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대중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회복지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접근
1. 복지공급에 있어 국가와 시장의 관계
2. 사회보험과 신자유주의
3. 사회안전망과 신자유주의

Ⅲ. DJ 정부하의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와 그 성격
1. 국민연금 : 사회보장연금제도의 고수
2. 의료보험 : 사회의료보험의 고수와 연대성의 강화
3.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 사회보험 방식의 적용 확대
4. 사회안전망의 확충과 국가책임의 강화

Ⅴ. 결 론

본문내용

in Ten Welfare State. Avebury: Ashgate
O\' Brien, Martin. and Penna, Sue. 1998. Theorising and Welfare: Enlightenment and Modern Society. London: SAGE
Pieper, Ute. and Taylor, Lance. 1998. \"The revival of the liberal creed : the IMF, the World Bank, and inequality in a Globalized economy\". in Baker, Dean. et. al. eds. Globalization and Progressive Economic Poli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ierson, Christopher. 1998. Beyond the Welfare State: The New Political Economy of Welfare. 2nd ed. Pennsylvani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Prescott, Nicholas. 1998. Choices in Financing Health Care and Old Age Security. World Bank Discussion Paper. No 392. The World Bank.
Presidential Committee for Quality-of-Life. Office of the President. DJ Welfarism: A New Paradigm for Productive Welfare in Korea. Seoul: Tae Sul Dang.
Shin, Dong-Myeon. 2000. \"Financial Crisis and Social Security : The paradox of the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Vol 53. No 3. pp. 83-107.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2000.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1999.
Tang, Kwong-leung. 2000. \"Social Welfare, and Policy Responses : Hong Kong and Korea Compared\".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Welfare. Vol 20. No 5/6. pp. 49-71.
Teeple, Gary. 1995. Globalization and the Decline of Social Reform. Toronto: Humanities Press.
World Bank. 1994. Averting the Old Age Crisis: Policies to Protect the Old and Promote Gowth, A World Bank Policy Research Report. Oxford University Press.
World Bank. 1996. Social Dimensions of Adjustment: World Bank Experience: 1980-1983.
World Bank. 1997. Health, Nutrition and Population Sector, Strategy Paper.
World Bank. 2001. Safety Nets. (http://www.worldbank.org/poverty/safety/index.htm) (방문일 2001년 4월 28일).
고경환. 장영식 외. 2000.『OECD 추계방법에 의한 한국의 순사회복지지출 추계』.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연금제도개선기획단. 1997. 『전국민연금 확대적용에 대비한 국민연금제도 개선』.
김균·박순성. 1998. \"김대중정부의 경제정책과 신자유주의\". 이병천·김균(편). 『위기, 그리고 대전환: 새로운 한국경제의 패러다임을 찾아서』. 서울:당대
김연명. 1997. \"ILO의 사회보장 기준과 한국 사회보장의 정비 과제\". 『사회복지학』. 통권 31호. 한국사회복지학회. pp. 219-246. 서울:나남
______. 2000. \"의료보험 통합의 성과·쟁점 그리고 미래\".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편). 『한국 사회복지의 현황과 쟁점』. 서울: 인간과복지
______. 2001. \"비정규 근로자의 사회보험 확대: 쟁점과 정책\". 『사회복지학』. 통권 45호. 한국사회복지학회. 서울:나남
김영범. 2001. 경제위기 이후 사회정책의 변화. 『한국 사회학』. 제35집. 1호. 한국사회학회.
김창엽·이태수·김연명. 1998. \"IBRD 는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하였나?\". 『월간 복지동향』.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제2호.
대통령비서실 삶의질 향상 기획단. 1999. 『새천년을 향한 생산적 복지의 길』서울:태설당
석재은. 2000. \"국민연금의 정책적 선택의 특성과 발전 과제\".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편). 『한국 사회복지의 현황과 쟁점』. 서울: 인간과복지
자유기업센터. 1998. 『의료보험제도에 시장원리를』. 서울: 자유기업센터
장상환. 1998. \"김대중정권 경제정책의 성격과 전망\". 『경제와 사회』. 38호. 한국산업사회학회.
정무권. 2000. \"국민의 정부의 사회정책 : 신자유주의로의 확대? 사회통합으로의 전환\". 안병영·임혁백(편).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 이념·현실·대응』. 서울: 나남 출판사
조영훈. 2000. \"생산적 복지론과 한국 복지국가의 미래\". 『경제와 사회』. 45호. 서울: 한울출판사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2000. \"한국적 생산적 복지란 무엇인가 ?\". 『월간 복지동향』
허선. 2000.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 방안의 주요 쟁점과 그 대안\". 『사회복지정책』. 10집.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황덕순. 2001.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실업대책의 확충현황과 발전 방향\". 『사회안전망 확충에 관한 Workshop』.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11.28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