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거와 미디어 정치
2. 선거보도의 일반적 문제점
3. 여론조사보도의 문제
4. TV토론의 문제
5. 제언
참고문헌
2. 선거보도의 일반적 문제점
3. 여론조사보도의 문제
4. TV토론의 문제
5.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데 이를 보완하는 장치를 마련하자 는 제안이 있었다.(김무곤, 1997)
다섯째, 다자간 대결(15대 대통령선거 방송 토론회에서는 세 후보 간 토론이었음)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다자간 토론으로 인해 질의 응답시간이 짧아지고 어느 특정 후보에 대한 나머지 후보들의 집중공략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후보자에 대한 자질이나 능력 평가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1:1 대결방식이 최선이라는 주장이다.(양승목, 1997 : 358-371, 김우룡, 197 : 539-542)
여섯째,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를 공영방송사가 주관해 실시하도록 규정한 것은 잘못이라는 지적이다. 방송사는 토론회를 중계할 뿐 주관은 민간기구가 맡아야 옳다는 것이다.(김우룡, 1997 : 539-542, 김진홍, 1997 : 373-381, 최양호, 1997) 이 같은 주장은 그 동안 시민단체와 언론학계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5. 제언
언론매체의 선거보도와 TV토론회 및 여론조사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선관위가 언론사들에게 자율적인 선거보도지침을 제정하도록 권유하는 일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둘째, 선거방송보도 심의기준과 신문의 선거보도 심의지침을 사전에 각 언론사에 배포하는 한편 선관위가 방송위원회나 한국신문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의 협조를 얻어 그 같은 심의기준을 설명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방송과 신문의 선거보도 심의기준은 사실상 선거보도의 지침이 될 수 있겠기 때문이다.
셋째, 언론매체들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TV토론회가 너무 많이 개최됨으로써 오히려 토론회의 효용성을 떨어뜨리고 유권자들로 하여금 이를 외면하게 만든 측면이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왕 출구조사를 허용할 바에는 투표장에서 300미터 떨어진 곳에서 조사토록 한 현행법 규정은 개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대도시지역의 경우 투표소에서 나와 돌아가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길은 외길이 아니므로 지금과 같은 규정이 계속 존속한다면 출구조사의 핵심인 표본추출이 정확하게 될 수 없기 때문에 조사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알아야한다.
다섯째, 여론조사결과는 조사가 실시된 시점의 스냅사진 같은 것이어서 그 때의 여론만 반영되는 것이다. 여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이며, 선거관련 여론조사가 유권자들의 판단과 선택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시간차를 두고 지속적으로 조사가 행해져 여론의 추이를 알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선거운동기간 중에 여론조사결과를 보도하지 못하게 규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여섯째, TV토론회와 정치광고의 단가가 너무 비싸다. 돈 없는 후보자가 접근할 수 없는 단가는 원천적으로 기회의 균등을 봉쇄하는 것임은 물론 금권선거를 철폐하기 위한 미디어선거의 정신에도 어긋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민간상업방송의 단가를 정부가 규제하기는 어렵겠지만 적어도 공영방송의 경우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하도록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하루속히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15대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에서 노출된 보완할 점, 개선할 점들을 검토하고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토론회 방식을 미리 고안해 두어야 하겠기 때문이다.
15대 대통령선거의 경우 선거법 개정이 늦어진 까닭에 11월 중순에야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구성되고 첫 토론회를 12월 1일에 열었기 때문에 토론위원회는 촉박한 시일 안에 최선을 다해 공정한 토론회를 마칠 수는 있었지만 우리의 정치문화풍토에 적합한 최선의 토론방식을 고안했다고는 볼 수 없다.
우리의 경우 선거가 임박해서야 토론위원회를 구성하고 준비하는 잘못된 관행이 있다. 이 같은 구습은 타파되어야 한다. 만약 빠른 시일 내에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의 개선을 위한 기구를 만들어 작업을 시작하지 않는다면 미디어선거의 효율성은 높아지기 어려울 것이다.
참고문헌
권혁남 (1997) 「한국언론과 선거보도」, 서울: 나남.
김동규 (1998) 한국언론의 선거보도관행. 「건국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79-88.
