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비 절감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혁신시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류비 절감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혁신시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물류 환경의 변화

2. 국내 기업물류의 실상과 문제점

3. 지금까지의 추진실적

4. 기업물류혁신 추진방안

본문내용

지원을 통해 전문업체 육성도모
- 유통합리화자금 지원대상에 물류사업자 포함(99)
ㅇ 물류산업의 진입 및 영업활동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함으로써 경쟁기반 구축(규제개혁위원회 및 관련부처와 협의)
4. 企業物流革新 推進方案
가. 基本方向
□ 국가·기업의 생존전략으로 물류에 대한 인식 전환
ㅇ 국가는 고비용·저효율 물류구조를 개선하고 기업·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물류혁신 방안을 우선순위 높은 국가정책으로 추진
ㅇ 기업은 value chain상의 물류활동을 최적화하여 새로운 이윤창출의 원동력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IT혁명·디지탈혁명을 선점하는 데 주력
□ 이를 위해 물류자원의 효율적 운영 및 부가가치 창출형 물류체계 구현을 위한 물류소프트기반 구축사업을 핵심과제로 선정하여 전략적으로 추진
ㅇ 강도높은 물류표준화·공동화·정보화사업 추진
ㅇ 전문물류산업 육성 및 물류산업 구조의 고도화·선진화
ㅇ 전자상거래와 연계한 e-logistics의 구현
나. 細部 推進課題
(1) 물류표준화·공동화· 정보화 기반 구축
□ 물류표준화에 대한 사회적기반 조성
ㅇ「기업물류표준화가이드」홈페이지 구축(2000.1.3) 및 보완하여 물류표준화 관련 지식·정보를 상시 공유
ㅇ 물류표준화 확산효과가 큰 창고형 할인점 등 대형유통업체 등을 통한 표준파렛트 수요기반 확충
□ 「물류표준인증마크」제도 도입
ㅇ 표준규격을 만족하는 물류설비(표준파렛트, 포장상자 등) 및 기기에 대해 표준인증마크를 부여함으로써 물류표준화 기반 구축
ㅇ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시「물류표준인증마크」제도 도입근거 마련
- 2000년 상반기중 운용요령 및 심사기준 등 세부시행계획 수립
□ 「포장모듈화」개발 및 확산 추진
ㅇ 일관수송체계 구현을 위해 표준파렛트와 정합성을 갖고 적재효율이 높은 외부표장규격을 개발·보급
ㅇ 현재 69종(KS포장규격)으로 다양한 포장모듈치수를 20개 이내로 단순화
□ 「파렛트풀(Pool) 시스템」확산
ㅇ 표준파렛트를 다량확보하고 개별기업들에게 공동 이용하게 하거나 임대하는 파렛트풀시스템을 확산
- 공용파렛트의 회수, 보관공간의 효율화 등 비용절감 도모
ㅇ「조세특례제한법시행령」상 물류산업에 파렛트임대업을 추가하고 「중소기업기본법시행령」상 중소기업의 범위중 파렛트 임대업의 상시근로자수(100인)를 화물운송업(300인)과 동일하게 확대 추진
□ 물류공동화 사업의 추진
ㅇ 자원이 빈약한 중소유통업 업체들을 대상으로 공동수배송, 납품대행, 공동보관, 물류정보 공유, 공동집배송센터 건립 등 물류 공동화 추진
ㅇ 물류공동화 참여업체를 대상으로 공동화의 기초가 되는 물류표준화·정보화사업에 대한 지원
ㅇ 전속대리점체제 업종, 독립적인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는 업종·품목을 중심으로 물류공동화 사업 추진
□ 물류정보화 및 물류자동화 기반 확대
