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간과 노자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의 수준에서 유형적인 축의 양측 면적들은 원근법에 따라 먼 쪽이 축소되는 인상에 의해 서로 같은 모양이 유지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불완전한 대칭성만이 대칭성이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ex)capitolimus piazza 미켈란 젤로
기저선(baseline)을 가진 수직적 "mass"
-유형적인 기저부가 수직적 "mass"에 대칭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경우 좌우가 같지 않게 보여져 수직적 "매스"가 기울어진 것 같이 보이게 될 것이나 그 반면에 무형적인 기저부는 시각적 균형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항상 조절이 된다.
대칭형의 조절 가능한 균형은 무형적 축 또는 무형적 기저선의 형태로 무형적 축선을 내포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Entropy
자유로운 보정적 변화를 허용하기 위해 항상 빈 공간이 보존되어, 운동성에 의한 무형적 형태의 가능성을 갖도록 한다.
"mass"의 균형에 적용할 경우 비대칭 형태는 항상 균형 축에서 덜 펼쳐나간 쪽에 빈 공간이 보유되어 있다는 것을 의식적으로 재확인 할 수 있다.
"mass"의 무형적인 정반대의 모습이 시각적 물을 기준으로 공간 속에 암시된 위치를 갖기 때문이다.
-유형적인 모습과 무형적인 모습이 두 개가 한 구성의 부분들로 간주 될 때, 시각적 이미지와 심적 image의 조합 중심에 실존하는 균형 축을 볼 수 있으며, 균형 상태에서 벗어난 느낌은 소멸된다.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향하게 되는 관찰자 시선의 전이는 파상(波狀)운동 형태에 있으며 대칭 형태와 비대칭 형태 사이의 대비, 두 형태의 "리듬(rhythm)"이 활력을 제공하며, 각각의 형태의 무형적 균형에 의해 안정을 찾게 된다.
물리적이고 시각적인 균형에 의해 합성되어 창작된 안정과 평온은 공간 안에서 인간의 시각적 연속관계(sequence)에 있어 뚜렷한 박자와 같은 시제의 표징을 만들고 시각적 흥미의 고갈을 막는다.
mass의 균형을 통해 연속된 움직임이 완화된 후, 시각 에너지의 회복을 위해 주의는 빈 것(emptiness) 속으로 유인되고, 그 다음에는 또 다른 대상물로 옮겨지게 된다.
형태의 상보적 대조 때문만이 아니라, 표면 성질의 대조 때문에 연속적 균형들 사이의 움직임은 시각적 연속 관계상의구분을 건너뛰게 된다.
환경내에 있는 빛, 색, 형상 및 균형들에 의해서 축적된 많은 시각적 속성들로 인해서, 환경은 "멜로디"역할을 하는 고형체(solid)와 조화된 반주음 역할을 하는 공간(void)에 의해 역동적 표현을 느끼게 된다.
형태 없는 형태의 신축성은 의도적으로 제공된 융통성 있는 공간에 의해 다만 충분하지 않게 보존되며 암시될 뿐
노자는 생성을 허용하면서 충족하는 상태에 대하여 강조
융통성 있는 공간에 대한 탐구는 물리적으로 감싸여진 경계와 시각적으로 한정된 경계 사이에 있는 여백 안에 있음을 나타내 준다.
융통성 있는 공간에 대한 탐구는 물리적으로 감싸여진 경계와 시각적으로 한정된 경계 사이에 있는 여백 안에 있음을 나타내 준다.
둘레의 시각적 여백이 없으면 관찰자는 항상 기계적인 한계 속에 제한되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이다.
시각적 기준을 위해 넓은 여백이 준비되어 있다면 여백의 허용범위 안에서 자유로움을 느끼게 된다.
가시성의 배제
어떤 것이든 명확한 존재는 아니기 때문에 시각적 명확성이 나타나지 않도록 만든다.
-암흑이나 희미한 빛이 가득한 공간에서 흑색 천장은 눈에 보이지 않으며, 공간은 확대되어 보이고, 백색의 천장이나 물체는 눈에 많이 띠게 되기에 확장감은 줄어든다.
완전한 반사면은 자신이 명확한 존재를 갖지 않는다. 곧 공간 속에서 어떤 특정한 상태를 주장하지 않는다.
감싸여진 공간과 한정된 공간 사이의 균형, 명확한 경계들과 국한 된 경계들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공간의 수축성은 단일 환경내의 인간적 요인이 된다.
"흐름(flowing)"은 보통 지향성 공간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말한다.
시선이 공간 속에서 비어 있는 것(emptiness)의 유도에 의해, 또는 반발에 의해, 혹은 "mass"의 비어 있는 것 속을 관통하는 것에 의해, 경내(enclosure)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하도록 인도되었을 때 시선의 움직임이 곧 흐름을 의미.
빛, 색, 직감, 형상, 및 균형의 대조성과 상보성이 시각적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환경의 전체 시각적 내용에 따라 생기는 연속관계의 효과는 관찰자의 심적 상태에 의해서 여러 가지 수정된다.
지향성 공간 안에서의 흐름은 우리 기억의 개념적 연속성에 있어 두 연속된 환경들 사이에 개방성(openness) 대조에 의해 창출되며, 흐름 방향에 평행하게 서있는 고형체(Solid)들에 의해 상보적으로 인도된다.
열림 환경은 신체적 및 광학적인 운동을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많은 주의력을 수급하고, 좁은 공간의 밀집된 인상은 전진운동을 가속화하게 된다.
생동성은 생성하는 잠재력을 필요로 한다. 공간에서 범람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흐름의 방향과 수직관계에 있는 유형적 "mass"로 암시되는 무형적 선에 의해 환경을 결합하게 된다.
존재(being)와 무 존재(non-being)사이의 흐름의 효과이다.
시선은 환경의 주변을 따라 유리된 선에 의해 환경의 어귀를 넘어 갈 때 일시적으로 머뭇거리다가, 끝에 가서 관성적 억제가 극복되면 그것을 넘어서기 위해 뒤로 물러서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음악에서의 "리타드(retard:박자를 늦추는 것)" 와 같다. 사람의 시선을 잠시 멈추도록 유지시킴으로서 시선의 끝없는 움직임으로 그 자체가 증발하는 것을 막는다.
열을 지어 선 평판 면들은 면을 넘어서 광방향의 개방감을 암시해 주고 횡방향의 감싸여짐(confinement)에 의해 종방향의 행동을 감소시킨다.
공간 속에서 시각적 연속관계(sequence)의 2차적 및 3차적인 조정은 균형과 평행이 함께 구성의 결과로 수반되는 조화이다.
개념적 연속성 수준에서 연속관계의 효과는 주관적이며 미완성적이다. 음악이 심리적으로는 실존하지만 물리적으로는 무-존재(non-being)인 것에 반하여 건축적인 연속성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만 심리적으로는 무 존재인 것이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6.19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