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러시아 역사 개관
2. 레닌과 볼세비키혁명
3. 스탈린과 위로부터의 혁명
4. 고르바쵸프와 페레스트로이카
2. 레닌과 볼세비키혁명
3. 스탈린과 위로부터의 혁명
4. 고르바쵸프와 페레스트로이카
본문내용
유래된 것이 아니라 러시아의 전통에서 나온 것.
⑤ 스탈린에 의해 제도화된 소련사회
-테러정치체제; 전제주의 독재체제의 확립
-극단적 동원체제; 국가적 자원을 국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동원
-혁명적 추진력의 상실; 보수적 안정에 머무름
-민족주의적 가치창조
-엄청난 관료사회; 사회 모든 부분을 관리, 통제(주체는 노멘클라투라, 이들이 갖는 Fringe benefit은 엄청남)
4. 고르바쵸프와 페레스트로이카
1) 고르바쵸프의 등장: 1985년 봄에 서기장으로 집권. 당시 54세로 젊은 지도자⇒ 스탈린의 대숙청기간 동안 급 성장하여 스탈린의 제도에 익숙한 다른 최고위층들의 연령에 비하면 고르바쵸프는 상대적으로 젊다는 의미. 고르바쵸프는 1956년에 정계에 입문하여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정치인으로서 스탈린에 의해 정착된 소련혁명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갖고 있는 탈 스탈린 세대.
2) 페레스트로이카 (재건설의 의미)
① 페레스트로이카의 필요성: 당시 소련사회의 경제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서 위기상황은 아니었지만 위기의 전 단계, 즉 위기가 예상되는 단계였음.(연 평균 경제성장률: 1960대7%, 1970년대 5%, 1980년대 초 3%) 이는 소련경제체제 자체에 근본적인 결함에 기인.
*근본적 결함: 국가 주도하의 불균형 성장(고도로 산업화된 사회에 부적절한 정책), 후기 산업사회의 발전의 주체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지만 소련은 국가주도의 계획되고 통제된 경제를 통한 국가발전을 도모함으로써 관리체제하에서 생산성이 극도로 하락하고 비효율적.⇒경제체제 개혁의 근본적인 필요 자각.
*Marx; \"생산력에 따라 생산관계가 바뀌어야 한다.\"- 후기 산업사회에 필요한 생산관계가 필요⇒시장
3) 페레스트로이카의 목적: 인간 창의성의 개발과 과학기술의 산업에의 접목을 통한 경제의 활성화 ⇒ 사회주의체제의 유지, 강화, 회생. 즉 고르바쵸프가 지향하는 사회주의는 인간의 창의성을 강조하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4) 페레스트로이카의 과정: 급진적인 개혁을 위해 관료보수세력을 압도할 만한 권력이 필요. 이러한 권력의 지지기반으로 민중을 선택(민주화, 글라스토스트 표방). 또한 당 중심의 권력을 의회로 전환는 정치개혁을 단행하여 의회를 장악하지만 의회에서 권력을 휘두르기는 불가능⇒대통령제를 도입하여 대통령으로 당선⇒국내 보수파와의 대립으로 인한 사회혼란⇒보수세력과의 타협(고르바쵸프의 페레스트로이카는 사회주의의 붕괴가 아닌 사회주의의 유지가 목적이었기 때문에 타협이 가능)⇒사회혼란 지속⇒보수 쿠데타 발생⇒옐친의 주도로 국민들이 쿠데타를 저지⇒고르바쵸프의 개혁보다 더욱 급진적인 개혁을 원하는 국민에 의해 고르바쵸프는 몰락⇒고르바쵸프의 의도로 볼 때 페레스트로이카도 실패했다고 볼 수 있음(사회주의도 몰락했기 때문).
*옐친의 개혁은 페레스트로이카를 뛰어넘는 정책 지향. 즉 고르바쵸프가 사회주의의 범주안에서의 시장경제를 추구하였다면, 옐친은 사회주의와 단절된 시장경제 추구.
*중국은 동양적 전제의 특수성으로 인해 경제개혁만 이루는 것이 가능.
