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복지QC활동의 의의와 특징
III.복지QC활동의 전개 방법
IV. 복지QC 활동의 기법
1. QC의 7가지 도구
2. 신복지QC의 7가지 도구
V. 복지QC 활동의 사례연구
VI. 결론 및 제언
Ⅱ. 복지QC활동의 의의와 특징
III.복지QC활동의 전개 방법
IV. 복지QC 활동의 기법
1. QC의 7가지 도구
2. 신복지QC의 7가지 도구
V. 복지QC 활동의 사례연구
VI.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따라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기관에서 복지QC써클 활동을 도입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행정학회 내에 관심 있는 사람들로서 복지QC연구회를 조직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의 실정에 적합한 복지QC모형과 교육용 텍스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서비스의 질이 중요하다는 의식이 사회복지기관의 모든 직원들에게 보편적으로 인식되어, 사회복지사들은 이용자인 클라이언트(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자세가 습관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기관장 및 관리자들은 모든 직원이 참가하여 자주적인 복지QC써클활동을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조건을 정비한다. 즉 시간, 장소의 제공과 활동 재원의 확보 및 평가에 의한 보상, 그리고 법인의 자격으로 발표대회 개최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특히 최근에는 QC써클 개념에 권한부여(Empowerment)를 한 자율경영팀의 도입이 늘고 있는데, 기관장 및 관리자들은 일선 사회복지사들에게 임파워먼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즉 사회복지사들이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느끼고 그들의 작업을 보다 의미있게 만들 수 있도록 그들의 활동에 권한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복지기관 내에 복지QC써클 추진자를 결정하여 교육시키고, QC써클 리더와 멤버에 의한 사례연구 발표와 관련정보를 서로 교환한다.
그러나 서비스 분야와 제조업과의 차이점 등으로 인하여 세심한 주의 없이 기업의 품질관리분임조를 사회복지기관에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에서 복지QC활동을 도입함에 있어서, 하부의 의사결정을 어떻게 원활히 이루어낼 수 있으며, QC팀의 참여에 있어서 임시직이나 자원봉사자의 배제문제, QC를 위한 교육훈련의 문제로서 기술·기법의 개발과 재원·시간의 투자문제, QC서클 편성에 있어서 조직문화의 차이(한국, 일본과 미국), 그리고 QC의 가치관과 기법 양자간의 조화와 발전을 어떻게 이루어 나가느냐가 중요한 이슈와 전망으로 될 것이다.
이러한 QC써클 활동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해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품질경영(Quality Management : QM)으로의 전환이 요구되었고 최근에는 품질경영이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서 종합적 품질경영(TQM: Total Quality Management)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전미사회사업관리자네트웍(National Network for Social Work Managers)에 따르면 TQM은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리 스타일인 결과(목표)에 의한 관리를 대체하는 제 4세대 관리 스타일이라고 하고, 오히려 개정된 형태의 TQM이 사회복지기관 관리자를 비롯한 공공기관 관리자에게 가장 적합할 수도 있다(Edwards(eds). 1995: 2019)고 한다. 따라서 최근의 복지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의 실정에 적합한 복지관리 모형을 사회복지계는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성인. 1989. 서비스 산업에서의 품질관리, 서울: 청문각.
김태종, 박해근, 고용해. 1997. 최신 품질 경영론, 서울: 한올출판사.
김통원. 1998. "사회복지수용시설 평가제의 도입과 대비전략 - Self-Assessment 결과를 중 심으로", 한국사회복지의 패러다임 전환, 한국사회복지학회 '98 추계학술대회, 한 국사회복지학회.
안광구. 1998. 품질향상활동의 발자취- 품질경영ㆍ표준화 사업 36년사, 한국표준협회.
유영학. 1996. 품질 혁신과 일등품질을 위한 사례 중심의 품질 경영, 한국표준협회.
한국표준협회. 1992. 품질분임조 기본.
한국표준협회. 1993. 알기쉬운 QC 7가지 도구.
