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연구의 제한점
4. 용어의 정의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안전사고의 경험 유무
2. 비행형태와 진행단계별 안전사고
3. 안전사고의 원인
4. 사고 조치와 치료 실태
5. 사고 예방과 처리 대책
6. 안전사고 원인과 예방에 대한 의식의 차이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글9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연구의 제한점
4. 용어의 정의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안전사고의 경험 유무
2. 비행형태와 진행단계별 안전사고
3. 안전사고의 원인
4. 사고 조치와 치료 실태
5. 사고 예방과 처리 대책
6. 안전사고 원인과 예방에 대한 의식의 차이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발생시 응급조치가 행해지고 않고 방치된 사례가 10%가 있었으며, 부상의 발생부위는 주로 다리와 허리이었고 부상의 정도는 경상이 대부분이었다. 부상의 형태는 타박, 염좌, 골절 등이 주종을 이루며, 주로 양의에 의해 치료하고 치료 후 휴식하지 않거나 1개월 미만의 휴식을 하였다.
5) 45.55%가 응급처치교육을 받지 않았고, 25.13%가 구조낙하산을 부착하지 않았으며, 53.40%가 항공상해보험에 가입치 않았고, 30.37%가 안전비행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안전 사고의 주요 발생요인의 인식은 본인의 부주의나 과신, 안전 수칙의 미준수 등 태도에 원인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안전 수칙의 준수와 비행태도의 변화가 사고 예방의 주요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제 언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패러글라이딩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전체 사고중 30%가 넘는 기상여건으로 인한 사고는 대부분 예견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인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서 강풍이나 와류 등과 같이 불안정한 기상일 때 비행을 강행하는 것은 사고를 자초하는 무모한 행동이므로 안전을 위하여 비행을 포기하는 현명한 자세가 필요하며 자신의 비행기량에 가늠하여 알맞은 기상여건일 경우에만 비행을 하도록 한다.
2) 패러글라이딩에 갓 입문한 교육생은 강사에게 비행에 관련한 모든 것을 의존하게 되는데 본 논문의 조사로 교육중 사고는 43%가 강사의 책임이 있는 점에 유의하여 강요형태의 실적위주의 비행시도 보다는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본인의 전적인 동의하에 이루어지는 비행시도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강사 자신들의 안전의식에 대한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생은 비행기술 못지 않게 안전의식에 관한 것을 초보자 단계에서부터 안전의식이 뿌리내리게 하여야 할 것이다.
3) 차후 연구에서는 남녀별로 또는 연령별로 또한 좀더 상황에 맞는 설문지가 개발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봉안, 강정호, 김광성(1998). 안전교육. 서울: 도서출판 금광. 208-253.
권봉안, 김종욱, 최춘자(1985). Sports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대학논문집, 제8집, 331-345.
김설향(1992), 운동선수의 성격특성, 주의형태 및 생활 스트레스와 상해 호발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곤(1994), Paragliding에서 발생되는 긴장변인과 심박수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의영, 안자희(1994). 스포츠 활동과 안전에 대한 고찰. 용인대학교논문집, 제10호, 387-399.
김주연(1994). 패러글라이딩과 척추손상, 파라초점. 94년 1/2월호, 38-40.
박영철(1998). 체육활동과 안전사고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안전교육학회지, 제2권 제1호, 121-130.
방상식(1992). 고공강하 숙련도가 반응속도, 폐기능 및 불안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1권 제1호, 185-197.
송은섭(1995). 현대 파라글라이딩의 이해. 서울: 태근 문화사. 3-14.
이종경(1993). 배구선수의 부상형태와 원인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33권 제3호, 244-253.
표내숙, 홍선옥 역(1994). 스포츠 심리학. 부산: 정문출판사. 125-126.
하권익(1989). 스포츠 외상의 요인과 예방,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7권 제2호, 209 -213.
한국산업안전공단(1995). 안전ㆍ보건교육 지도안. 인천: 한국산업안전공단, 61-62.
한국활공협회(1998). 한국활공협회 규정집. 서울: 한국활공협회, 55-85.
한국활공협회(1998). 활공가족. 한국활공협회. 제8호, 32-33.
황복순(1996). 스포츠 관리와 안전 교육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1호, 291-313.
文泉秀樹(1996) 사례로 배우는 Safety Technic. 동경: 월간 파라월드, 96년 2월호.
Mark Shipman(1993). American paragliding accident synopses 1991. Utah: Paragliding, 12-13, vol.4 no.1.
ABSTRACT
A Study on the Safety Accidents of the Paragliding Sports Activity
Song, Eun-Seob Kim, Baek-Yoon
The research as the investigation and study about the safety accidents in paragliding is practiced to be made up questions and surveys about the objects of 192 paragliding member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More then half of the pilots under investigation came into contect with over one time of the accidents.
