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북아 질서의 변화
1) 신국제질서의 전개
2) 냉전체제에서 데땅뜨로, 다시 새로운 질서를 향하여
3) 미·러의 역할 감소와 일 중의 역할 증대
4) 미·일의 중국봉쇄와 중국의 대응
2. 분단체제의 재편 전망
1) 주변 4강과 한반도 질서
2) 주변 4강과 한국의 선택
3) 통일을 위하여 - 대안으로써의 4자회담
Ⅲ. 결론
Ⅱ. 본론
1. 동북아 질서의 변화
1) 신국제질서의 전개
2) 냉전체제에서 데땅뜨로, 다시 새로운 질서를 향하여
3) 미·러의 역할 감소와 일 중의 역할 증대
4) 미·일의 중국봉쇄와 중국의 대응
2. 분단체제의 재편 전망
1) 주변 4강과 한반도 질서
2) 주변 4강과 한국의 선택
3) 통일을 위하여 - 대안으로써의 4자회담
Ⅲ. 결론
본문내용
립해야 한다」, 『NEWSWEEK 한국판』 통권 200호, 1995.10.25.
Steven Strasser, 「동남아의 중국 이웃들 거인의 야망이 두렵다」, 『NEWSWEEK 한국판』 통권 187호, 1995. 7.19.
Tony Emerson, 「'조어도는 우리땅' 중화권이 대동단결」, 『NEWSWEEK 한국판』 통권 247호, 1996.9.25.
Tony Clifton, 「막연한 두려움이 아시아 국가들 군비증강 부른다」, 『NEWSWEEK 한국판』 통권 223호, 1996.4.10.
Tony Emerson,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는 아시아 핵경쟁」, 『NEWSWEEK 한국판』 통권 226호, 1996.5.1.
고마키 데루오, 「남북은 상대방 체제 존중하라」, 『시사저널』 통권 354호, 1996.8.8.
「스탠퍼드 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소 대니얼 오키모토 소장 인터뷰」, 『시사저널』 통권 350호, 1996.7.11.
* 일간지
「21세기로 간다: 클린턴 2기 한반도 정책」, 『조선일보』, 1996년 11월 11일(6).
「4자회담은 막다른 북한의 탈출구」, 『중앙일보』, 1996년 4월 21일(5).
「4자회담 일지」, 『조선일보』, 1996년 7월 16일(4).
「'북.구소조약' 살아있다」, 『동아일보』, 1996년 8월 17일(2).
「급변하는 한반도 기류 1-10」, 『중앙일보』, 1996년 4월 25일 - 5월 5일.
「남북 새질서 찾기 1-4」, 『조선일보』, 1996년 4월 17-20일(3).(4).(6).(6)
「냉전시대의 발상 '미일 새안보선언'」, 『중앙일보』 1996년 4월 25일(7).
「다시 다가서는 미.중」, 『경향신문』, 1996년 7월 11일(7).
「동북아 새기류 1-5」, 『동아일보』, 1996년 4월 17-21일(5).
「동북아 새안보질서 상.중.하」, 『중앙일보』, 1996년 4월 15.16.17일(3).(3).(8).
「동북아 새질서 상.중.하」, 『경향신문』, 1996년 4월 18.19.20일(2).(6).(5).
「레이니연설 요지」, 『중앙일보』, 1996년 5월 12일(4).
「미, 대중정책 유화로 선회」, 『중앙일보』, 1996년 7월 21일(8).
「미, 정책 최우선 순위는 대중관계」, 『조선일보』, 1996년 7월 18일(7).
「미 '중국 20년내 최대위협국 부상'」, 『동아일보』, 1996년 8월 29일(6).
「미.러 합동상륙훈련」, 『조선일보』, 1996년 8월 19일(2).
「미.중 정상 교환방문 가시화」, 『조선일보』, 1996년 7월 21일(7).
「미 허드슨연 '대만' 보고서」, 『동아일보』, 1996년 3월 16일(3).