한한수. 1995. 품질관리, 서울: 경문사.
황성철. 1999.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평가와 행정 구조조정", 21세기 한국사회복지행정의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창립기념학술대회.
石川 馨. 노형진 역. 1985. 日本的 品質管理- TQC란 무엇인가, 서울: 京文社.
依田 浩. 1989. 品質管理入門, 東京: 朝倉書房.
日科技連門題解決硏究會. 1985. TQCおける問題解決法, 東京: 日科技連出版社.
日本科學技術聯盟. 1982. QCサワル網領.
日本福祉施設士會ㆍ福祉QC全國推進委員會 編ㆍ著. 1997. 福祉QC活動ガイドブツク.
全國社會福祉協議會ㆍ日本福祉施設士會 編著. 1991. 福祉QC活動の實際.
Arbose, J. R. 1980. "Quality Control Circles: The West Adopt a Japanese Concept", International Management, December.
Bendick, M. 1980. "Quality Control in a Federal State public Assistance Program", Social Work Administration, vol. 4(1), Haworth Press.
Edwards, R. L.(eds). 1995.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th Editio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Hansen, M.H. & Tepping, B.J. 1990. "Regression Estimates in Federal Welfare Quality Control Programs",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85, Issue 411.
Middleman, R.R. 1984. "The Quality Circle : Fad, Fix, Fiction?", Social Work Administration, vol. 8(1), NewYork: Haworth Press.
Salvin, M. 1985. An Introduction Services Management, NewYork: Haworth Press.
Weiner, M. E. 1990. Human Services Management, Belmont: Wadsworth Pub.
첫째, 사회복지행정학회 내에 관심 있는 사람들로서 복지QC연구회를 조직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의 실정에 적합한 복지QC모형과 교육용 텍스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서비스의 질이 중요하다는 의식이 사회복지기관의 모든 직원들에게 보편적으로 인식되어, 사회복지사들은 이용자인 클라이언트(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자세가 습관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기관장 및 관리자들은 모든 직원이 참가하여 자주적인 복지QC써클활동을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조건을 정비한다. 즉 시간, 장소의 제공과 활동 재원의 확보 및 평가에 의한 보상, 그리고 법인의 자격으로 발표대회 개최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특히 최근에는 QC써클 개념에 권한부여(Empowerment)를 한 자율경영팀의 도입이 늘고 있는데, 기관장 및 관리자들은 일선 사회복지사들에게 임파워먼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즉 사회복지사들이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느끼고 그들의 작업을 보다 의미있게 만들 수 있도록 그들의 활동에 권한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복지기관 내에 복지QC써클 추진자를 결정하여 교육시키고, QC써클 리더와 멤버에 의한 사례연구 발표와 관련정보를 서로 교환한다.
그러나 서비스 분야와 제조업과의 차이점 등으로 인하여 세심한 주의 없이 기업의 품질관리분임조를 사회복지기관에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에서 복지QC활동을 도입함에 있어서, 하부의 의사결정을 어떻게 원활히 이루어낼 수 있으며, QC팀의 참여에 있어서 임시직이나 자원봉사자의 배제문제, QC를 위한 교육훈련의 문제로서 기술·기법의 개발과 재원·시간의 투자문제, QC서클 편성에 있어서 조직문화의 차이(한국, 일본과 미국), 그리고 QC의 가치관과 기법 양자간의 조화와 발전을 어떻게 이루어 나가느냐가 중요한 이슈와 전망으로 될 것이다.
이러한 QC써클 활동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해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품질경영(Quality Management : QM)으로의 전환이 요구되었고 최근에는 품질경영이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서 종합적 품질경영(TQM: Total Quality Management)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전미사회사업관리자네트웍(National Network for Social Work Managers)에 따르면 TQM은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리 스타일인 결과(목표)에 의한 관리를 대체하는 제 4세대 관리 스타일이라고 하고, 오히려 개정된 형태의 TQM이 사회복지기관 관리자를 비롯한 공공기관 관리자에게 가장 적합할 수도 있다(Edwards(eds). 1995: 2019)고 한다. 따라서 최근의 복지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의 실정에 적합한 복지관리 모형을 사회복지계는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성인. 1989. 서비스 산업에서의 품질관리, 서울: 청문각.
