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 경관조명의 기능과 목적
3. 도시의 경쟁력확보
4. 조명의 동향과 국가조명 정책방향 및 경관조명의 사례들
2. 경관조명의 기능과 목적
3. 도시의 경쟁력확보
4. 조명의 동향과 국가조명 정책방향 및 경관조명의 사례들
본문내용
둑어둑한 지방
4[cd/㎡]
휜 대 리 석
휘다
80
150[lx]
100[lx]
50[lx]
콘 크 리 트
밝다
60
200
100
100
황다색벽돌
보통
35
300
200
150
암회색벽돌
어둡다
15
500
300
200
표 1. 경관조명의 조도(건축물의 경우)
주 : 주위의 상태 예.
밝음 : 빌딩거리, 광고의 사인 밀집지대
보통 : 광고사인이 약간 있는 비즈니스지역
어두움 : 광고사인이 적은 장소
(2) 조명기법
경관조명의 목적은 대상물 혹은 배경에 적당한 밝음을 주어 야간 대상물을 아름답게 부각시키는 것이다. 경관조명 설계에 있어서는 단지 대상물을 균등하게 조명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물의 각면에 적당한 명암, 음영을 주어 조형적 양상이나 대상물의 입체감을 얻도록 하는 조명기법의 검토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경관조명의 기법으로,
① 대상물의 배경이 밝은 경우와 어두운 경우의 조명기법으로 대상물의 배경이 밝은 경우에는 대상물의 바깥둘레를 약간 어둡게 함으로써 바깥둘레의 부분이 그림자로서 윤곽을 만들고 배경과의 대비로 대상물이 부각되어 대상물이 입체적으로 보인다.
8. 경관조명 설계시 고려사항
경관조명의 역할과 설계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공공시설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 향상
② 야간의 시가지의 활성화
③ 상업활동의 진흥 및 관광의 활성화
④ 시민의 생활문화의 다양화, 24시간 도시화
⑤ 도시의 역사에 대한 인식향상
⑥ 역사적 건물에 대한 인식향상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가지에서의 양호한 야간경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에는「아름다움」,「쉬운 이해」,「친밀감」과「개성」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하여 조명의 연출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경관조명계획은 실제로는 대상물 하나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주변의 지역특성 및 조명시설 상태를 고려하여야 하며, 대상의 밝음과 도시의 형태, 기능, 활동, 역사 등의 도시전체와의 조화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시전역을 고려한 조명계획은 도시가 갖고 있는 개성-역사와 풍토, 문화와 자연조건과의 관계 등이 요구된다. 도시의 이상적인 조명계획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구조, 구성요소와 더불어 도시의 이미지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의 야간경관의 연출에는 도시적 스케일에 따른 계획기법이 필요하며, 야경의 파토라마 및 스카이라인이 보이는 것과 도시구조를 두드러지게 나타내거나 또는 특징적인 점을 부각시켜서 도시의 방향성을 나타내거나, 시기와 계절감을 표현하거나 또한 도시를 이해하기 쉽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경관조명이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적절한 방법과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 또한 야간에는 빛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주간과 동일하게 인식시키는 것보다, 주간의 태양광하에서는 감상하지 못한 조형미나 입체감, 아름다움을 끌어내오, 독특한 분위기를 창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관조명은 자연환경, 자연생태계에서의 빛의 영향이나 에너지절약 방법이 충분히 고려된 설계계획이 되어져야 한다.