「변화하는 '아시아 안보체계'」, 『경향신문』, 1996년 4월 19일(7).
「변화하는 '아시아 안보체계'」, 『동아일보』, 1996년 4월 19일(7).
「보수화물결 일 총선: 현상분석과 전망」, 『조선일보』, 1996년 10월 8일(8).
「북, 3자회담 제안」, 『동아일보』, 1996년 8월 17일(2).
「북, '4자회담' 참여 시사」, 『경향신문』, 1996년 7월 17일(1).
「북.중 동맹관계 급속 복원」, 『조선일보』, 1996년 7월 22일(9).
「북.중 재접근 오히려 남북관계 도움」, 『동아일보』, 1996년 8월 24일(2).
「북에 영향력 행사위한 미.중간 경쟁 치열」, 『중앙일보』, 1996년 10월 7일(5).
「아세안, 對미얀마 외교 가속화」, 『한국일보』, 1996년 7월 23일(8).
「아세안 움직임; 국방예산 확충, 무기구입 경쟁」, 『동아일보』, 1995년 8월19일(8).)
「아시아 군비경쟁 위험수위, 『경향신문』, 1996년 1월23일(6).
「아시아 패권경쟁: 중.일, 미 대신할 아시아 중심축 자임」, 『중앙일보』, 1996년 9월 30일(4).
「애증이 교차하는 북.중관계」, 『중앙일보』, 1996년 10월 14일(7).
「앤서니 레이크 - 세계를 보는 두가지 관점」, 『조선일보』, 1996년 7월 22일(6).
「워싱턴 포스트 7월26일자 사설 - 미, 중국 향한 일방적 '미소'는 곤란」, 『중앙일보』, 1996년 7월 30일(7).
「일, 남지나해 권리 주장」, 『경향신문』, 1995년 4월 5일(7).
「일, 북한이 동아시아 불안요인」, 『조선일보』, 1996년 7월 20일(8).
「일 96방위백서, 경계대상 1호 중국」, 『동아일보』, 1996년 7월 20일(6).
「일 방위백서 - '대중경계' 첫 명기」, 『동아일보』, 1996년 6월 14일(2).
「일본 5개정당 총선 공약 분석」, 『중앙일보』, 1996년 10월 4일(9).
「일본의 팽창주의」, 『조선일보』, 1996년 10월 14일(5).
「日서 본 '가지야마 발언' 배경」, 『동아일보』, 1996년 8월 10일(2).
「일 총선 각당 외교안보 공약」, 『동아일보』, 1996년 10월 6일(12).
「자위대 신장비 도입 내년 9천억엔 배정」, 『조선일보』, 1996년 9월 1일(7).
「중, 4자회담 성사 건설적 역할」, 『조선일보』, 1996년 7월 26일(2).
「중, '전면적 대북원조' 시사」, 『동아일보』, 1996년 7월 14일(2).
「중, 남중국해 패권을 노린다」, 『조선일보』, 1994년 3월22일(8).
「중, 對미 최대 무역흑자국 부상」, 『매일경제신문』, 1996년 8월 22일(9).
「중국, 본격 대북지원」, 『조선일보』, 1996년 7월 19일(2).
「중국군, 한반도쪽 집중배치」, 『중앙일보』, 1996년 5월 19일(1).
「중 군사력 증강 '우려할 수준'」, 『조선일보』, 1996년 6월 14일(7).
「중-러의 협력재개」, 『조선일보』, 1996년 4월 26일(3).)
「중-일 해군력 왜 증강하나」, 『조선일보』, 1996년 4월 23일(10).
「클린턴 2기 '한반도정책' 전망」, 『한겨레신문』, 1996년 11월 7일(3).
「한반도통일 4대국 시각」, 『경향신문』, 1996년 10월 8일(50).
「한승주 외무장관과의 대담; 이광요 싱가포르 전총리 '21세기 아시아 진단'」, 『동아일보』, 1995. 5.31.(5).