김우룡 (1997) TV가 대세를 갈랐다. 「대통령선거방송통론위원회 보고서」, 서 울: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김정탁 (1997) TV토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방송문화」, 서울: KBS.
김진홍 (1997) 언론의 불공정 보도관행을 억제하는데 기여. 「대통령선거방송 토론위원회 보고서」, 서울: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백선기 (1997) 「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양승목 (1997) 여론조사 바로 보고, 바로 읽기. 「대통령선거보도와 한국언론 세미나 보고서」, 47-66. 한국언론연구원.
양승목 (1997) 제 15대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 평가,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 원회 보고서」, 서울: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이민웅 (1997) TV토론회를 평가한다. 「한국일보」, 1997년 12월 6일자.
이민웅 (1997) 대통령선거보고, 어떻게 가야하나. 「대통령선거보도와 한국언 론 세미나 보고서」, 3-32. 한국언론연구원.
조지 갤럽 (1978) 「갤럽의 여론조사」, 박무익 (역). 서울: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언론연구원
최양호 (1997) TV토론의 활성화와 공정성 제고방안. 「방송문화」, 서울: KBS
한국언론연구원 (1988) 선거와 여론 「신문과 방송」,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한국언론연구원 (1997) 「대통령선거 취재와 보도 연구보고서」, 97-102.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Glynn, Carroll J. & Ostman, Ronald E. (1988) Public Opinion about Public Opinion, Journalism Quarterly, Vol. 65. No.2
Miller, M. Mark & Hurd, Robert (1982) Conformity to AAPOR Standards in Newspaper Reporting of Public Opinion Poll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46.
다섯째, 다자간 대결(15대 대통령선거 방송 토론회에서는 세 후보 간 토론이었음)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다자간 토론으로 인해 질의 응답시간이 짧아지고 어느 특정 후보에 대한 나머지 후보들의 집중공략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후보자에 대한 자질이나 능력 평가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1:1 대결방식이 최선이라는 주장이다.(양승목, 1997 : 358-371, 김우룡, 197 : 539-542)
여섯째,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를 공영방송사가 주관해 실시하도록 규정한 것은 잘못이라는 지적이다. 방송사는 토론회를 중계할 뿐 주관은 민간기구가 맡아야 옳다는 것이다.(김우룡, 1997 : 539-542, 김진홍, 1997 : 373-381, 최양호, 1997) 이 같은 주장은 그 동안 시민단체와 언론학계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5. 제언
언론매체의 선거보도와 TV토론회 및 여론조사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선관위가 언론사들에게 자율적인 선거보도지침을 제정하도록 권유하는 일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둘째, 선거방송보도 심의기준과 신문의 선거보도 심의지침을 사전에 각 언론사에 배포하는 한편 선관위가 방송위원회나 한국신문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의 협조를 얻어 그 같은 심의기준을 설명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방송과 신문의 선거보도 심의기준은 사실상 선거보도의 지침이 될 수 있겠기 때문이다.
셋째, 언론매체들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TV토론회가 너무 많이 개최됨으로써 오히려 토론회의 효용성을 떨어뜨리고 유권자들로 하여금 이를 외면하게 만든 측면이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왕 출구조사를 허용할 바에는 투표장에서 300미터 떨어진 곳에서 조사토록 한 현행법 규정은 개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대도시지역의 경우 투표소에서 나와 돌아가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길은 외길이 아니므로 지금과 같은 규정이 계속 존속한다면 출구조사의 핵심인 표본추출이 정확하게 될 수 없기 때문에 조사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알아야한다.
다섯째, 여론조사결과는 조사가 실시된 시점의 스냅사진 같은 것이어서 그 때의 여론만 반영되는 것이다. 여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이며, 선거관련 여론조사가 유권자들의 판단과 선택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시간차를 두고 지속적으로 조사가 행해져 여론의 추이를 알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선거운동기간 중에 여론조사결과를 보도하지 못하게 규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여섯째, TV토론회와 정치광고의 단가가 너무 비싸다. 돈 없는 후보자가 접근할 수 없는 단가는 원천적으로 기회의 균등을 봉쇄하는 것임은 물론 금권선거를 철폐하기 위한 미디어선거의 정신에도 어긋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민간상업방송의 단가를 정부가 규제하기는 어렵겠지만 적어도 공영방송의 경우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하도록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하루속히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15대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에서 노출된 보완할 점, 개선할 점들을 검토하고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토론회 방식을 미리 고안해 두어야 하겠기 때문이다.