2. The accidents had mostly happened to the career pilots with the less than 50 times of flying records.
3. The accidents in the stage to be flying had extremity much happened by the unbalance of canopy in taking off, and the collapse during flying, and the accidents in the stage of making a landing by the circle of the low altitude.
4. The accidents during being training had become showen 40% of the instructor error.
5. The accidents cases left wounded are 10% and also the wounded part is mostly legs and spine.
5) 45.55%가 응급처치교육을 받지 않았고, 25.13%가 구조낙하산을 부착하지 않았으며, 53.40%가 항공상해보험에 가입치 않았고, 30.37%가 안전비행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안전 사고의 주요 발생요인의 인식은 본인의 부주의나 과신, 안전 수칙의 미준수 등 태도에 원인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안전 수칙의 준수와 비행태도의 변화가 사고 예방의 주요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제 언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패러글라이딩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전체 사고중 30%가 넘는 기상여건으로 인한 사고는 대부분 예견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인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서 강풍이나 와류 등과 같이 불안정한 기상일 때 비행을 강행하는 것은 사고를 자초하는 무모한 행동이므로 안전을 위하여 비행을 포기하는 현명한 자세가 필요하며 자신의 비행기량에 가늠하여 알맞은 기상여건일 경우에만 비행을 하도록 한다.
2) 패러글라이딩에 갓 입문한 교육생은 강사에게 비행에 관련한 모든 것을 의존하게 되는데 본 논문의 조사로 교육중 사고는 43%가 강사의 책임이 있는 점에 유의하여 강요형태의 실적위주의 비행시도 보다는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본인의 전적인 동의하에 이루어지는 비행시도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강사 자신들의 안전의식에 대한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생은 비행기술 못지 않게 안전의식에 관한 것을 초보자 단계에서부터 안전의식이 뿌리내리게 하여야 할 것이다.
3) 차후 연구에서는 남녀별로 또는 연령별로 또한 좀더 상황에 맞는 설문지가 개발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봉안, 강정호, 김광성(1998). 안전교육. 서울: 도서출판 금광. 208-253.
권봉안, 김종욱, 최춘자(1985). Sports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대학논문집, 제8집, 331-345.
김설향(1992), 운동선수의 성격특성, 주의형태 및 생활 스트레스와 상해 호발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곤(1994), Paragliding에서 발생되는 긴장변인과 심박수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의영, 안자희(1994). 스포츠 활동과 안전에 대한 고찰. 용인대학교논문집, 제10호, 387-399.
김주연(1994). 패러글라이딩과 척추손상, 파라초점. 94년 1/2월호, 38-40.
박영철(1998). 체육활동과 안전사고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안전교육학회지, 제2권 제1호, 121-130.
방상식(1992). 고공강하 숙련도가 반응속도, 폐기능 및 불안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1권 제1호, 185-197.
송은섭(1995). 현대 파라글라이딩의 이해. 서울: 태근 문화사. 3-14.
이종경(1993). 배구선수의 부상형태와 원인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33권 제3호, 244-253.
표내숙, 홍선옥 역(1994). 스포츠 심리학. 부산: 정문출판사. 125-126.
하권익(1989). 스포츠 외상의 요인과 예방,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7권 제2호, 209 -213.
한국산업안전공단(1995). 안전ㆍ보건교육 지도안. 인천: 한국산업안전공단, 61-62.
한국활공협회(1998). 한국활공협회 규정집. 서울: 한국활공협회, 55-85.
한국활공협회(1998). 활공가족. 한국활공협회. 제8호, 32-33.
황복순(1996). 스포츠 관리와 안전 교육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1호, 291-313.
文泉秀樹(1996) 사례로 배우는 Safety Technic. 동경: 월간 파라월드, 96년 2월호.
Mark Shipman(1993). American paragliding accident synopses 1991. Utah: Paragliding, 12-13, vol.4 no.1.
ABSTRACT
A Study on the Safety Accidents of the Paragliding Sports Activity
Song, Eun-Seob Kim, Baek-Yoon
The research as the investigation and study about the safety accidents in paragliding is practiced to be made up questions and surveys about the objects of 192 paragliding member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More then half of the pilots under investigation came into contect with over one time of the accidents.
2. The accidents had mostly happened to the career pilots with the less than 50 times of flying records.
3. The accidents in the stage to be flying had extremity much happened by the unbalance of canopy in taking off, and the collapse during flying, and the accidents in the stage of making a landing by the circle of the low altitude.
4. The accidents during being training had become showen 40% of the instructor error.
5. The accidents cases left wounded are 10% and also the wounded part is mostly legs and sp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