ㅇ 상품바코드(KAN) 보급이 정착된 식품분야 외에 의류, 생활용품, 문구 등 비식품 분야에 대한 바코드 보급 확대
ㅇ POS시스템, EDI시스템 등 물류정보화기기 도입에 대한 유통합리화자금 지원의 지속적 확대
□ 물류표준화·공동화·정보화 3개년 시행계획 수립·추진
ㅇ 물류의 호환성 및 연계성을 확보하고 일관수송체계를 통한 물류비 절감을 위해 물류표준화·공동화·정보화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
ㅇ 전자상거래등 새로운 여건변화를 반영한「물류표준화·공동화·정보화 3개년 계획(2000~2002)」수립·추진
(2) 물류산업 육성 및 고부가가치화
□ 제3자물류등 전문물류업체 육성
ㅇ 전문물류업체가 참여하는 물류공동화 사업 활성화를 위해 유통합리화 자금 우선 지원(2000∼2002년간 250억원)
ㅇ 종합물류서비스 시범사업자 지정제도 도입 추진
- 복합운송사업자등 종합물류서비스업에 대한 개별법상의 인허가·등록을 간소화
ㅇ 물류업체간 M&A 및 대기업 물류자회사 분사를 통한 물류업체의 대형화·전문화 유도
- 조세감면 대상인 고도기술수반사업에 첨단물류기술을 포함, 물류산업에 대한 외국인투자 및 기술이전을 활성화
□ 물류서비스의 IT화를 통한 물류혁신기반 조성
ㅇ 차세대 물류신기술 개발 촉진을 위한 지원
- 물류자동화설비, 물류정보화시스템 개발에 대한 R&D투자 지원
- 전자상거래 관련 물류정보기술 개발 집중지원
ㅇ 전문성과 노우하우를 겸비한 물류전문인력 양성
- 현재 운영중인「물류관리사」기능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물류 전문가를 배출하기 위하여 「물류기술사」 또는 「물류전문자격증」 제도의 도입 추진
- 전문대학, 대학에 물류관련 학과 및 프로그램의 신설 지원
- 최고물류경영자(CLO: Chief Logistics Officer)개념 도입·확산
* 기업 물류정책 수립, 물류업체와 협력, 기업물류 프로세스의 구축, 물류에 대한 인식의 확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CLO개념을 홍보하고 기업차원의 도입을 지속적으로 유도
(3) 전자상거래와 연계한 e-로지스틱스의 구현
□ 기업간(BtoB) 전자상거래와 e-로지스틱스
ㅇ 산업부문 전자상거래 확산사업에 공동물류를 필수사업으로 추진
ㅇ 전자상거래 업체간 물류공동화 부지확보 지원 및 공동물류센터 건립시 유통합리화 자금 지원
ㅇ 식품·생활용품 등 정보화율이 높은 부문을 선정, \"공급체인관리(SCM)\" 시범사업 추진
- SCM추진을 위한 3개년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4월중)
□ Off-line·On-line업체간 BtoC전자상거래 협력·확산
ㅇ 택배회사와 사이버쇼핑몰간의 전략적제휴 확산 유도
- 중소규모 택배회사간 M&A에 대한 세제지원을 통한 규모의 대형화 및 전문화 유도
ㅇ 편의점, 대리점, 주유소, PC방 등 전국적 유통·물류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는 off-line업체와 사이버쇼핑몰등 on-line업체간 전략적 제휴확산 유도
- 기존 off-line망을 배송, 반품, 회수, 결제거점으로 활용
ㅇ 동사무소, 우체국을 전자상거래 관련 공동물류센터로 활용하는 방안 추진
□ 사이버 물류기반 확충
ㅇ 종합물류정보망(건교부 추진)을 국가기간정보망으로 조기 육성
- 종합물류망 하부망간(화물·항만·항공·상역·금융망등) 연계성을 제고하고 물류D/B간 메타검색기능 강화
- 물류정보 중개·검색기능 강화를 위해 사이버 물류마트(Cyber Logistics Mall), 물류포탈사이트 개설을 유도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1.20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