15대 대통령선거의 경우 선거법 개정이 늦어진 까닭에 11월 중순에야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구성되고 첫 토론회를 12월 1일에 열었기 때문에 토론위원회는 촉박한 시일 안에 최선을 다해 공정한 토론회를 마칠 수는 있었지만 우리의 정치문화풍토에 적합한 최선의 토론방식을 고안했다고는 볼 수 없다.
우리의 경우 선거가 임박해서야 토론위원회를 구성하고 준비하는 잘못된 관행이 있다. 이 같은 구습은 타파되어야 한다. 만약 빠른 시일 내에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의 개선을 위한 기구를 만들어 작업을 시작하지 않는다면 미디어선거의 효율성은 높아지기 어려울 것이다.
참고문헌
권혁남 (1997) 「한국언론과 선거보도」, 서울: 나남.
김동규 (1998) 한국언론의 선거보도관행. 「건국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79-88.
김우룡 (1997) TV가 대세를 갈랐다. 「대통령선거방송통론위원회 보고서」, 서 울: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김정탁 (1997) TV토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방송문화」, 서울: KBS.
김진홍 (1997) 언론의 불공정 보도관행을 억제하는데 기여. 「대통령선거방송 토론위원회 보고서」, 서울: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백선기 (1997) 「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양승목 (1997) 여론조사 바로 보고, 바로 읽기. 「대통령선거보도와 한국언론 세미나 보고서」, 47-66. 한국언론연구원.
양승목 (1997) 제 15대 대통령선거방송토론회 평가,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 원회 보고서」, 서울: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이민웅 (1997) TV토론회를 평가한다. 「한국일보」, 1997년 12월 6일자.
이민웅 (1997) 대통령선거보고, 어떻게 가야하나. 「대통령선거보도와 한국언 론 세미나 보고서」, 3-32. 한국언론연구원.
조지 갤럽 (1978) 「갤럽의 여론조사」, 박무익 (역). 서울: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언론연구원
최양호 (1997) TV토론의 활성화와 공정성 제고방안. 「방송문화」, 서울: KBS
한국언론연구원 (1988) 선거와 여론 「신문과 방송」,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한국언론연구원 (1997) 「대통령선거 취재와 보도 연구보고서」, 97-102.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Glynn, Carroll J. & Ostman, Ronald E. (1988) Public Opinion about Public Opinion, Journalism Quarterly, Vol. 65. No.2
Miller, M. Mark & Hurd, Robert (1982) Conformity to AAPOR Standards in Newspaper Reporting of Public Opinion Poll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46.
추천자료
후쿠시마 원전 폭파사고 관련 설문조사 및 언론보도분석
노무현대통령서거 전후 각언론별 보도 형태
최근 한국언론에서 보도된 끔찍한 사건 하나를 예로 들어 그것이 반사회적 인격장애와 어떤 ...
본 과제 제출 기간 동안 출처가 분명한 언론매체에 보도된 여성관련 이슈의 기사를 스크랩 하...
[인간과과학 공통] 인터넷기사나 방송보도사례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
무상보육관련기사분석(사회복지정책론, 무상보육기사분석, 무상보육언론보도, 개인의견)
최근 언론에서 보도된 사회복지관련 기사를 선정하여 그 기사와 관련된 사회문제가 무엇인지 ...
현재 언론 매체에 보도되는 청소년문제를 1가지 소개하고 이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을 논하시...
[부모교육] 요즘 가족폭력이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데 부모의 자녀폭력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요즘 가족폭력이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데, 그 중 부모의 자녀폭력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을 자...
[청소년복지] 언론매체에 보도되는 청소년문제 중 사이버 문화와 관련된 인터넷 중독에 대해...
국정농단 수사 기간 중 언론에 보도 되었던 디지털 포렌식 수사기법과 관련 기술이 적용된 사...
미디어영상학과=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언론과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