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꽃
김춘수(金春洙)
교학사 (김) 下
학습목표
이해·감상의 핵심
김춘수(金春洙)
교학사 (김) 下
학습목표
이해·감상의 핵심
본문내용
미하면서 지고 지순(至高至純)한 세계와 괴리를 느꼈다. 반면 이병기는 난에 대한 취미를 통해 자아와 대상 사이의 일체감을 형성하고 있다. 김영랑과 이병기가 꽃을 대상 자체로 보았다면, 김소월은 자기 정서를 형상화하는 도구로 본 셈이다. 김춘수의 '꽃'도 후자에 속한다.
더 읽을 거리
구상의 '초토(焦土)의 시', 박인환의 '목마(木馬)와 숙녀(淑女)'
더 읽을 거리
구상의 '초토(焦土)의 시', 박인환의 '목마(木馬)와 숙녀(淑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