Steven Strasser, 「동남아의 중국 이웃들 거인의 야망이 두렵다」, 『NEWSWEEK 한국판』 통권 187호, 1995. 7.19.
Tony Emerson, 「'조어도는 우리땅' 중화권이 대동단결」, 『NEWSWEEK 한국판』 통권 247호, 1996.9.25.
Tony Clifton, 「막연한 두려움이 아시아 국가들 군비증강 부른다」, 『NEWSWEEK 한국판』 통권 223호, 1996.4.10.
Tony Emerson,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는 아시아 핵경쟁」, 『NEWSWEEK 한국판』 통권 226호, 1996.5.1.
고마키 데루오, 「남북은 상대방 체제 존중하라」, 『시사저널』 통권 354호, 1996.8.8.
「스탠퍼드 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소 대니얼 오키모토 소장 인터뷰」, 『시사저널』 통권 350호, 1996.7.11.
* 일간지
「21세기로 간다: 클린턴 2기 한반도 정책」, 『조선일보』, 1996년 11월 11일(6).
「4자회담은 막다른 북한의 탈출구」, 『중앙일보』, 1996년 4월 21일(5).
「4자회담 일지」, 『조선일보』, 1996년 7월 16일(4).
「'북.구소조약' 살아있다」, 『동아일보』, 1996년 8월 17일(2).
「급변하는 한반도 기류 1-10」, 『중앙일보』, 1996년 4월 25일 - 5월 5일.
「남북 새질서 찾기 1-4」, 『조선일보』, 1996년 4월 17-20일(3).(4).(6).(6)
「냉전시대의 발상 '미일 새안보선언'」, 『중앙일보』 1996년 4월 25일(7).
「다시 다가서는 미.중」, 『경향신문』, 1996년 7월 11일(7).
「동북아 새기류 1-5」, 『동아일보』, 1996년 4월 17-21일(5).
「동북아 새안보질서 상.중.하」, 『중앙일보』, 1996년 4월 15.16.17일(3).(3).(8).
「동북아 새질서 상.중.하」, 『경향신문』, 1996년 4월 18.19.20일(2).(6).(5).
「레이니연설 요지」, 『중앙일보』, 1996년 5월 12일(4).
「미, 대중정책 유화로 선회」, 『중앙일보』, 1996년 7월 21일(8).
「미, 정책 최우선 순위는 대중관계」, 『조선일보』, 1996년 7월 18일(7).
「미 '중국 20년내 최대위협국 부상'」, 『동아일보』, 1996년 8월 29일(6).
「미.러 합동상륙훈련」, 『조선일보』, 1996년 8월 19일(2).
「미.중 정상 교환방문 가시화」, 『조선일보』, 1996년 7월 21일(7).
「미 허드슨연 '대만' 보고서」, 『동아일보』, 1996년 3월 16일(3).
「변화하는 '아시아 안보체계'」, 『경향신문』, 1996년 4월 19일(7).
「변화하는 '아시아 안보체계'」, 『동아일보』, 1996년 4월 19일(7).
「보수화물결 일 총선: 현상분석과 전망」, 『조선일보』, 1996년 10월 8일(8).
「북, 3자회담 제안」, 『동아일보』, 1996년 8월 17일(2).
「북, '4자회담' 참여 시사」, 『경향신문』, 1996년 7월 17일(1).
「북.중 동맹관계 급속 복원」, 『조선일보』, 1996년 7월 22일(9).
「북.중 재접근 오히려 남북관계 도움」, 『동아일보』, 1996년 8월 24일(2).
「북에 영향력 행사위한 미.중간 경쟁 치열」, 『중앙일보』, 1996년 10월 7일(5).
「아세안, 對미얀마 외교 가속화」, 『한국일보』, 1996년 7월 23일(8).
「아세안 움직임; 국방예산 확충, 무기구입 경쟁」, 『동아일보』, 1995년 8월19일(8).)
「아시아 군비경쟁 위험수위, 『경향신문』, 1996년 1월23일(6).
