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공식조직으로 관리효율 극대화
2. 신제품으로 표준 주도
3. 신제품 개발과정 5원칙
4. 제품개발과 출하 5원칙
5.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4원칙
6. 강약점과 항후 전략
2. 신제품으로 표준 주도
3. 신제품 개발과정 5원칙
4. 제품개발과 출하 5원칙
5.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4원칙
6. 강약점과 항후 전략
본문내용
모든 면에서 뛰어남.
○ 매우 효과적이고 集中的인 경쟁전략과 조직의 目標設定
- 경영진이나 조직원들은 優秀한 기술이 값진 기술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음. 시장에 언제 들어가서 이익을 창출하고 어느 시점에 그들의 관점을 바꾸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
○ 組織進化 및 제품개발에 대해 매우 柔軟하고 漸進的인 접근방법 활용
- 프로젝트 수행중이라도 고객이 원하는 바가 달라졌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품의 디자인을 계속 바꾸어 나감.
○ 自體商品에 대한 批判을 통한 學習 및 改善
- 기존에 출하된 제품의 문제점, 개발시의 문제점, 고객의 불평 등을 가능한 한 計量化하여 不必要한 機能除去와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제품개발에 이용함.
○ 1975年 이후 계속되어 온 끝없는 미래 시장에의 도전은 마이크로소프트社 정신의 핵심으로, 현재는 멀티미디어 및 情報高速道路 등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고 있음.
나. 제품개발
○ 마이크로소프트社의 競爭戰略을 뒷받침 해주는 제품개발 조직
- 獨立的인 소규모 팀제로 운영되지만 책임 및 정보를 共有하면서 統合된 하나의 거대한 팀처럼 운영되는 조직을 갖추고 있음.
○ 효율적이며 柔軟한 제품개발 조직
- 각 개인은 자신의 결정에 따라 개발제품에 많은 變更을 가할 수 있지만 모든 결정은 잘 정의된 개발 절차에 따르고 있음.
○ 제품개발에 있어서 效果的인 feedback과 學習體制
- 제품 企劃段階부터 제품 출하후의 고객불평에 이르기까지 모든 데이타를 수집하여 제품개발시 참조
○ 同時化와 安定化(sync-and-stabilize) 개발 방법은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소규모 팀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다 精巧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틀을 제공
2) 弱點
가. 會社經營
○ 현재 마이크로소프트社는 빌 게이츠에게 너무 의지하고 있음.
- 아무리 우수한 最高經營者라도 지식, 관심의 범위에 限界가 있음.
○ 시장에서의 收益創出을 너무 강조하는 회사 분위기 때문에 진정으로 創造的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하기도 함.
○ 제품개발 팀간의 상호 依存度가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제품 출하시기의 지연이나 제품의 질이 특정한 부분에 의해 좌우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도 있음.
나. 人力 및 技術管理
○ 책임 영역의 重複.過多는 혼란과 노력의 浪費를 초래할 수 있음.
- 한 전문가가 여러 개발 소그룹에 소속하게 됨으로써 책임구분이 모호할 경우가 많음.
○ 매우 창조적으로 작업을 수행하지만 많은 실패를 겪음.
- 마이크로소프트社의 프로젝트 수행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경우에 있어서 같은 실수를 反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離職率이 높아질 경우 知的能力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소프트웨어개발에 타격을 받을 수 있음.
- 소프트웨어의 개발 특성상 대부분의 지식은 개발자나 프로그램 檢證者가 갖고 있음.
다. 제품 구성과 경쟁전략
○ 마이크로소프트社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인 제품의 漸進的 改善은 진정으로 革新的 변화나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 내는데 한계가 있음.
- 모든 제품은 대부분 이전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형태임. 예를들어 Windows 95는 10년전의 Macintosh 운영체제와 유사함. 앞으로도 보다 전문적인 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임.
○ 기술지향과 고객지향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가 어려움.
- 앞으로 소프트웨어는 사용의 편리성, 저가, 내용(content), 구매의 용이성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임. 그동안 이러한 경향에 대처하기 위해 고객의 요구가 무엇인지에 귀를 기울이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지만,
- 영화제작업자, 통신사업자, video-game 소프트웨어 제작업체들 보다는 활발하지 못함. 이들 경쟁 사업자들이 소프트웨어산업에 뛰어들 경우 커다란 위협이 될 것임.
○ 소프트웨어가 지금의 기능중심에서 내용(content)중심으로 전환되면 英語版이 아닌, 각 나라의 언어로 만들어진 製品出市 필요성이 더욱 증대됨.
- 小賣部門 판매의 70% 이상을 海外에서 거두고 있기 때문에 外國語로된 소프트웨어의 출시에 보다 신경을 써야 함. 이를 위해 보다 많은 해외 현지 업체가 지역에 맞는 제품을 기획.개발해야 하는데, 이는 지금보다 더 복잡한 의사결정과 제품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됨.
