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연구가설의 설정
1. 팀제의 개념
2. 전통조직과 팀제의 차이
3. 팀제도입시의 고려사항
Ⅲ. 연구설계
1. 연구의 모형
2. 변수의 연구상 정의
3. 조사의 방법
Ⅳ. 조사분석의 결과
1. 신뢰도 검증
2. 가설의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Ⅱ. 이론적 고찰 및 연구가설의 설정
1. 팀제의 개념
2. 전통조직과 팀제의 차이
3. 팀제도입시의 고려사항
Ⅲ. 연구설계
1. 연구의 모형
2. 변수의 연구상 정의
3. 조사의 방법
Ⅳ. 조사분석의 결과
1. 신뢰도 검증
2. 가설의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참여와 의견을 반영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현실적인 방법론상의 제약이나 한계점이 있음을 인정한다.
첫째, 표본기업의 선정과 표본의 수가 너무 적어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 팀제의 도입이 팀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업종별, 팀제 유형별, 팀구성인원수별, 팀제 도입년수별 팀유효성의 차이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둘째, 팀제도입여부에 따른 구성원의 특성, 관리방식, 리더십 요인만을 고려하였는데 향후의 연구에서는 더 많은 요인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겠다.
셋째, 팀유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두 가지 변수만을 이용하였는데 앞으로 더 많은 종속변수를 측정하고 나아가서 재무적 성과의 측정까지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넷째, 앞으로 팀제도입에 있어서 조직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치 경제적 환경변수 또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김동원, 종업원 참여제도의 이론과 실제, 한국노동연구원, 1996.
2. 남수현, 경영혁신을 위한 팀조직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학위논문, 1997, pp. 47-48.
3. 배상완, 팀 유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4. 신철우, 조직행동론, 문영사, 2002.
5. 심중경, 팀조직에서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 업무협조도, 팀제이해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6. Bruning, N. S. and Liverpool, P. R., "Membership in Quality Circle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29, No. 1, 1993.
7. Cotton, John L., Employee Involvement :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Work Attitude, Newbury Park : Sage, 1993.
8. Glew, David J., O'Leary-Kelly, Anne M., Griffin, Ricky W., and Van Fleet, David D.,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s : A Preview of the Issues and Proposed Framework for Future Analysis", Journal of Management, 21, 1995.
9. Graham W. and Verma, A., "Predictors and Moderators of Employee Responses to Employee Participation Programs", Human Relations, 44, No. 6, 1991.
10. Hackman J. R. & Walton, R. E., Designing Effectiveness Work Groups, San Francisco : Jossey-Bass Inc., 1986.
11. Hatcher, L. Ross T. L. and Collins, D., "Attributions for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Gainsharing-plan Involvement Systems", Organizational Studies, 16, No. 1, 1991.
12. Henry, J. E., Lessons from Team Leaders : A Team Fitness Companion, Milwankee : ASQ Quality Press, 1988.
13. Hulin, C. L., Individual Differences and Job Enrichment : The Case against General Treatment, ed. J. R. Maher, New Perspectives in Job Enrichment,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1993.
14. Latham, G. P., Winter D. D. and Slcke, Edwin A., "Cognitive and Motivational Effects of Participation : A Mediator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 No. 1, 1994.
15. Manz, Charles C., Keating David E. and Donnellon, Anne., "Preparing for an Organizational Change to Employee Self-Management : The Managerial Transition", Organizational Dynamics, 19, No. 2, 1990.
16. Parnell, J. A. Bell E. D. and Taylor, R., "The Propensity for Participative Management : A Conceptual and Empirical Analysis", Mid-Atlantic Journal of Business, 28, No. 1, 1992.
17. Scully, Judith A. Kirkpatrick Shelley A. and Locke, Edwin A., "Locus of Knowledge as a Determinant of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n Performance, Affect and Percep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61, No. 3, 1995.
18. Vroom, Victor H. and Jago, Arthur G., The New Leadership : Managing Paticipation in Organization, 김남현 백기복 공역, 뉴리더십, 매일경제사, 1994.
위와 같은 연구의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현실적인 방법론상의 제약이나 한계점이 있음을 인정한다.
첫째, 표본기업의 선정과 표본의 수가 너무 적어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 팀제의 도입이 팀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업종별, 팀제 유형별, 팀구성인원수별, 팀제 도입년수별 팀유효성의 차이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둘째, 팀제도입여부에 따른 구성원의 특성, 관리방식, 리더십 요인만을 고려하였는데 향후의 연구에서는 더 많은 요인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겠다.