「아시아 패권경쟁: 중.일, 미 대신할 아시아 중심축 자임」, 『중앙일보』, 1996년 9월 30일(4).
「애증이 교차하는 북.중관계」, 『중앙일보』, 1996년 10월 14일(7).
「앤서니 레이크 - 세계를 보는 두가지 관점」, 『조선일보』, 1996년 7월 22일(6).
「워싱턴 포스트 7월26일자 사설 - 미, 중국 향한 일방적 '미소'는 곤란」, 『중앙일보』, 1996년 7월 30일(7).
「일, 남지나해 권리 주장」, 『경향신문』, 1995년 4월 5일(7).
「일, 북한이 동아시아 불안요인」, 『조선일보』, 1996년 7월 20일(8).
「일 96방위백서, 경계대상 1호 중국」, 『동아일보』, 1996년 7월 20일(6).
「일 방위백서 - '대중경계' 첫 명기」, 『동아일보』, 1996년 6월 14일(2).
「일본 5개정당 총선 공약 분석」, 『중앙일보』, 1996년 10월 4일(9).
「일본의 팽창주의」, 『조선일보』, 1996년 10월 14일(5).
「日서 본 '가지야마 발언' 배경」, 『동아일보』, 1996년 8월 10일(2).
「일 총선 각당 외교안보 공약」, 『동아일보』, 1996년 10월 6일(12).
「자위대 신장비 도입 내년 9천억엔 배정」, 『조선일보』, 1996년 9월 1일(7).
「중, 4자회담 성사 건설적 역할」, 『조선일보』, 1996년 7월 26일(2).
「중, '전면적 대북원조' 시사」, 『동아일보』, 1996년 7월 14일(2).
「중, 남중국해 패권을 노린다」, 『조선일보』, 1994년 3월22일(8).
「중, 對미 최대 무역흑자국 부상」, 『매일경제신문』, 1996년 8월 22일(9).
「중국, 본격 대북지원」, 『조선일보』, 1996년 7월 19일(2).
「중국군, 한반도쪽 집중배치」, 『중앙일보』, 1996년 5월 19일(1).
「중 군사력 증강 '우려할 수준'」, 『조선일보』, 1996년 6월 14일(7).
「중-러의 협력재개」, 『조선일보』, 1996년 4월 26일(3).)
「중-일 해군력 왜 증강하나」, 『조선일보』, 1996년 4월 23일(10).
「클린턴 2기 '한반도정책' 전망」, 『한겨레신문』, 1996년 11월 7일(3).
「한반도통일 4대국 시각」, 『경향신문』, 1996년 10월 8일(50).
「한승주 외무장관과의 대담; 이광요 싱가포르 전총리 '21세기 아시아 진단'」, 『동아일보』, 1995. 5.31.(5).
추천자료
정치폭력과 이데올로기-한국 현대사의 국가폭력과 민주주의 투쟁 ․ 희생
분단의 극복과 통일에 관한 연구
한반도의 분단과정과 통일문제
민족분단의 비극
[남북분단][남북분단 과정][남북분단 내용][한국전쟁][남북분단극복(남북통일) 방향][남북통...
[비무장지대][DMZ][분단][비무장지대 생태계][휴전][남북관계][디엠지]비무장지대(DMZ)의 개...
한국분단의 원인과 한국전쟁 발발의 원인에 대한 분석
[2012-한국사회문제C]분단과 관련된 문제들을 공적인 장에서 토론하는 것이 왜 어렵지만 중요...
분단과 통일의 내부적 기원에 관한 연구 - 베트남과 한국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문제4E] 우리 삶 속에서 찾을 수 있는 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의 영향에 대해...
한반도에서 분단 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통일된 한국이 등장한다면, 다음의 3가지 주제에 대해...
[한국사회문제C형] 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이 우리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우리 사...
한국사회문제4C)한국전쟁이나 냉전, 분단이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사회에서 일어나...
[세계의정치와경제 - 남북통일의 필요성 또는 불필요성] 세계화 시대에 남북이 하나 되어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