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서론 - 글로벌 기업의 물류전략
2. 본론 - 글로벌 기업의 물류전략 사례(Wall-Mart)
(1) 개요
(2) 월마트 소개
(3) 월마트의 경영철학
(4) 물류시스템
(5) 사회참여를 통한 이미지 제고 전략
3. 결론 - 월마트 사례의 의미
1. 서론 - 글로벌 기업의 물류전략
2. 본론 - 글로벌 기업의 물류전략 사례(Wall-Mart)
(1) 개요
(2) 월마트 소개
(3) 월마트의 경영철학
(4) 물류시스템
(5) 사회참여를 통한 이미지 제고 전략
3. 결론 - 월마트 사례의 의미
본문내용
배송센터에서는 인수 즉시 점포별로 자동분류해서 각 점포로 배송한다. 장식용 종이박스에 바코드를 부착해 자동분류는 물론 입, 출하시 제품검사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적 동맹관계를 통해 월마트는 배송센터(Distribute Center)를 재고담당 물류센터에서 일종의 수송기지로 변모시켰고 이것은 연간 재고회전수가 2배 이상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P&G도 이를 통해 세일즈맨의 영업활동을 줄일 수 있었고 프로모션비(진열지원금 등을 통칭)를 악용하는 슈퍼마켓체인의 보수 제도를 중지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모든 매장에서 같은 가격에 P&G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소비자의 브랜드 충실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일종의 Win-Win 전략인 셈이다. 이러한 성공적인 전략동맹관계는 1989년 클린업 아메리카 캠페인으로까지 연결되었다. 클린업 아메리카 캠페인은 모든 공급업체와 협조하여 공해상품과 포장을 완전히 추방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월마트의 방침에 따라 이미 P&G는 모든 비누와 세제포장을 재생 가능한 종이 포장 포장으로 대체 완료하였으며,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도 재생 가능하도록 단일 성분의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다.
(5) 사회참여를 통한 이미지 제고 전략
월마트는 기업의 규모에 비해 광고비가 매주 적은 편이다. 여타의 동종기업이 매출액 대비 2~3%의 광고비 집행을 하고 있는데 반해 월마트는 1%미만의 광고비만을 책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마트가 경쟁사와 대등한 인지도를 갖게 된 것은 사회참여 성격이 짙은 캠페인을 벌임으로써 매스컴의 자연스런 주목을 끈 것과 무관하지 않다.
3. 결론 - 월마트 사례의 의미
이상에서 우리는 월마트가 유통시장에서 마켓리더로 등장할 수 있었던 성공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월마트가 저비용 원가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타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실현시킬 수 있었던 것이 성공의 핵심이었다. 이러한 기본원칙적인 경영요소를 월마트가 훌륭히 해낼 수 있었던 원인은 샘 월튼의 인간중심적이고 현장 중심적이라는 경영철학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학자나 기업인들이 어떤 사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대체적인 의견은 대체로 다음의 세 가지로 집약될 수 있을 듯하다. 다른 기업과의 차별된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관리효율이 뛰어나야 하며,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노하우 등이 축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등이다. 월마트는 이러한 사업의 성공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기업이다. 초기단계에 있어서의 월마트의 성공조건을 보면, 우선 마을에서 유일한 디스카운트 스토어라는 점에서 차별화 기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점의 개설위치를 본사(배송센터)에서 450마일 이내로 한정하는 관리효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점개설지역의 확대와 함께 특정 지역에서의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출점 노하우는 타 지역, 타 국가에 대한 진출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쓰여지고 있는 것이다. 1980년대 본격적인 매출 확대를 통해 미국 제일의 유통업체로서 성장함에 있어서도 월마트는 다른 기업과는 다른 사업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고객의 구매대리인으로서의 철저한 실행을 들 수 있다. 월마트는 가격이 싸고, 품질이 좋으며, 매장에서 절대 품절이 없는, 그야말로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구매대리인으로서의 생각 및 활동이 다른 기업과는 다른 차별화된 기능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차별화된 기능과 저비용 원가구조를 이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성공요소는 월마트의 탁월한 물류시스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Cross-docking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무재고를 실현하고, 자사의 전용수송체계를 효율적으로 탄력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타 경쟁업체보다 낮은 원가구조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일찍부터 POS시스템, 인공위성 통신망 구축 등 정보네트워크에 막대한 투자를 하였다. 이러한 미래 동시적인 선진 경영(Foresight)을 통해 타 경쟁사보다 현격히 낮은 비용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성공요인이라 하겠다. 즉, 월마트의 사례는 ‘Best Strategy'보다는 ’Best Practice'의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월마트는 세계에서 가장 큰 소매업체이다. 문제는 월마트가 지금까지 누구보다도 더 잘 발전시켰던 혁신적인 소매업의 개념을 가지고 지금까지 해왔던 엄청난 스피드의 성장과 탁월한 경쟁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5) 사회참여를 통한 이미지 제고 전략
월마트는 기업의 규모에 비해 광고비가 매주 적은 편이다. 여타의 동종기업이 매출액 대비 2~3%의 광고비 집행을 하고 있는데 반해 월마트는 1%미만의 광고비만을 책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마트가 경쟁사와 대등한 인지도를 갖게 된 것은 사회참여 성격이 짙은 캠페인을 벌임으로써 매스컴의 자연스런 주목을 끈 것과 무관하지 않다.