○ 현재의 제품은 다양한 영역에 걸쳐있기 때문에 제품 개발의 焦點을 잃을 우려가 있음.
3) 戰略的 危險
○ 기업내부의 문제점 외에 예상되는 전략적 문제로는
- 기업의 역사를 볼 때 한 기업이 몇 世代에 걸쳐 기술을 先導하기는 매우 어렵고,
- 새로운 시장은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競爭 構造를 원하며,
- 협력업체들이 갈수록 더 많은 양의 이익 분배를 원하고 있으며,
- 회사의 세력이 너무 커지고 있기 때문에 獨占禁止法과 경쟁회사 聯合에 의해 사업 활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임.
4) 未來를 향한 基本戰略
○ 향후 목표 시장은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 위주에서 "소비를 위주로 하는 소프트웨어"로 전환될 것임.
- 그동안 소프트웨어는 보고서 작성, 예산분석 등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데 용이한 제품으로 개발되어 왔음.
- 그러나 미래에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정보 검색, 정보 교환 등을 위한 일에 시간을 더 많이 보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러한 일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프트웨어, 특히 가정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시장이 급격하게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사용시간 혹은 사용할 떠 마다 비용이 부과되는 제품의 개발
- 그동안의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은 일정가격에 제품을 구매하면 몇 번을 사용하든 비용을 더 지불하지 않고 사용해 왔음.
- 그러나 향후에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소프트웨어 개발비가 엄청나게 소요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사용빈도에 의한 비용부과가 개발자와 사용자 공히 유리하게 될 것임.
○ 개별 제품들을 통합하여 제품 종류를 줄이고, 이러한 제품을 매년 개선시켜 새로운 버전의 제품을 내놓을 계획임.
- 응용 프로그램, 운영체제,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구별이 없게 만드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 컴퓨터 하드웨어, TV, 케이블 TV 시스템간의 구분이 없는 제품을 개발할 예정임.
○ 매우 효과적이고 集中的인 경쟁전략과 조직의 目標設定
- 경영진이나 조직원들은 優秀한 기술이 값진 기술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음. 시장에 언제 들어가서 이익을 창출하고 어느 시점에 그들의 관점을 바꾸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
○ 組織進化 및 제품개발에 대해 매우 柔軟하고 漸進的인 접근방법 활용
- 프로젝트 수행중이라도 고객이 원하는 바가 달라졌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품의 디자인을 계속 바꾸어 나감.
○ 自體商品에 대한 批判을 통한 學習 및 改善
- 기존에 출하된 제품의 문제점, 개발시의 문제점, 고객의 불평 등을 가능한 한 計量化하여 不必要한 機能除去와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제품개발에 이용함.
○ 1975年 이후 계속되어 온 끝없는 미래 시장에의 도전은 마이크로소프트社 정신의 핵심으로, 현재는 멀티미디어 및 情報高速道路 등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고 있음.
나. 제품개발
○ 마이크로소프트社의 競爭戰略을 뒷받침 해주는 제품개발 조직
- 獨立的인 소규모 팀제로 운영되지만 책임 및 정보를 共有하면서 統合된 하나의 거대한 팀처럼 운영되는 조직을 갖추고 있음.
○ 효율적이며 柔軟한 제품개발 조직
- 각 개인은 자신의 결정에 따라 개발제품에 많은 變更을 가할 수 있지만 모든 결정은 잘 정의된 개발 절차에 따르고 있음.
○ 제품개발에 있어서 效果的인 feedback과 學習體制
- 제품 企劃段階부터 제품 출하후의 고객불평에 이르기까지 모든 데이타를 수집하여 제품개발시 참조
○ 同時化와 安定化(sync-and-stabilize) 개발 방법은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소규모 팀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다 精巧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틀을 제공
2) 弱點
가. 會社經營
○ 현재 마이크로소프트社는 빌 게이츠에게 너무 의지하고 있음.
- 아무리 우수한 最高經營者라도 지식, 관심의 범위에 限界가 있음.
○ 시장에서의 收益創出을 너무 강조하는 회사 분위기 때문에 진정으로 創造的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하기도 함.
○ 제품개발 팀간의 상호 依存度가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제품 출하시기의 지연이나 제품의 질이 특정한 부분에 의해 좌우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도 있음.
나. 人力 및 技術管理
○ 책임 영역의 重複.過多는 혼란과 노력의 浪費를 초래할 수 있음.
- 한 전문가가 여러 개발 소그룹에 소속하게 됨으로써 책임구분이 모호할 경우가 많음.
○ 매우 창조적으로 작업을 수행하지만 많은 실패를 겪음.
- 마이크로소프트社의 프로젝트 수행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경우에 있어서 같은 실수를 反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離職率이 높아질 경우 知的能力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소프트웨어개발에 타격을 받을 수 있음.
