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신학 -인간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자연주의 신학적 입장의 학자:

2.전통신학적 관점의 학자

본문내용

관하여 증거들을 대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메섹경험을 TM 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TM의 모습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TM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 사건이 중요하다. 만남이 중요하다. 아주 드라마틱 하지 않더라도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고백할 만한 계기가 있어야 한다. 도마가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서 자국을 만져보았던 사건을 경험한 후에 믿었던 것은 도마의 만남의 case이다. 베드로도 3년간 예수와 함께 있다가 배반하였다. 그러나 그가 행 1-2 장에 나타나는 성령강림 후에 예수가 자신의주라는 것을 재확인한다. 이것은 베드로의 모델이다. 의미를 깨닫는 방법도 여러 가지이다. 그러나 그 핵심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과 성령의 계시와 조명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어쨋거나 교육신학에 있어서 PoG 라고 이야기 할 때 Transforming 이니 Forming이나 하나님과의 만남의 사건이 있어야 한다. 그리스도 안에 있어야 한다. 계속해서 그 만남안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기독교교육은 지속적인 사건이다. 갑작스러운 사건만이 만남이 아니라 성장과 형성의 과정에 있어도 계속적인 만남이 있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0.2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