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가출 예방을 위한 가족 및 지역복지 서비스 모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연구목적 및 배경

II.가출원인에 관한 문헌연구

III.이론적 틀

IV.연구방법

V.결과

VI.논의 및 함의

VII.문제 예방을 위한 서비스 모형

VIII.맺는 말

본문내용

는 것은 가족 상호관계 패턴이나 환경을 고치는 것보다는 어려운 일이다.
) M. P. Leiter & C. Maslach,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nvironment on burnout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9(4), 1988, pp.297-308.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주요 가출 유발 요인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성격적인 면에서도 모든 것을 남의 탓으로 돌린다거나 스스로 무엇인가를 결정하고 실행하지 못하는 청소년인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사회복지사나 전문 가족치료 기관을 통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외적 통제의 위치 성향은 청소년들 자신의 행동이 어떤 상황에 어떤 차이도 발생시키지 못한다는 무력감이 습관화되면서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무력감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또는 무력감의 심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동과 어떤 일의 결과가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즉, 타인의 행동이나 일의 결과 등이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받는다라는 생각과 체험을 조금씩 넓혀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는 구체적이며 성취 가능한 작은 목표를 설정해 주고 그것을 실천하도록 하여 그 일이 성취되었을 경우 그에 대한 칭찬, 격려와 축하를 해 줌으로써 자신감을 고취하게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점진적으로 보다 어려운 일들에 대한 대응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자율적이지 못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해 자신이 책임을 질 수 있는 능력을 점차적으로 길러 주기 위해서는 가족과 학교 생활 속에서 각 구성원들 사이의 심리 사회적 경계 (boundary)문제를 확실히 해 주는 치료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본다.
) H. Cloud & J. Townsend, "Boundaries and your children", Boundaries: When to say yes, when to say no to take control of your life,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2, pp. 167-192.
이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첫째, 무엇에 책임을 져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다.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행동은 물론, 자신의 욕구와 감정까지도 책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신의 과도한 욕구, 무리한 자신의 감정까지도 남의 탓으로 돌릴 때는 정확한 지적을 통해서 자기 자신이 통제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무엇에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가에 대한 훈련이다. 타인의 행동, 타인이 갖고 있는 감정, 느낌 및 욕구로 인해 자기 자신이 괴로워하는 현상도 심리, 사회적 경계의 불확실성에서 오는 현상이다. 따라서 타인이 제멋대로 갖고 있는 생각과 감정들이 자신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생각하고 우울해 하는 경우는 찾아내어 바르게 고쳐 줘야 한다.
셋째로, 정확한 '아니오(No)'를 할 줄 아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이것은 자신의 의견과 욕구, 기분 등을 정확히 표현할 줄 능력과 관계된다. 평소에 부모 및 선생님과도 다른 의견을 갖고 있거나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켜 주고 그에 대한 명확한 표현과 함께 설명을 하도록 한다. 자신이 '아니오' 또는 '싫어'라는 말을 함으로써 친구, 부모, 또는 선생님이 나쁜 반응을 보일 것을 염려해서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은 타인의 행동, 생각, 감정까지도 책임지려 하는 현상에서 나오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의 흡연, 본드 흡입, 마약 복용 등의 비행의 대부분이 친구의 권유에 '싫어'라는 표현을 함으로써 오는 책임을 자기가 지려 하다가 타인에 예속되는 현상에서 오고 있다고 본다. 시작 단계에서 명확한 한계 설정을 함으로써 남의 요구를 무조건 받아들이지 않는 훈련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이 많은 부분 해결될 것이라 본다.
넷째로는, 타인의 '아니오(No)'를 받아들일 줄 아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친구, 부모, 또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요구를 거절할 경우, 그것을 존중하고 기분 나빠하지 않는 자세를 훈련시켜야 한다. 이것은 남이 설정한 경계를 존중해 주는 것으로써, 이것을 통해 자신의 경계도 보호받을 수 있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만족 또는 욕구의 지연에 대한 연습이다. 자신의 충동, 욕구, 욕망에 대해 '아니오(No)'할 줄 아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이것은 나중을 위해 현재의 고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인내할 줄 아는 능력을 길러 줌으로써, 현재의 고통으로 인해 가출이라는 극단적 행동에 이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VII. 맺는 말
청소년은 경제, 사회, 정서, 정신적인 면에서 아직은 혼자 설 수 없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다. 이들은 일차적으로 가정이라는 사회에 의해 도움을 받으면서 성장하고 가정은 사회 체계의 여러 가지 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가출청소년 문제는 청소년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며, 가정만의 문제도 아니고 우리 사회 전체의 문제임이 본 연구를 통해서 지적되었다. 가정을 둘러싼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향락 퇴폐 문화, 빈부의 격차로 인한 위화감, 권위의 부재, 가치관의 혼돈, 현실 중심적인 감각적인 문화들이 함께 어우러져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가정 구조와 가족자원을 가진 청소년들을 좌절하게 하고 부정적인 사고를 갖게 하며, 급기야는 자기 스스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에 사로잡혀 가출이라는 극단적인 도피 행위를 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책임을 개인, 가정 누구에게도 물을 수가 없다. 학교와 지역사회와 가정이 함께 손을 잡고 소외된 청소년 및 그 가정에 따뜻한 관심을 보일 때 가출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갈 것이라 생각한다. 예방책에서 제시된 각종 대책들은 어느 한가지만에 치중함으로써는 가출예방 효과를 가져올 수 없다고 본다.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복지관 및 기타 관련 기관들간의 긴밀한 협조 하에 모든 대책들이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될 때 청소년 가출은 예방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2.03.3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