9. 설계요건의 조사와 계획순서
조명 계획에서 일반적인 설계요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선행 조사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주변환경의 밝음
② 대상물의 형상과 크기
③ 대상물의 표면의 재질 및 색
④ 보는 사람, 대상물, 조명기구의 위치관계
⑤ 기대하는 조명효과
⑥ 대상물의 경년적 변화 및 자연생태계와의 관계
⑦ 주간의 미관
⑧ 안정성과 보수성
⑨ 사용광원에 따른 조도조절
⑩ 주변 환경조건
10. 조명의 요건
(1) 조도의 결정
필요 조도는 조명대상물의 표면의 마감상태(재료반사율)와 배경이 되는 조명환경 의 밝기에 따라 설정된다. 대상물을 조명에 의하여 주위로부터 부각시키기 위하여서는 대상물의 면은 주위에 비하여 밝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 료
반사율[%]
재 료
반사율[%]
재 료
반사율[%]
건축재료
벽토(백색)
60 ∼ 80
금 속
은(연마)
90 ∼ 95
목 재
노송나무(흰나무)
50 ∼ 60
타일(백색)
60 ∼ 80
알루미늄(전해연마)
80 ∼ 85
삼목판
30 ∼ 45
흰벽
60 ∼ 80
알루미늄(연마)
65 ∼ 75
삼목적색판
30
테스(백색)
50 ∼ 70
알루미늄(무광택)
55 ∼ 65
가문비나무
60
스레트
30 ∼ 50
크롬(연마)
60 ∼ 70
졸참나무
35
콘크리트
25 ∼ 40
스테인레스스틸
55 ∼ 65
베니어판
30 ∼ 40
붉은벽돌
10 ∼ 30
구리(연마)
55 ∼ 60
화강암
20 ∼ 30
강철(연마)
55 ~ 65
함석
20 ∼ 30
석고
87
흙
10 ∼ 20
아스팔트
10
재 료
반사율[%]
재 료
반사율[%]
유리
투명(무색)
10 ∼ 15
페인트
메라민(백색)
80 ∼ 85
불투명유리
10 ∼ 20
라카(백색)
75 ~ 80
엷은젖빛유리
60 ∼ 80
법랑
60 ∼ 75
짙은유백유리
40 ∼ 50
아르미페인트
60 ∼ 75
거울면유리
80 ∼ 90
아르미페인트
60 ∼ 70
스테인레스스틸
60 ∼ 75
에나멜(백색)
65 ∼ 75
페인트(백색)
5 ~ 10
페인트(흑색)
11. 결론
우리 나라도 이젠 경관조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중요성, 그리고 우리 나라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점차 조명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있다.
앞으로는 경관조명에 대한 가치가 중요시 될 것이며 향후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시의 중요성과 맞물려서 발전되고있는 지금, 경관조명이 빛의 공해가 되지 않고 아름다운 도시의 한 예술적 가치로써 자리잡았으면 한다.
좋은 빛이란 말 그대로 인간에게 이로운 빛이라 생각된다. 사회가 발전해감에 따라서 사람들이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욕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에 맞추어 빛(조명)또한 하나의 미적 가치로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빛에 대해 생각하며 느낀 점은 빛을 하나의 공해로 여기지 않도록 도시개발에 있어서도 많은 노력이 해야한다는 것이다.
도시미관(都市美觀)과 경관조명(景觀照明)
4[cd/㎡]
휜 대 리 석
휘다
80
150[lx]
100[lx]
50[lx]
콘 크 리 트
밝다
60
200
100
100
황다색벽돌
보통
35
300
200
150
암회색벽돌
어둡다
15
500
300
200
표 1. 경관조명의 조도(건축물의 경우)
주 : 주위의 상태 예.
밝음 : 빌딩거리, 광고의 사인 밀집지대
보통 : 광고사인이 약간 있는 비즈니스지역
어두움 : 광고사인이 적은 장소
(2) 조명기법
경관조명의 목적은 대상물 혹은 배경에 적당한 밝음을 주어 야간 대상물을 아름답게 부각시키는 것이다. 경관조명 설계에 있어서는 단지 대상물을 균등하게 조명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물의 각면에 적당한 명암, 음영을 주어 조형적 양상이나 대상물의 입체감을 얻도록 하는 조명기법의 검토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경관조명의 기법으로,
① 대상물의 배경이 밝은 경우와 어두운 경우의 조명기법으로 대상물의 배경이 밝은 경우에는 대상물의 바깥둘레를 약간 어둡게 함으로써 바깥둘레의 부분이 그림자로서 윤곽을 만들고 배경과의 대비로 대상물이 부각되어 대상물이 입체적으로 보인다.
