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부
오늘의 북한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 김 종 회 -
해방 이후의 북한 민속학사 – 이 정 재 -
제 2부
북한 산수시의 전개 양상 - 박 주 택 –
통일지향 의식과 1990년대 남북한 소설 - 박 덕 규 –
제 3부
박세영 시를 통해 본 북한 시의 변모과정 - 이 성 천 –
주체형의 혁명적 영웅 형상 창조 과정 - 김 주 성 -
오늘의 북한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 김 종 회 -
해방 이후의 북한 민속학사 – 이 정 재 -
제 2부
북한 산수시의 전개 양상 - 박 주 택 –
통일지향 의식과 1990년대 남북한 소설 - 박 덕 규 –
제 3부
박세영 시를 통해 본 북한 시의 변모과정 - 이 성 천 –
주체형의 혁명적 영웅 형상 창조 과정 - 김 주 성 -
본문내용
오늘날의 북한은 우리의 학문적 영역, 그리고 우리 삶의 중심을 향해 큰 걸음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후 남북간의 접촉 면적이 여러 방면으로 확대되고 또 활발해짐에 따라, 북한문학을 외면하고서 우리 문학의 장래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분단시대의 문학이 서 있는 지평은 통일의 길로 시대사의 물줄기를 전이시켜 갈 정신적 단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일 것이다. 이 과업을 위해서는 해방 후 북한문학의 변화 양상을 전반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 문학사를 기술하는 데는 두 가닥의 시각이 적용된다. 하나는 북한문학 자체의 문맥 안에서 작품에 대한 해석 및 평가의 논리를 검색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남한문학과의 상관성 아래에서 문학을 통하여 제기되는 민족적 문화통합의 장래를 상정하는 일이다. 전자는 일정한 체계를 세워나가며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을 수 있지만 후자는 남북한 문학 모두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남북관계에 의존한다.
남북한의 문학이 외형적으로 확고하게 분리되기 시작한 것은 1945년 해방과 분단 이후의 일이지만, 우리 문학 전체를 바라보고 분석하는 태도 자체를 달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가치관에 의해 독자적인 문학사관을 형성하는 일은 그 파급효과를 문학사의 초창기 기술에까지 역류시켰다. 이 심각한 괴리현상이 더 깊어지기 전에 양자를 접목시키고 문화통합을 도모해야 한다는 소명이 오늘날 문학사를 다루는 모든 연구자에게 부여되어 있다. 하지만 현실적이고 가시적인 조치가 취해진 바 없기 때문에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사실을 바탕으로 정리하는 것이 될 수 밖에 없다.
북한 문학사를 기술하는 데는 두 가닥의 시각이 적용된다. 하나는 북한문학 자체의 문맥 안에서 작품에 대한 해석 및 평가의 논리를 검색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남한문학과의 상관성 아래에서 문학을 통하여 제기되는 민족적 문화통합의 장래를 상정하는 일이다. 전자는 일정한 체계를 세워나가며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을 수 있지만 후자는 남북한 문학 모두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남북관계에 의존한다.
남북한의 문학이 외형적으로 확고하게 분리되기 시작한 것은 1945년 해방과 분단 이후의 일이지만, 우리 문학 전체를 바라보고 분석하는 태도 자체를 달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가치관에 의해 독자적인 문학사관을 형성하는 일은 그 파급효과를 문학사의 초창기 기술에까지 역류시켰다. 이 심각한 괴리현상이 더 깊어지기 전에 양자를 접목시키고 문화통합을 도모해야 한다는 소명이 오늘날 문학사를 다루는 모든 연구자에게 부여되어 있다. 하지만 현실적이고 가시적인 조치가 취해진 바 없기 때문에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사실을 바탕으로 정리하는 것이 될 수 밖에 없다.
추천자료
북한 문학사에서 기술된 <허균과 김만중 문학>의 가치와 평가
임화(林和)의 문학 프로시와 북한시 사이의 연속과 단절
북한 현대문학의 연구
북한의 문학과 투쟁의 역사
북한 문학관의 역사적 변모와 그 의미에 관한 고찰
2009년 2학기 국문학연습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북한의 대표문학사와 장화홍련전)
[남북한현대문학사A+] 북한 주체 시대의 영도사 총서 『불멸의 력사』작품분석
2010년 2학기 국문학연습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북한의 대표문학사와 장화홍련전)
북한 문학에 나타난 분단의 문제
북한의 문학예술단체
[1990년대][미디어][사회윤리][민족문학][북한희곡][중국수필][일본영화]1990년대의 미디어, ...
[1990년대][포스트모더니즘][표현의 자유][민족문학][미디어][북한연극]1990년대의 포스트모...
[구조적 특징, 사회관계망 구조적 특징, 지역산업, 북한체제, 독일문학, 사리개념]사회관계망...
북한의 창작문학 - 소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