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회계의 정의
II. 회계의 분류
III. 재무회계의 목적
II. 회계의 분류
III. 재무회계의 목적
본문내용
⑶ 업종별 관행
※ 보수적 회계처리와 자유주의적 회계처리의 비교
보수적회계처리 ←→ 자유주의적회계처리
1. 수익의 인식
회수기준 - 판매기준 - 완성기준 - 진행기준
2. 비용의 인식
① 재고자산의 원가배분
(물가상승시)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물가하락시는 반대
② 감가상각
가속상각법 - 정액법
③ 유형자산의 지출
수익적 지출 - 자본적 지출
3. 자산의 평가
① 유가증권(투자유가증권)
저가법 - 원가법 - 시가법
② 재고자산
종목별 저가법 - 조별 저가법 - 총계기준 저가법
4. 부채의 평가
우발손실(우발채무)의 인식
5. 기타
① 사채발행차금상각
(투자자입장에서는 반대)
· 할인발행차금
정액법 - 유효이자율법
· 할증발행차금
유효이자율법 - 정액법
② 합병시 회계처리
매입법 - 지분풀링법
VI. 기업 회계 기준
① 신뢰성의 원칙 - 회계정보기준
② 간단명료성의 원칙(이해가능성) - 회계정보기준
③ 충분성의 원칙(완전공시의 원칙) -회계원칙
④ 계속성의 원칙 - 회계정보기준
⑤ 중요성의 원칙 - 회계관습
⑥ 안전성의 원칙(보수주의) - 회계관습
< 회계 주체 이론 >
이익개념
이익의 결정요소
수혜자
의의
비고
부가가치이익
수익-(매출원가+기타외부거래비용) = 당기순이익+이자+법인세+임금
주주, 채권자, 정부, 종업원
기업이 생산을 통해 창출한 가치
기업체이론
기업이익
부가가치이익-임금 =
당기순이익+이자+법인세
주주, 채권자, 정부
기업의 영업활동의 결과
기업실체이론(기관이론)
투자자이익
기업이익-법인세
= 당기순이익+이자
주주, 채권자
재무구조가 상이한 기업간의 경영성과 비교 용이
기업실체이론(대리인설)
주주이익
투자자이익-이자
= 당기순이익
주주(보통주, 우선주)
순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
자본주이론
(자산-부채=소유주지분)
잔여지분이익
주주이익-우선주배당금
= 당기순이익-우선주배당금
보통주주(미래의 잠재적 보통주주 포함)
보통주주의 기업에 대한 평가와 미래의 배당에 관한 자료
잔여지분이론
(자산-특수지분=잔여지분)
※기업실체이론 : 자산=지분 또는 자산=채권자지분+주주지분
※지분법회계처리, 연결재무제표등은 자본주이론에 입각한 회계처리
- 자금이론
회계주체를 자금이라는 활동지향적인 단위로 보는 이론이다. 따라서 자금의 원천이나 운용상황을 나타내는 현금흐름표를 중요시한다. 자금의 사용이 목적에 부합되어야 하므로 비영리기관이나 정부회계에 적합하다.
자산 = 자산에 대한 제약(부채, 자본)
※ 보수적 회계처리와 자유주의적 회계처리의 비교
보수적회계처리 ←→ 자유주의적회계처리
1. 수익의 인식
회수기준 - 판매기준 - 완성기준 - 진행기준
2. 비용의 인식
① 재고자산의 원가배분
(물가상승시)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물가하락시는 반대
② 감가상각
가속상각법 - 정액법
③ 유형자산의 지출
수익적 지출 - 자본적 지출
3. 자산의 평가
① 유가증권(투자유가증권)
저가법 - 원가법 - 시가법
② 재고자산
종목별 저가법 - 조별 저가법 - 총계기준 저가법
4. 부채의 평가
우발손실(우발채무)의 인식
5. 기타
① 사채발행차금상각
(투자자입장에서는 반대)
· 할인발행차금
정액법 - 유효이자율법
· 할증발행차금
유효이자율법 - 정액법
② 합병시 회계처리
매입법 - 지분풀링법
VI. 기업 회계 기준
① 신뢰성의 원칙 - 회계정보기준
② 간단명료성의 원칙(이해가능성) - 회계정보기준
③ 충분성의 원칙(완전공시의 원칙) -회계원칙
④ 계속성의 원칙 - 회계정보기준
⑤ 중요성의 원칙 - 회계관습
⑥ 안전성의 원칙(보수주의) - 회계관습
< 회계 주체 이론 >
이익개념
이익의 결정요소
수혜자
의의
비고
부가가치이익
수익-(매출원가+기타외부거래비용) = 당기순이익+이자+법인세+임금
주주, 채권자, 정부, 종업원
기업이 생산을 통해 창출한 가치
기업체이론
기업이익
부가가치이익-임금 =
당기순이익+이자+법인세
주주, 채권자, 정부
기업의 영업활동의 결과
기업실체이론(기관이론)
투자자이익
기업이익-법인세
= 당기순이익+이자
주주, 채권자
재무구조가 상이한 기업간의 경영성과 비교 용이
기업실체이론(대리인설)
주주이익
투자자이익-이자
= 당기순이익
주주(보통주, 우선주)
순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
자본주이론
(자산-부채=소유주지분)
잔여지분이익
주주이익-우선주배당금
= 당기순이익-우선주배당금
보통주주(미래의 잠재적 보통주주 포함)
보통주주의 기업에 대한 평가와 미래의 배당에 관한 자료
잔여지분이론
(자산-특수지분=잔여지분)
※기업실체이론 : 자산=지분 또는 자산=채권자지분+주주지분
※지분법회계처리, 연결재무제표등은 자본주이론에 입각한 회계처리
- 자금이론
회계주체를 자금이라는 활동지향적인 단위로 보는 이론이다. 따라서 자금의 원천이나 운용상황을 나타내는 현금흐름표를 중요시한다. 자금의 사용이 목적에 부합되어야 하므로 비영리기관이나 정부회계에 적합하다.
자산 = 자산에 대한 제약(부채, 자본)
추천자료
기업활동의 원활화를 위한 상법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스톡옵션에 관한 연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재무회계 정리자료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오해와 진실
동아제약 재무제표분석 (유한양행과의 비교분석)
보험업법 7장계산과 8장금융감독위원회 요약
기업지배구조의 이해 및 사례분석
[소유와 경영] 소유와 경영의 분리의 장단점
(KNU) 경영학원론 중간
국제금융위기와 일본의 고용관행
증권회사(증권사)의 연혁, 증권회사(증권사)의 겸영업무, 증권회사(증권사)의 정보제공, 증권...
Agency Theory란-대리인 이론은 무엇인가,대리인 관계,대리인 문제,대리인 문제의 실제 사례
경영의 이해 단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