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체육의 개념정립 및 발전방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유아체육의 개념정립 및 발전방향

Ⅰ. 서론

Ⅱ. 체육의 개념
1. 체육이란 무엇인가?
2. 체육의 의미

Ⅲ. 유아의 성장 및 발달특성
1. 성장과 발달의 개념
2. 유아의 인지, 정서, 사회성의 발달
3. 운동발달단계와 학습수준

Ⅳ. 유아체육의 발전방향
1. 교육으로서의 유아체육
2. 사회체육으로서의 유아체육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국 유아체육의 발전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체육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불완전하고 미숙한 유아를 계획적인 신체 활동 놀이를 통하여 이상적인 성인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유아체육의 필요성과 체육의 교육적 기능을 교육학자, 체육학자, 유아교육의 현장교사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 인식시키는 것이다.
둘째, 발달적 체육교육에 의거하면 일반적으로 유아기에 형성되는 성숙단계에 이르게 된 운동기술은 다른 동작으로 전이되어 평생 유용하게 활용된다.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동작을 위한 학습(learning to move) 즉, 보다 더 정확하고 안전하며 빠르게, 높이, 멀리 움직일 수 있는 동작 자체를 학습하는 프로그램(예: 바르게 걷기, 달리기, 정확하게 차기, 태권도의 운동 기술 익히기 등)과 동작을 통한 학습(learning through movement) 즉, 움직임을 통하여 언어, 수의 개념, 탐구, 사회생활 등의 학습을 하는 프로그램(예: 팔꿈치로 '아기' 글씨를 크게 써보자, 바람처럼 움직여 보자, 또한 바람이 불 때 나뭇잎, 빨래줄, 태극기는 어떻게 움직이나 함께 움직여 보자 등)이 개발되어 체계적인 유아체육 교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교육기관과 지역사회 스포츠클럽의 협동체제 구축으로 교육으로서의 유아체육과 사회체육으로서의 유아체육이 균형 있게 발전되기 위하여 체육시설이 부족한 교육기관의 유아들은 주 1-2회 인접한 스포츠 센타에서 놀이활동을 할 수 있게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 체육관에서는 스포츠 종목(예: 태권도, 수영, 무용 등) 뿐만 아니라 유아의 인지 및 정서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실시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발달적 체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유아체육이 평생체육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유아기 신체활동은 재미있고 즐거운 놀이 중심 활동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활발하게 운동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교육부(1994).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경숙(1996). "학교체육, 사회체육, 엘리트체육의 협동체제 구축을 통한 체육의 균형적인 발전추구에 대한 제언" 체육학회보, 제66호. 한국체육학회. 18-21.
김기웅, 곽은정(1996). 유아 및 아동체육. 서울:보경문화사.
김상국 외(1998).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7권 제4호. 111-118.
김용욕 외(1997). "초등학교 아동의 체력과 사회.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4권 제1호. 67-78.
김종선, 정청희(1982). 체육원리. 서울:동화문화사.
무용교육학회(1996).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한학문화.
문화체육부(1995). 취학 전 아동의 체격 및 체력 육성을 위한 체육놀이 프로그램 개발. 문화체육부.
박경숙, 장명림, 임진영(1993). 현장관찰을 통한 유치원 교육활동 분석 연구. 연구보고 96-16. 한국교육개발원.
유상석, 한상태(1999). 교사 재교육이 아동의 기초적 움직임 기술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6권 제1호. 69-85.
이희선(1999). 놀이를 통한 무용학습. 서울:학지사.
정동성(1991). 국민생활체육. 서울:사초출판사.
정범모(1974). 교육과 교육학. 서울:배영사.
Barrow, H. M(1971). Man and his Movement; Principles of his Physical Education. Philadelphia:Lea and Febiger.
Brownell and Hagman(1951). Physical Education Foundation and Principle, New York:McGrow-Hill.
Council on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1992).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Reston, VA: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Diamond, E(1973). "Can Exercise improve brain power?", 이화체육학회지, 제7호.
Gabbard, C., LeBlanc, E.,&Lowy, S.(1987).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Englewood Chiffs, NJ:Prentice Hall
Gallahue, D. L(1989).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2nd ed). Debuque, IA:Brown.
Gallahue, D. L(1993).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elementary school children, New York:Macmillan Publishing Company.
Gallahue, D. L(1996).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USA:Times Mirror Higher Education Group, Inc.
Nixon, J. E. and A. E. Jewett(1974). An Introduction to Physical Education Philadelphia:W. B. Saunders Co.
Singer, R.(1996). Moving toward the quality of life. Quset, 48(3). 246-252.
Thomas, K. T., Lee, A. M., & Thomas, J. R.(1988).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Concepts into practice, Champaign, IL:Human Kinetics Books.
Williams. J. F.(1965). The Principle of Physical Education. Philadelphia:W. B. Saunders Co.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05.24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