- 소프트웨어의 개발 특성상 대부분의 지식은 개발자나 프로그램 檢證者가 갖고 있음.
다. 제품 구성과 경쟁전략
○ 마이크로소프트社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인 제품의 漸進的 改善은 진정으로 革新的 변화나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 내는데 한계가 있음.
- 모든 제품은 대부분 이전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형태임. 예를들어 Windows 95는 10년전의 Macintosh 운영체제와 유사함. 앞으로도 보다 전문적인 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임.
○ 기술지향과 고객지향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가 어려움.
- 앞으로 소프트웨어는 사용의 편리성, 저가, 내용(content), 구매의 용이성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임. 그동안 이러한 경향에 대처하기 위해 고객의 요구가 무엇인지에 귀를 기울이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지만,
- 영화제작업자, 통신사업자, video-game 소프트웨어 제작업체들 보다는 활발하지 못함. 이들 경쟁 사업자들이 소프트웨어산업에 뛰어들 경우 커다란 위협이 될 것임.
○ 소프트웨어가 지금의 기능중심에서 내용(content)중심으로 전환되면 英語版이 아닌, 각 나라의 언어로 만들어진 製品出市 필요성이 더욱 증대됨.
- 小賣部門 판매의 70% 이상을 海外에서 거두고 있기 때문에 外國語로된 소프트웨어의 출시에 보다 신경을 써야 함. 이를 위해 보다 많은 해외 현지 업체가 지역에 맞는 제품을 기획.개발해야 하는데, 이는 지금보다 더 복잡한 의사결정과 제품 관리를 필요로 하게 됨.
○ 현재의 제품은 다양한 영역에 걸쳐있기 때문에 제품 개발의 焦點을 잃을 우려가 있음.
3) 戰略的 危險
○ 기업내부의 문제점 외에 예상되는 전략적 문제로는
- 기업의 역사를 볼 때 한 기업이 몇 世代에 걸쳐 기술을 先導하기는 매우 어렵고,
- 새로운 시장은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競爭 構造를 원하며,
- 협력업체들이 갈수록 더 많은 양의 이익 분배를 원하고 있으며,
- 회사의 세력이 너무 커지고 있기 때문에 獨占禁止法과 경쟁회사 聯合에 의해 사업 활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임.
4) 未來를 향한 基本戰略
○ 향후 목표 시장은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 위주에서 "소비를 위주로 하는 소프트웨어"로 전환될 것임.
- 그동안 소프트웨어는 보고서 작성, 예산분석 등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데 용이한 제품으로 개발되어 왔음.
- 그러나 미래에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정보 검색, 정보 교환 등을 위한 일에 시간을 더 많이 보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러한 일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프트웨어, 특히 가정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시장이 급격하게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사용시간 혹은 사용할 떠 마다 비용이 부과되는 제품의 개발
- 그동안의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은 일정가격에 제품을 구매하면 몇 번을 사용하든 비용을 더 지불하지 않고 사용해 왔음.
- 그러나 향후에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소프트웨어 개발비가 엄청나게 소요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사용빈도에 의한 비용부과가 개발자와 사용자 공히 유리하게 될 것임.
○ 개별 제품들을 통합하여 제품 종류를 줄이고, 이러한 제품을 매년 개선시켜 새로운 버전의 제품을 내놓을 계획임.
- 응용 프로그램, 운영체제,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구별이 없게 만드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 컴퓨터 하드웨어, TV, 케이블 TV 시스템간의 구분이 없는 제품을 개발할 예정임.
키워드
추천자료
미수금의 효율적 관리방안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효율적인 고객 관리-사례 중심으로
효육절 시간관리를 위한 방안
효율적인 인건비 관리방안
마케팅 관리 /신제품 실패사례(스포티지등.)
3M (쓰리엠) R&D의 국제화와 신제품 개발 전략 사례 연구
[생산관리/생산운영관리A+]아웃백(OUTBACK Stakehouse) 서비스 프로세스 효율화전략 분석
성인 여드름의 정의, 원인, 치료방법, 잘못된 상식, 변화, 특징, 현황, 사례, 효율적인 관리,...
국내 의료관광 현황, 유치업체의 경영 효율성 분석, 현황, 유치업체의 역할, 변화, 특징, 현...
아파트관리의 효율적 운영방안
[A+] 폐가전제품 회수물류 Process의 효율화 방안 - 개요 & 선행 연구, 환경규제 강화, ...
한국의 비관세장벽의 관리현황과 문제점을 쓰시오. - 불확실성, 효율성의 문제
지역사회간호진단 지역사회간호과정 지역사회케이스 스터디 만성 통증 질환에 대한 비효율적 ...
[프로젝트 접근법] 프로젝트 접근법의 개념과 특성 ; 프로젝트 접근법의 효율적 관리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