⑤ 스탈린에 의해 제도화된 소련사회
-테러정치체제; 전제주의 독재체제의 확립
-극단적 동원체제; 국가적 자원을 국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동원
-혁명적 추진력의 상실; 보수적 안정에 머무름
-민족주의적 가치창조
-엄청난 관료사회; 사회 모든 부분을 관리, 통제(주체는 노멘클라투라, 이들이 갖는 Fringe benefit은 엄청남)
4. 고르바쵸프와 페레스트로이카
1) 고르바쵸프의 등장: 1985년 봄에 서기장으로 집권. 당시 54세로 젊은 지도자⇒ 스탈린의 대숙청기간 동안 급 성장하여 스탈린의 제도에 익숙한 다른 최고위층들의 연령에 비하면 고르바쵸프는 상대적으로 젊다는 의미. 고르바쵸프는 1956년에 정계에 입문하여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정치인으로서 스탈린에 의해 정착된 소련혁명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갖고 있는 탈 스탈린 세대.
2) 페레스트로이카 (재건설의 의미)
① 페레스트로이카의 필요성: 당시 소련사회의 경제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서 위기상황은 아니었지만 위기의 전 단계, 즉 위기가 예상되는 단계였음.(연 평균 경제성장률: 1960대7%, 1970년대 5%, 1980년대 초 3%) 이는 소련경제체제 자체에 근본적인 결함에 기인.
*근본적 결함: 국가 주도하의 불균형 성장(고도로 산업화된 사회에 부적절한 정책), 후기 산업사회의 발전의 주체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지만 소련은 국가주도의 계획되고 통제된 경제를 통한 국가발전을 도모함으로써 관리체제하에서 생산성이 극도로 하락하고 비효율적.⇒경제체제 개혁의 근본적인 필요 자각.
*Marx; \"생산력에 따라 생산관계가 바뀌어야 한다.\"- 후기 산업사회에 필요한 생산관계가 필요⇒시장
3) 페레스트로이카의 목적: 인간 창의성의 개발과 과학기술의 산업에의 접목을 통한 경제의 활성화 ⇒ 사회주의체제의 유지, 강화, 회생. 즉 고르바쵸프가 지향하는 사회주의는 인간의 창의성을 강조하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4) 페레스트로이카의 과정: 급진적인 개혁을 위해 관료보수세력을 압도할 만한 권력이 필요. 이러한 권력의 지지기반으로 민중을 선택(민주화, 글라스토스트 표방). 또한 당 중심의 권력을 의회로 전환는 정치개혁을 단행하여 의회를 장악하지만 의회에서 권력을 휘두르기는 불가능⇒대통령제를 도입하여 대통령으로 당선⇒국내 보수파와의 대립으로 인한 사회혼란⇒보수세력과의 타협(고르바쵸프의 페레스트로이카는 사회주의의 붕괴가 아닌 사회주의의 유지가 목적이었기 때문에 타협이 가능)⇒사회혼란 지속⇒보수 쿠데타 발생⇒옐친의 주도로 국민들이 쿠데타를 저지⇒고르바쵸프의 개혁보다 더욱 급진적인 개혁을 원하는 국민에 의해 고르바쵸프는 몰락⇒고르바쵸프의 의도로 볼 때 페레스트로이카도 실패했다고 볼 수 있음(사회주의도 몰락했기 때문).
*옐친의 개혁은 페레스트로이카를 뛰어넘는 정책 지향. 즉 고르바쵸프가 사회주의의 범주안에서의 시장경제를 추구하였다면, 옐친은 사회주의와 단절된 시장경제 추구.
*중국은 동양적 전제의 특수성으로 인해 경제개혁만 이루는 것이 가능.
추천자료
한국전쟁의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인의 성격적,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미전도종족 profile
[독후감/서평/요약] 죄와 벌을 읽고 [인문과학]
[Mosaic1Reading] Chapter3 Relationships Part2 70 brides for 7 foreigners
모자이크1 chapter3 _70 brides for 7 foreigners
모자이크 chapter 3 (part 1 ~ 2)
통일에 대한 생각
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방통대 가정학과 B형]
고려인 강제이주
유라시아 강의록
[서양현대사] 독소전쟁사 독일과 소련 (2차 세계대전)
네오 마르크스주의 (Neo-Marxism)
[사회과학] 냉전의 기원에 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