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간호 실습 사례 보고서 위암 위절제술 영양 불균형 급성 통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간호 실습 사례 보고서 위암 위절제술 영양 불균형 급성 통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술전, 대상자 준비상황을 확인, 기록하시오.
2) 대상자의 진단명에 대하여 학습하시오.
3) 대상자의 수술명에 대하여 학습하시오.
4) 대상자의 수술 중 간호 활동을 기록하시오.
5) 간호 과정 : 영양불균형, 급성 통증

본문내용

tomy with Roux-en-Y
수술 전 진단명: stomach cancer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수술 후 진단명: stomach cancer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의식 수준
alert
수술 서약서 확인
Y
수술 전 투약여부 확인
Y
소지품, 장신구 제거 확인
Y
피부 준비 확인
Y (수술 부위 제모 실시: 6/8 16시)
금식 여부 확인
Y (시작 일자 : 6/8 00시 00분)
배뇨, 배변 확인
Y
검사 결과지 확인
Y
감염 여부 확인
HBsAg( - ), AIDS( - ), VDRL( - ), 기타
2) 대상자의 진단명에 대하여 학습하시오.
[Stomach Cancer]
1. 정의
위암은 위점막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98%는 샘암종이고 나머지는 림프종과 평활근육종이 차지한다. 위이며, 40세 이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호발한다. 성별에 따른 위암 발생률을 남자가 2:1 로 더 높다. 조기 위암은 암이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위암을 뜻하며 진행성 위암은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및 그 이상의 단계로 진행된 위암을 뜻한다.
2. 원인
H. pylori 감염은 위의 원위부위에서 발생하는 암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H. pylori 감염은 위축성 위염의 발생을 높여 감염자의 35-89%에게서 암이 발생하고 위암 발생위험이 3배 가량 증가한다. 흡연은 비타민 C의 혈중 농도를 낮추고 발암물질인 질소아민의 생성을 촉진시켜 위암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다른 위험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만성 위염, 위산 결핍증, 악성 빈혈, 위 용종, 식이, 비만, 자가면역 관련 염증 등이 있다.
3. 병태생리
위는 점막,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 이렇게 4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암은 국소 부위에서 시작하여 점차 점막, 점막 밑층까지 침범한다. 조기 위암은 암이 위의 점막 또는 점막밑층까지 침범한 경우를 말하며 진행성 위암은 위의 근육층 이상을 침범한 경우를 말한다. 샘암종은 점액을 분비하는 세포에 발생하는 것으로 위암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위암은 절반 이상이 위의 날문방과 날문부에 발생한다. 예후는 폴립형보다 침윤성이 나쁜 편이다.
위암의 병기는 크게 4단계로 구분한다. 위암은 림프선이나 혈액을 따라서 간, 폐, 난소, 복강으로 전이된다. 조기 위암으로 수술 후 5년간 생존율이 약 90-955%인 반면에 주변 림프선으로 전이가 있거나 주변 조직으로 침범되어 있으면 약 30%로 떨어진다. 병변이 위의 상부에 위치할수록 진단이 늦게 내려지기에 예후가 나쁜 경우가 많다.
위암의 병기
stage 0
Tis
N0
M
stage I-a
T1
N
M0
stage I-b
T1
T2
N1
N0
M0
M0
stage II
T1
T2
N2
N1
M0
M0
stage III-a
T2
T3
T4
N2
N1
N0
M0
M0
M0
stage III-b
T3
N2
M0
stage IV
T1,T2,T3
Any T
N1,N2,N3
Any N
M0
M1
4. 증상
증상이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 위암인 경우 약 80%에서 특별한 증상이 없다. 초기 증상으로는 막연한 소화불량, 조기 포만감, 식욕부진, 오심, 피로, 상복부 불편감을 경험하게 된다. 환자는 궤양으로 인해 통증을 경험하는데 주로 식후에 나타나고 제산제에 의해 완화되지 않는다.
증상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다. 암이 위의 들문부 근처에 발생한다면 초기에 식도를 침범하여 환자가 연하곤란을 느낄 수 있고, 날문부 근처에서 발생한다면 폐색증상이 생길 수 있다. 질병이 진행될수록 체중감소와 악액질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위 점막의 병변이 침식되어 궤양 발생하면 출혈로 인한 빈혈 증세가 나타나며 대변 속에 잠혈이 있는 경우는 위장관 출혈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5. 진단적 검사
가장 정확한 검사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이다. 전혈구 검사에서 빈혈이 나타나는 것은 위암의 징후일 수 있으며, 종양 표지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상부위장관 조영술, 초음파 혹은 다른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종양을 확인할 수 있다. 위암이 진단되면 복부 CT를 이용해 위장촬영,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등으로 병기를 결정한다.
6. 치료
1) 수술
위수술은 위의 산분비 능력을 감소시키고, 악성이거나 잠재적인 악성 병변을 제거하며, 소화성 궤양 질환의 합병증으로 진전되는 응급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시행된다. 수술은 위의 부분 또는 전체, 전이된 림프구를 제거한다. 위암에 대한 치료법은 위부분 절제술이나 위전절제술이 시행되는데,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수술법이 결정된다. 국소적 종양과 전인된 임파절 모두를 제거해 내는 것이 이상적이며 최근 조기 위암 치료로 비침습적 방법인 복강경을 시행하기도 한다.
(1) 위 부분 절제술
위의 대부분 2/3을 절제하는 모든 수술을 지칭하는 광범위한 용어로 위암 호발부위가 날문방과 날문부인 경우 시행하며 종류에 따라 Billroth I 와 Billroth II 방법이 있다.
-Billroth I: 날문방을 포함하여 위의 원위부를 제거하고, 위의 나머지 부분을 십이지장에 연결시키는 것
-Billroth II: 위를 절제하고 남은 근위부를 공장의 근위부에 연결하는 것으로 위절제술을 시행한 후에도 췌장 분비물과 담즙이 계속 십이지장으로 분비된다.
(2) 위 전 절제술
위암병소가 기저부위에 있거나 광범위할 때 적용되는 중재 방법으로 위 전체를 절제해 내고, 식도와 공장을 연결하는 식도-공장 연결술을 시행한다.
(3) 위-공장 연결술
알칼리성인 십이지장의 내용물이 위로 역류되도록 하여 위산을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위저부에서 공장으로 통하는 개구부를 만들어 그곳으로 위 내용물이 흘러가게 한다. 이 방법은 위산이 섞인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을 통과하지 않고 공장으로 직접 들어가므로 궤양이 있는 날문부에 산이 접촉하지 않아 치유를 촉진시킨다.
(4) 미주신경 절단술
위산분비를 자극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각 미주신경을 완전히 절단하는 줄기 미주신경절단술, 간과 복강으로 가는 신경가지들은 그대로 보존하고 부분적으로 신경을 저
  • 가격3,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4.12.06
  • 저작시기202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5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