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일의 학교체육
2. 영국의 학교 체육(1994년 이후)
3. 러시아의 학교체육
4. 일본의 학교체육
5. 미국의 체육
2. 영국의 학교 체육(1994년 이후)
3. 러시아의 학교체육
4. 일본의 학교체육
5. 미국의 체육
본문내용
실습실, 학습기기 등과 같은 학습개선을 위한 교육기자재 활 용
⑧ 사범교육의 전문화
학교 교육에 있어서 과학기술을 효과적이고 지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신중한 준비와 훈련은 필수조건이다. 그래서 먼저 초등학교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법학교가 설립되고, 그 다음 중등학교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 과정이 설치됨으로써 대학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많은 대학들이 교육학 강좌를 개설하였으며, 이것이 발전하여 교육학과, 교육대학이 되었다. 교육학과가 설치된 대학을 보면 클라크대학(Clark Univ.)이 1889년에(Stanley Hall이 초대학과장), 사범대학(1893년 콜롬비아대학과 병합)이 1888년에, 뉴욕대학이 1890년에, 시카고 대학이 1891년에 각각 설립되었다. 1900년 이후부터 중서부 지역의 대학들은 교육과학 연구의 신운동을 전개하였고 새로운 교육학과를 이루었다.
1990년대의 미국 교육은 탐구정신, 실험정신, 계량정신으로 꾸준히 교육의 과학화를 추구하여 왔다.
발달주의교육(developmentalism)은 그 용어 자체가 기존 교육과정, 교과목 중심의 교육에서 아동중심의 교육으로 변경된 신교육운동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경향은 아동교육 연구운동이라고 불리어지기도 하였는데 주로 아동발달, 아동학습, 욕구와 흥미 등의 연구에 집중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아동의 능력, 재능, 요구 등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측정, 평가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초기 발달주의 교육에 공헌한 대표적인 교육자로는 페스탈로치(Pestalozzi), 헤르바르트(Herbart), 프뢰벨(Frobel), 펠렌베르그(Fellenberg)등이었으나 19세기 후반부터 나타난 심리학분야의 새로운 연구결과들은 이 교육운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취급되었다.
독일의 프레이어(Peryer)가 '아동심리'(The Mind of Child)라는 놀라운 그의 연구결과를 출판함으로써 이것이 미국의 발달주의 교육에 큰 자극이 되었다. 미국의 이 교육운동의 중심인물은 스탠리 홀(Stanley Hall)이었다. 그는 하버드대학에서 역시 발달주의 교육운동의 지도인물인 윌리암 제임스(Willam James)의 지도 아래 공부하였으며, 특히 홀은 여러 학문분야로부터 다양한 이론을 도입하여 청소년학을 정립하는데 공헌하여, 그가 소속된 클라크대학은 아동연구의 중심대학이 되었다.
손다이크 역시 홀이나 제임스와 마찬가지로 개인연구데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으며, 이러한 그의 관심은 다음과 같은 그의 저서명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인간의 본성'(The Original Nature of Man), 학습심리(The Psychology of Learning), 정신활동과 피로(Mental Work and Fatigue), 개인차와 원인(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Causes)등이 있다.
위와 같은 교육학자의 연구 외에도 구조주의(structualism), 기능주의(Functionali sm), 행동주의(behaviorism), 체형·기관심리(Gestalt and Organismic Psychology) 등의 다양한 교육학파의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교육심리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발달주의교육은 예일 대학의 아동발달연구소 아놀드 게셀(Anord Gesell)박사의 연구와 각 지역의 아동발달관계 연구소의 연구에 의하여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
발달주의 교육자들의 현저한 연구성과는 유치원에서 대학까지의 학제개선을 비롯하여 학습의 다양화, 교육과정 영역확대, 성인교육, 특수아교육, 천재교육 등 여러 교육활동에 적용되었다. 또 발달주의 교육의 아동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식시켰으며, 아동 각자의 독자적 요구에 기초한 아동교육을 확립시켰다.
발달주의 교육이 심리학과 깊은 관련을 가진 것과 마찬가지로 사회화 교육운동 역시 사회학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1900년경 사회학의 개척자인 레스터 워드(Lester Ward)는 사회의 발달은 보통교육에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아동을 민주주의사회의 시민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아동의 사회의식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래서 사회적 목적이 강조되는 교육이 시행되기 시작되었던 것이다.
