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암아 발생하는 상실감
(3) 신앙적인 연대감의 상실 :
자기 신앙의 경험이 자기가 듣는 진리와 거리가 있거나 믿음의 공동체
에서 소외되었을 때 오는 상실감
(4) 인격적인 영향력의 상실:
자기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깨달음과 다른사람들로부터 무시받고 소외받
을 때 오는 상실감 등이다.
= 위기의 특성과 자기진단 =
위기를 진단 할 수있는 행동의 징후로는 피로, 무력감, 무능, 혼란, 근심, 인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혼란, 그리고 가족관계의 혼한 등이 있다.
위기란 어떤 외적 위험에 대한 개인의 내적인 반응이며, 위기를 촉발시
키는 사건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다시말해 위기의 첫번째 단계는 자극 또는
촉발적인 사건의 발생이다. 이때에는 누구나 자기 나름대로 그 사건에 대한
평가르 내리고 대응책을 발견하여 그 사건에 대처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대응책이 실패하면 사람들은 위기상황에 빠지게 된다.
누구나 일단 위기상황에 빠지게 되면 그 위기를 촉발시킨 사건이 어떠한
사건이든 그가 당하는 위기의 특성들은 대동소이하다. 여러가지 위기의특성
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위기를 촉발시키는 초기 사건의 크기와 위기식의 크기는 비례하지
않는다. 위기는 사건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대응책이 실패한 결과로 오는것
이다. 그러므로 위기를 당한 사람이 어떻게 그 사건을 평가하는가에 따라
위기 발생은 크게 달라진다. 즉 위기를 촉발하는 사건보다 그에 대처하는 사
람의 주관적인 평가가 위기감 조성에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위기 상황에 부딪힌 사람들은 초기 사건으로부터 오는 상실의 위협
때문에 상황을 객관적, 합리적으로 보는 눈을 상실해 버린다. 따라서 자기에
게 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어디에서든지 그 위기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길이 있다면 맹목적으로 거기
에 빠져버린다.
셋째로 그 위기 상황에 위협적이라고 평가할 수록 그에 대항하는 방법들을
원시적이고 비합리적이요 감정적이 된다. 즉 심각한 위기를 경험하면 실제적
인 현실과의 접촉은 잃어버리고 그 상황에 빠져 변덕스러워지고, 퇴보적이
며, 유아적인 대인관계를 갈망한다.
넷째로 위기 상황에 있는 사람은 보통 때부다 훨씬 덜 방어적이고 변화에
대해서 취약성이 있다. 그러므로 위기경험을 하고있는 사람들이 그 기간은
짧지만 빠르게 절정에 이를 수도 있고 변화될 수도 있는 고조된 심리적 민감
성을 가지고있다.
(3) 신앙적인 연대감의 상실 :
자기 신앙의 경험이 자기가 듣는 진리와 거리가 있거나 믿음의 공동체
에서 소외되었을 때 오는 상실감
(4) 인격적인 영향력의 상실:
자기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깨달음과 다른사람들로부터 무시받고 소외받
을 때 오는 상실감 등이다.
= 위기의 특성과 자기진단 =
위기를 진단 할 수있는 행동의 징후로는 피로, 무력감, 무능, 혼란, 근심, 인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혼란, 그리고 가족관계의 혼한 등이 있다.
위기란 어떤 외적 위험에 대한 개인의 내적인 반응이며, 위기를 촉발시
키는 사건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다시말해 위기의 첫번째 단계는 자극 또는
촉발적인 사건의 발생이다. 이때에는 누구나 자기 나름대로 그 사건에 대한
평가르 내리고 대응책을 발견하여 그 사건에 대처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대응책이 실패하면 사람들은 위기상황에 빠지게 된다.
누구나 일단 위기상황에 빠지게 되면 그 위기를 촉발시킨 사건이 어떠한
사건이든 그가 당하는 위기의 특성들은 대동소이하다. 여러가지 위기의특성
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위기를 촉발시키는 초기 사건의 크기와 위기식의 크기는 비례하지
않는다. 위기는 사건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대응책이 실패한 결과로 오는것
이다. 그러므로 위기를 당한 사람이 어떻게 그 사건을 평가하는가에 따라
위기 발생은 크게 달라진다. 즉 위기를 촉발하는 사건보다 그에 대처하는 사
람의 주관적인 평가가 위기감 조성에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위기 상황에 부딪힌 사람들은 초기 사건으로부터 오는 상실의 위협
때문에 상황을 객관적, 합리적으로 보는 눈을 상실해 버린다. 따라서 자기에
게 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어디에서든지 그 위기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길이 있다면 맹목적으로 거기
에 빠져버린다.
셋째로 그 위기 상황에 위협적이라고 평가할 수록 그에 대항하는 방법들을
원시적이고 비합리적이요 감정적이 된다. 즉 심각한 위기를 경험하면 실제적
인 현실과의 접촉은 잃어버리고 그 상황에 빠져 변덕스러워지고, 퇴보적이
며, 유아적인 대인관계를 갈망한다.
넷째로 위기 상황에 있는 사람은 보통 때부다 훨씬 덜 방어적이고 변화에
대해서 취약성이 있다. 그러므로 위기경험을 하고있는 사람들이 그 기간은
짧지만 빠르게 절정에 이를 수도 있고 변화될 수도 있는 고조된 심리적 민감
성을 가지고있다.
추천자료
교회 갱신과 지도력
한국인의 리더십!!
제4공화국의 정치체제 규정과 평가
한국행정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경기침체가태권도체육관경영에미치는영향
[소방행정][미국 소방행정][네덜란드 소방행정][스웨덴 소방행정][일본 소방행정][한국 소방...
(독서감상문) 두바이 CEO의 창조경영을 읽고(A+자료)
김대중대통령의 리더십분석
태권도관련단체의 일선도장에 대한 지원방안
“그리스도인 사역의 지도력”에 대한 연구
교원(교사)의 권위, 교원(교사)의 전문성, 교원(교사)의 신분, 교원(교사)의 복지, 교원(교사...
[태권도장활성화방안] 태권도장 활성화 방안
마키아벨리 군주론에서 본 리더십
피터드러커의 비영리단체의 경영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