3. 결론 - 월마트 사례의 의미
이상에서 우리는 월마트가 유통시장에서 마켓리더로 등장할 수 있었던 성공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월마트가 저비용 원가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타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실현시킬 수 있었던 것이 성공의 핵심이었다. 이러한 기본원칙적인 경영요소를 월마트가 훌륭히 해낼 수 있었던 원인은 샘 월튼의 인간중심적이고 현장 중심적이라는 경영철학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학자나 기업인들이 어떤 사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대체적인 의견은 대체로 다음의 세 가지로 집약될 수 있을 듯하다. 다른 기업과의 차별된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관리효율이 뛰어나야 하며,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노하우 등이 축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등이다. 월마트는 이러한 사업의 성공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기업이다. 초기단계에 있어서의 월마트의 성공조건을 보면, 우선 마을에서 유일한 디스카운트 스토어라는 점에서 차별화 기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점의 개설위치를 본사(배송센터)에서 450마일 이내로 한정하는 관리효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점개설지역의 확대와 함께 특정 지역에서의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출점 노하우는 타 지역, 타 국가에 대한 진출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쓰여지고 있는 것이다. 1980년대 본격적인 매출 확대를 통해 미국 제일의 유통업체로서 성장함에 있어서도 월마트는 다른 기업과는 다른 사업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고객의 구매대리인으로서의 철저한 실행을 들 수 있다. 월마트는 가격이 싸고, 품질이 좋으며, 매장에서 절대 품절이 없는, 그야말로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구매대리인으로서의 생각 및 활동이 다른 기업과는 다른 차별화된 기능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차별화된 기능과 저비용 원가구조를 이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성공요소는 월마트의 탁월한 물류시스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Cross-docking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무재고를 실현하고, 자사의 전용수송체계를 효율적으로 탄력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타 경쟁업체보다 낮은 원가구조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일찍부터 POS시스템, 인공위성 통신망 구축 등 정보네트워크에 막대한 투자를 하였다. 이러한 미래 동시적인 선진 경영(Foresight)을 통해 타 경쟁사보다 현격히 낮은 비용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성공요인이라 하겠다. 즉, 월마트의 사례는 ‘Best Strategy'보다는 ’Best Practice'의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월마트는 세계에서 가장 큰 소매업체이다. 문제는 월마트가 지금까지 누구보다도 더 잘 발전시켰던 혁신적인 소매업의 개념을 가지고 지금까지 해왔던 엄청난 스피드의 성장과 탁월한 경쟁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추천자료
국제물류효율성제고방안에 대한 사례분석
국제물류의 효율성 제고방안과 해운기업의 경영혁신 사례
물류 혁신 사례
전략적 정보 시스템 계획(SISP)의 개념과 성공사례
[물류관리론]GS리테일의 물류혁신 사례분석(A+리포트)
이마트 물류 사례 분석
우리나라 국제물류 정보시스템 현황및 문제점
한국 컨테이너 물류 정보 시스템의 비효율과 개선 방향에 관한 고찰
사례를 통한 ERP시스템 분석,ERP 성공 사례 (현대건설),ERP 실패 사례(빅뱅사),ERP 향후전망
대한통운의 전략적 정보시스템,대한통운정보전략분석,대한통운과CJ시스템통합,3자물류
회계시스템 도입사례 연구
글로벌 물류 관리 사례
녹색물류와 대한통운사례
물류 정보와 물류 정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