사회적 교육운동의 선구자인 존 듀이(John Dewey)는 1899년에 '학교과 사회'(Scho ol and Society)라는 저서를 발행함으로써 사회적 교육운동을 주도하게 되었다. 듀이는 1896∼1904년까지 시카고 대학의 실험학교에서 그의 사상을 적용하였으며, 그 후 콜롬비아대학의 교육대학장으로 오랜 연구생활을 하였다. 그의 교육이론은 윌리암 킬 패드릭(Willam Kilpartsick), 보이드 보드(Boyd Bode), 하롤드 러그(Harold R ugg) 등 영향력 있는 여러 학자에 의하여 계속 연구되어 사회교육 원리가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핵심으로써 현대까지 적용되고 있다.
위에서 살펴 본 미국교육의 3가지 교육형태 즉 과학적 교육, 발달주의 교육, 사회적 교육은 보다 개선된 교육체제를 만들기 위하여 상호 보완하는 관계를 가진다. 발달주의 교육은 과학적 방법의 도움을 받아서 아동연구를 수행하며, 또 사회적 교육의 목적과 목표는 과학적 교육과 발달주의 교육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이의 적용이 가능할 때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사회적 교육과 발달주의 교육을 지원하는 과학적 교육은 더욱 가치 있는 방향과 목적을 설정하게 된다.
과학적 교육, 발달주의 교육, 사회적 교육은 서로 조화롭게 가능을 발휘할 수 있겠지만 교육의 군사적 요구는 때때로 위의 3가지 형태와 상충되는 관계를 가진다. 특히 발달주의 교육과 사회적 교육은 그 목적과 필요에 있어서 군사적 요구에 묻혀 버리고 만다. 그러나 과학적 교육은 군사적 요구와의 상충되는 점이 가장 적어서 오히려 군사적 요구에 쉽게 부응할 수 있었다.
이상 네 가지 교육운동은 미국의 근대교육의 발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이와 함께 체육의 발전에 있어서도 똑같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일반교육뿐 아니라 체육에 있어서 현대체육의 이론과 실제는 위와 같은 교육운동에 기인하여 발전하여 왔다.
⑧ 사범교육의 전문화
학교 교육에 있어서 과학기술을 효과적이고 지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신중한 준비와 훈련은 필수조건이다. 그래서 먼저 초등학교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법학교가 설립되고, 그 다음 중등학교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 과정이 설치됨으로써 대학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많은 대학들이 교육학 강좌를 개설하였으며, 이것이 발전하여 교육학과, 교육대학이 되었다. 교육학과가 설치된 대학을 보면 클라크대학(Clark Univ.)이 1889년에(Stanley Hall이 초대학과장), 사범대학(1893년 콜롬비아대학과 병합)이 1888년에, 뉴욕대학이 1890년에, 시카고 대학이 1891년에 각각 설립되었다. 1900년 이후부터 중서부 지역의 대학들은 교육과학 연구의 신운동을 전개하였고 새로운 교육학과를 이루었다.
1990년대의 미국 교육은 탐구정신, 실험정신, 계량정신으로 꾸준히 교육의 과학화를 추구하여 왔다.
발달주의교육(developmentalism)은 그 용어 자체가 기존 교육과정, 교과목 중심의 교육에서 아동중심의 교육으로 변경된 신교육운동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경향은 아동교육 연구운동이라고 불리어지기도 하였는데 주로 아동발달, 아동학습, 욕구와 흥미 등의 연구에 집중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아동의 능력, 재능, 요구 등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측정, 평가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초기 발달주의 교육에 공헌한 대표적인 교육자로는 페스탈로치(Pestalozzi), 헤르바르트(Herbart), 프뢰벨(Frobel), 펠렌베르그(Fellenberg)등이었으나 19세기 후반부터 나타난 심리학분야의 새로운 연구결과들은 이 교육운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취급되었다.
독일의 프레이어(Peryer)가 '아동심리'(The Mind of Child)라는 놀라운 그의 연구결과를 출판함으로써 이것이 미국의 발달주의 교육에 큰 자극이 되었다. 미국의 이 교육운동의 중심인물은 스탠리 홀(Stanley Hall)이었다. 그는 하버드대학에서 역시 발달주의 교육운동의 지도인물인 윌리암 제임스(Willam James)의 지도 아래 공부하였으며, 특히 홀은 여러 학문분야로부터 다양한 이론을 도입하여 청소년학을 정립하는데 공헌하여, 그가 소속된 클라크대학은 아동연구의 중심대학이 되었다.
