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과학전통과 기독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있는지를 원시종교에서부터 베다, 불교, 중국의 전통종교, 유교와 도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찾아 설명하고, 그러한 자리들은 대체로 실재에 대한 총체적 관점을 유지해서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기여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환경문제에 관한 한 그리스도교가 분명한 책임의 일부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필자는 간과하지 않는다. 그러나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오히려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기여나 공헌가능성에 관한 주장들이다. 하지만 필자가 논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현대의 환경운동이 하나의 종교로 정착해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생태계 자체가 성스러운 것으로 간주되는 모습, 생태신앙이라고 부름직한 현상들의 출현, 자연 속에서의 먹고 마심에 대한 성례전적 해석, 환경운동의 사회공동체적 특성 등이 있다. 필자는 이러한 사실들이 전통적 종교 상징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오늘날의 환경문제를 푸는 대안일 수 있으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필자는 '환경교'의 출현까지도 긍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람, 종교, 과학
과학과 종교의 논의를 인간의 탄생에 관한 서술에서부터 시작한다. 고고인류학자들이 인류는 결코 수렵인으로 출발한 것이 아니라 남을 사랑하고 평화롭게 살 줄 아는 존재로 출발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동조하면서, 종교란 그러한 인류의 문화적 진화를 구체적으로 실증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그는 생물학적인 유전자 Gene과 문화적 유전자 Meme의 공생적 진화를 들고 있다. 종교를 밈의 자연선택적 진화과정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는 인간이 문명화된 이타주의로 진화할 수 있는 관건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필자는 17세기의 과학혁명에서 비롯된 근대과학도 종교에 그 근원이있다고 주장한다. 기독교가 구원의 종교라는 자의식에서 창조의 종교라는 자의식을 가지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서 근대과학이 발전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포괄적이고 근원적인 논의를 거쳐 필자는 종교도 과학도 이론과 신학의 틀에 유폐되지 않고 삶의 자리에서 사랑의 실천으로 현존하는 한 양자간의 갈등을 운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확언하고 있다. '이웃사랑보다 우선하는 어떤 의무도 없다'는 로티의 주장과 '하늘이 아니라 이 땅의 현실을 책임져야 한다'는 함석헌의 언급을 인용하면서 글을 맺고있는 필자의 주장은 우리의 주제에 대한 가장 절실한 호소이며 현실적 희구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1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