셋째, 팀유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두 가지 변수만을 이용하였는데 앞으로 더 많은 종속변수를 측정하고 나아가서 재무적 성과의 측정까지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넷째, 앞으로 팀제도입에 있어서 조직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치 경제적 환경변수 또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김동원, 종업원 참여제도의 이론과 실제, 한국노동연구원, 1996.
2. 남수현, 경영혁신을 위한 팀조직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학위논문, 1997, pp. 47-48.
3. 배상완, 팀 유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4. 신철우, 조직행동론, 문영사, 2002.
5. 심중경, 팀조직에서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 업무협조도, 팀제이해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6. Bruning, N. S. and Liverpool, P. R., "Membership in Quality Circle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29, No. 1, 1993.
7. Cotton, John L., Employee Involvement :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Work Attitude, Newbury Park : Sage, 1993.
8. Glew, David J., O'Leary-Kelly, Anne M., Griffin, Ricky W., and Van Fleet, David D.,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s : A Preview of the Issues and Proposed Framework for Future Analysis", Journal of Management, 21, 1995.
9. Graham W. and Verma, A., "Predictors and Moderators of Employee Responses to Employee Participation Programs", Human Relations, 44, No. 6, 1991.
10. Hackman J. R. & Walton, R. E., Designing Effectiveness Work Groups, San Francisco : Jossey-Bass Inc., 1986.
11. Hatcher, L. Ross T. L. and Collins, D., "Attributions for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Gainsharing-plan Involvement Systems", Organizational Studies, 16, No. 1, 1991.
12. Henry, J. E., Lessons from Team Leaders : A Team Fitness Companion, Milwankee : ASQ Quality Press, 1988.
13. Hulin, C. L., Individual Differences and Job Enrichment : The Case against General Treatment, ed. J. R. Maher, New Perspectives in Job Enrichment,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1993.
14. Latham, G. P., Winter D. D. and Slcke, Edwin A., "Cognitive and Motivational Effects of Participation : A Mediator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 No. 1, 1994.
15. Manz, Charles C., Keating David E. and Donnellon, Anne., "Preparing for an Organizational Change to Employee Self-Management : The Managerial Transition", Organizational Dynamics, 19, No. 2, 1990.
16. Parnell, J. A. Bell E. D. and Taylor, R., "The Propensity for Participative Management : A Conceptual and Empirical Analysis", Mid-Atlantic Journal of Business, 28, No. 1, 1992.
17. Scully, Judith A. Kirkpatrick Shelley A. and Locke, Edwin A., "Locus of Knowledge as a Determinant of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n Performance, Affect and Percep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61, No. 3, 1995.
18. Vroom, Victor H. and Jago, Arthur G., The New Leadership : Managing Paticipation in Organization, 김남현 백기복 공역, 뉴리더십, 매일경제사, 1994.
추천자료
- [조직개발]조직개발의 정의, 조직개발의 특성, 조직개발의 목적과 조직개발의 방법 및 조직개...
- [조직문화 정의][조직문화 유형][조직문화 중요성][조직문화 특성과 기능][조직문화 구성요소...
- [조직개발][조직개발 개념][조직개발 특성][조직개발 목적][조직개발 실태][조직문화][조직이...
- 행정조직체계의 의의, 행정조직체계의 특성과 개혁방향, 행정조직체계와 정부조직, 행정조직...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청소년의 부정적인 집단적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비행문제
- 자기조절학습(SRL)의 의미, 자기조절학습(SRL)의 특성, 자기조절학습(SRL)의 이론, 자기조절...
- 청소년 집단따돌림의 특성, 유형, 원인, 실태와 대책
- [구조적 특성, 공기업소유권]공기업소유권의 구조적 특성, 조직문화의 구조적 특성, 복합민원...
- 집단따돌림(왕따)의 정의, 특성, 원인, 문제점, 해결방안
- 미래형 학교조직의 특성과 전환적 교육지도성 - 무능한 학교조직, 현 학교조직의 문제 해부, ...
- 학교조직의 특성에서 학교조직과 사회복지조직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시오 [학교조직]
- [소집단커뮤니케이션기법] 소집단 커뮤니케이션의 정의(개념)와 특성(특징)
- [사회복지행정론] 조직문화의 의의, 리더십의 기능과 유형, 조직문화의 특성과 기능을 설명...
- 병원조직의 특성(병원조직의 특징, 병원조직의 관료제적 특성, 병원 관료조직체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