손다이크 역시 홀이나 제임스와 마찬가지로 개인연구데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으며, 이러한 그의 관심은 다음과 같은 그의 저서명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인간의 본성'(The Original Nature of Man), 학습심리(The Psychology of Learning), 정신활동과 피로(Mental Work and Fatigue), 개인차와 원인(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Causes)등이 있다.
위와 같은 교육학자의 연구 외에도 구조주의(structualism), 기능주의(Functionali sm), 행동주의(behaviorism), 체형·기관심리(Gestalt and Organismic Psychology) 등의 다양한 교육학파의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교육심리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발달주의교육은 예일 대학의 아동발달연구소 아놀드 게셀(Anord Gesell)박사의 연구와 각 지역의 아동발달관계 연구소의 연구에 의하여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
발달주의 교육자들의 현저한 연구성과는 유치원에서 대학까지의 학제개선을 비롯하여 학습의 다양화, 교육과정 영역확대, 성인교육, 특수아교육, 천재교육 등 여러 교육활동에 적용되었다. 또 발달주의 교육의 아동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식시켰으며, 아동 각자의 독자적 요구에 기초한 아동교육을 확립시켰다.
발달주의 교육이 심리학과 깊은 관련을 가진 것과 마찬가지로 사회화 교육운동 역시 사회학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1900년경 사회학의 개척자인 레스터 워드(Lester Ward)는 사회의 발달은 보통교육에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아동을 민주주의사회의 시민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아동의 사회의식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래서 사회적 목적이 강조되는 교육이 시행되기 시작되었던 것이다.
사회적 교육운동의 선구자인 존 듀이(John Dewey)는 1899년에 '학교과 사회'(Scho ol and Society)라는 저서를 발행함으로써 사회적 교육운동을 주도하게 되었다. 듀이는 1896∼1904년까지 시카고 대학의 실험학교에서 그의 사상을 적용하였으며, 그 후 콜롬비아대학의 교육대학장으로 오랜 연구생활을 하였다. 그의 교육이론은 윌리암 킬 패드릭(Willam Kilpartsick), 보이드 보드(Boyd Bode), 하롤드 러그(Harold R ugg) 등 영향력 있는 여러 학자에 의하여 계속 연구되어 사회교육 원리가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핵심으로써 현대까지 적용되고 있다.
위에서 살펴 본 미국교육의 3가지 교육형태 즉 과학적 교육, 발달주의 교육, 사회적 교육은 보다 개선된 교육체제를 만들기 위하여 상호 보완하는 관계를 가진다. 발달주의 교육은 과학적 방법의 도움을 받아서 아동연구를 수행하며, 또 사회적 교육의 목적과 목표는 과학적 교육과 발달주의 교육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이의 적용이 가능할 때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사회적 교육과 발달주의 교육을 지원하는 과학적 교육은 더욱 가치 있는 방향과 목적을 설정하게 된다.
과학적 교육, 발달주의 교육, 사회적 교육은 서로 조화롭게 가능을 발휘할 수 있겠지만 교육의 군사적 요구는 때때로 위의 3가지 형태와 상충되는 관계를 가진다. 특히 발달주의 교육과 사회적 교육은 그 목적과 필요에 있어서 군사적 요구에 묻혀 버리고 만다. 그러나 과학적 교육은 군사적 요구와의 상충되는 점이 가장 적어서 오히려 군사적 요구에 쉽게 부응할 수 있었다.
이상 네 가지 교육운동은 미국의 근대교육의 발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이와 함께 체육의 발전에 있어서도 똑같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일반교육뿐 아니라 체육에 있어서 현대체육의 이론과 실제는 위와 같은 교육운동에 기인하여 발전하여 왔다.
추천자료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바람직한 체육교사와 체육교육에 관한 고찰.hwp
(수업지도안) 체육과 교수 학습 지도안 (초등학교 6학년 대상)
[체육교육] 뉴스포츠 교육프로그램 기획안
근대의 유럽체육과 미국체육
세계의 사회체육
체육 교육의 문제점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문제와 그 대안
체육수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체육교육][체육과]체육과(체육교육)의 교육중점, 체육과(체육교육)의 교육성격, 체육과(체육...
[영국교육]영국교육의 역사, 영국교육의 현황, 영국교육의 학교제도, 영국교육의 학기, 영국...
[교육제도] 교육제도의 개념(정의) 및 원리, 학교제도의 유형분류, 우리나라(한국)의 학교제...
체육교사 양성제도의 발전 방향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