8. 경관조명 설계시 고려사항
경관조명의 역할과 설계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공공시설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 향상
② 야간의 시가지의 활성화
③ 상업활동의 진흥 및 관광의 활성화
④ 시민의 생활문화의 다양화, 24시간 도시화
⑤ 도시의 역사에 대한 인식향상
⑥ 역사적 건물에 대한 인식향상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가지에서의 양호한 야간경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에는「아름다움」,「쉬운 이해」,「친밀감」과「개성」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하여 조명의 연출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경관조명계획은 실제로는 대상물 하나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주변의 지역특성 및 조명시설 상태를 고려하여야 하며, 대상의 밝음과 도시의 형태, 기능, 활동, 역사 등의 도시전체와의 조화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시전역을 고려한 조명계획은 도시가 갖고 있는 개성-역사와 풍토, 문화와 자연조건과의 관계 등이 요구된다. 도시의 이상적인 조명계획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구조, 구성요소와 더불어 도시의 이미지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의 야간경관의 연출에는 도시적 스케일에 따른 계획기법이 필요하며, 야경의 파토라마 및 스카이라인이 보이는 것과 도시구조를 두드러지게 나타내거나 또는 특징적인 점을 부각시켜서 도시의 방향성을 나타내거나, 시기와 계절감을 표현하거나 또한 도시를 이해하기 쉽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경관조명이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적절한 방법과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 또한 야간에는 빛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주간과 동일하게 인식시키는 것보다, 주간의 태양광하에서는 감상하지 못한 조형미나 입체감, 아름다움을 끌어내오, 독특한 분위기를 창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관조명은 자연환경, 자연생태계에서의 빛의 영향이나 에너지절약 방법이 충분히 고려된 설계계획이 되어져야 한다.
9. 설계요건의 조사와 계획순서
조명 계획에서 일반적인 설계요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선행 조사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주변환경의 밝음
② 대상물의 형상과 크기
③ 대상물의 표면의 재질 및 색
④ 보는 사람, 대상물, 조명기구의 위치관계
⑤ 기대하는 조명효과
⑥ 대상물의 경년적 변화 및 자연생태계와의 관계
⑦ 주간의 미관
⑧ 안정성과 보수성
⑨ 사용광원에 따른 조도조절
⑩ 주변 환경조건
10. 조명의 요건
(1) 조도의 결정
필요 조도는 조명대상물의 표면의 마감상태(재료반사율)와 배경이 되는 조명환경 의 밝기에 따라 설정된다. 대상물을 조명에 의하여 주위로부터 부각시키기 위하여서는 대상물의 면은 주위에 비하여 밝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 료
반사율[%]
재 료
반사율[%]
재 료
반사율[%]
건축재료
벽토(백색)
60 ∼ 80
금 속
은(연마)
90 ∼ 95
목 재
노송나무(흰나무)
50 ∼ 60
타일(백색)
60 ∼ 80
알루미늄(전해연마)
80 ∼ 85
삼목판
30 ∼ 45
흰벽
60 ∼ 80
알루미늄(연마)
65 ∼ 75
삼목적색판
30
테스(백색)
50 ∼ 70
알루미늄(무광택)
55 ∼ 65
가문비나무
60
스레트
30 ∼ 50
크롬(연마)
60 ∼ 70
졸참나무
35
콘크리트
25 ∼ 40
스테인레스스틸
55 ∼ 65
베니어판
30 ∼ 40
붉은벽돌
10 ∼ 30
구리(연마)
55 ∼ 60
화강암
20 ∼ 30
강철(연마)
55 ~ 65
함석
20 ∼ 30
석고
87
흙
10 ∼ 20
아스팔트
10
재 료
반사율[%]
재 료
반사율[%]
유리
투명(무색)
10 ∼ 15
페인트
메라민(백색)
80 ∼ 85
불투명유리
10 ∼ 20
라카(백색)
75 ~ 80
엷은젖빛유리
60 ∼ 80
법랑
60 ∼ 75
짙은유백유리
40 ∼ 50
아르미페인트
60 ∼ 75
거울면유리
80 ∼ 90
아르미페인트
60 ∼ 70
스테인레스스틸
60 ∼ 75
에나멜(백색)
65 ∼ 75
페인트(백색)
5 ~ 10
페인트(흑색)
11. 결론
우리 나라도 이젠 경관조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중요성, 그리고 우리 나라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점차 조명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있다.
앞으로는 경관조명에 대한 가치가 중요시 될 것이며 향후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시의 중요성과 맞물려서 발전되고있는 지금, 경관조명이 빛의 공해가 되지 않고 아름다운 도시의 한 예술적 가치로써 자리잡았으면 한다.
좋은 빛이란 말 그대로 인간에게 이로운 빛이라 생각된다. 사회가 발전해감에 따라서 사람들이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욕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에 맞추어 빛(조명)또한 하나의 미적 가치로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빛에 대해 생각하며 느낀 점은 빛을 하나의 공해로 여기지 않도록 도시개발에 있어서도 많은 노력이 해야한다는 것이다.
도시미관(都市美觀)과 경관조명(景觀照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