김태종, 박해근, 고용해. 1997. 최신 품질 경영론, 서울: 한올출판사.
김통원. 1998. "사회복지수용시설 평가제의 도입과 대비전략 - Self-Assessment 결과를 중 심으로", 한국사회복지의 패러다임 전환, 한국사회복지학회 '98 추계학술대회, 한 국사회복지학회.
안광구. 1998. 품질향상활동의 발자취- 품질경영ㆍ표준화 사업 36년사, 한국표준협회.
유영학. 1996. 품질 혁신과 일등품질을 위한 사례 중심의 품질 경영, 한국표준협회.
한국표준협회. 1992. 품질분임조 기본.
한국표준협회. 1993. 알기쉬운 QC 7가지 도구.
한한수. 1995. 품질관리, 서울: 경문사.
황성철. 1999.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평가와 행정 구조조정", 21세기 한국사회복지행정의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창립기념학술대회.
石川 馨. 노형진 역. 1985. 日本的 品質管理- TQC란 무엇인가, 서울: 京文社.
依田 浩. 1989. 品質管理入門, 東京: 朝倉書房.
日科技連門題解決硏究會. 1985. TQCおける問題解決法, 東京: 日科技連出版社.
日本科學技術聯盟. 1982. QCサワル網領.
日本福祉施設士會ㆍ福祉QC全國推進委員會 編ㆍ著. 1997. 福祉QC活動ガイドブツク.
全國社會福祉協議會ㆍ日本福祉施設士會 編著. 1991. 福祉QC活動の實際.
Arbose, J. R. 1980. "Quality Control Circles: The West Adopt a Japanese Concept", International Management, December.
Bendick, M. 1980. "Quality Control in a Federal State public Assistance Program", Social Work Administration, vol. 4(1), Haworth Press.
Edwards, R. L.(eds). 1995.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th Editio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Hansen, M.H. & Tepping, B.J. 1990. "Regression Estimates in Federal Welfare Quality Control Programs",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85, Issue 411.
Middleman, R.R. 1984. "The Quality Circle : Fad, Fix, Fiction?", Social Work Administration, vol. 8(1), NewYork: Haworth Press.
Salvin, M. 1985. An Introduction Services Management, NewYork: Haworth Press.
Weiner, M. E. 1990. Human Services Management, Belmont: Wadsworth Pub.
추천자료
- 사회복지기관과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자원봉사 프리젠테이션
- 사회복지기관의 행정체계 조사연구 발표 < 사랑의 복지관 >
- 사회복지기관 방문 보고서 (월계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기관, 시설방문하여 프로그램소개하고, 소감문과 사회복지사로서의 역할 조사하기
- 사회복지행정이론과 사회복지기관 적용사례
- 사회복지실천의 효율성 증대방안 모색을 위한 사회복지기관 ‘숨은규칙’(implict rules) 찾기
- 사회복지기관의 ‘숨은 규칙’ 확인 및 그 영향력 측정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내실화 방안에
-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기관이나 시설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프로그램)
- 사회복지 행정가로서의 지역사회와의 역할관계,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부족한 재원확보 방안
- 장애인복지기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사회복지법인 홀트일산 복지타운/요양원 )
- [사회복지기관 방문 보고서] 분당노인종합복지관 소개, 개요, 주요 복지서비스, 문제점과 향...
- [홍보][PR][기업][대학][소방]기업홍보(기업PR), 대학홍보(대학PR), 소방홍보(소방PR), 인터...
- 사회복지행정론 - 사회복지기관의 재정관리에 관해
- 사회복지기관(사업) 홍보 기획서와 사회복지정책 분석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