 효과를 거둘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1999) 유치원 교육활동지도자료 1-12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1992)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김정순(1997) '음악개념형성을 중심으로 한 국악교육이 만 5세 유아의 국악음악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신대철(1993) 우리음악, 그 맛과 소리깔. 서울: 교보문고
신인숙(2000) '유아의 음감과 리듬감 인지에 관한 연구'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한국유아교육학회
안재신(1999)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유아음악교육'. 유아음악교육 교사 연수회. 한국음악교육학회
(2000)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한국유아교육학회
양은정(1996) '유아 국악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기숙(1992)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이성천(1991) '국악동요창작에 대한 몇가지 의견' 제1차 국악동요 작곡을 위한 워크삽, 국립 국악원·삼성문화재단
이순례, 김정준, 조윤미, 김정순(1999a). '나와 유치원에 대한 국악음률활동의 실제.' 어린이 교육(창간호). 사단법인 대한어린이교육협회.
이순례, 김정준, 조윤미, 김정순(1999b). 유아를 위한 전통문화 교육활동;국악 편. 교육부.
이순례(1999c). '유아국악음률교육과정 연구' 강남대학교논문집 제34집. 강남대학교.
이순례(1998). '유아국악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집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인문과학논집. 제 6집. 인문과학연구소.
이순례(1997). '유아 국악교육에 관한 일 연구-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비교'. 강남대학교 논문집 제30집.
이순례, 김정준(1997). '문학을 통한 국악 교육의 활동 방안'. 어린이교육 15집.
이순례, 김명순, 김지영, 박희숙(1996). 유아음률교육활동자료. 교육부.
이흥수(1999). '유아의 음악적 성장을 돕는 교육'. 유아음악교육 교사 연수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임수연(1995). '현행국악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조윤미(1998). 유아기 전통 음률활동. 서울: 한국어린이육영회.
Campbell, P.S. & Scott-Kassner, C.(1995).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Grades, New York: Schirmer Books.
Kathleen M. Bayless, Marjorie E. Ramsey(1991). Music: A Way of Life for the Young Child 4thed. Merrill.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추천자료
- 유아교육의 중요성과 유아교사의 역할 및 보육교육시설과 보육교육활동 구성에 대한 느낀점(...
- 장애영유아의 특성과 발견 및 진단, 장애영유아의 보육, 장애영유아의 교육, 장애영유아(특수...
- 몬테소리 일생과 저서, 몬테소리 유아교육의 정의, 몬테소리 유아교육의 인간관과 아동관, 몬...
- [인성][유아 인성교육]인성의 정의, 인성의 특성, 유아 인성교육(유아 인성지도)의 개념, 유...
- 건강의 정의, 건강과 질병, 건강과 운동, 유아 건강지도(유아 건강교육)의 내용, 유아 건강지...
-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형태와 필요성, 독서교육(독서지도)의 문제점, 유아 독서교육(독서지도...
- [유치원장학][유아교육장학]유치원장학(유아교육장학)의 개념, 유치원장학(유아교육장학)의 ...
- [전통놀이][유아 전통놀이][유아교육][유치원교육]전통놀이의 본질, 전통놀이의 특징, 전통놀...
- 현대 개혁주의 세계관적 관점의 영유아교육 - 영유아교육 목적에서의 적용, 영유아교육 내용...
- [★★추천PPT★★] [생태유아교육 모든 것] 생태유아교육 개념, 생태유아교육 특징, 생태유아교육...
- 유아동작 교육의 이해 - 유아동작 교육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유아 동작교육의 이...
- (2015 특수아교육A형)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최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