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성장형태와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재벌의 개념과 본질
2. 재벌의 성립 배경
3. 한국 재벌체제의 문제점
4. 대기업의 문제점
5. 재벌체제의 문제점

본문내용

럭이 공사장까지 운반한다. 이는 백텔도 흉내낼 수 없다. 그래서 현대와 같은 한국기업들이 선진국 업체들을 제치고 공사를 따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요즘 TV 광고에도 나오는 월드컵 주 경기장 건설도 삼성에서 설계부터 해서 많은 부분을 하고 있지 않은가?
규모면에서는 대기업보다 작지만, 최근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고, 잘 나가고 있는 사업이 있다. 사우나, 식당, 술집, 노래방 비디오방 등을 모두 한 건물에 모아놓은 곳이다. 사우나에서 사우나를 하다가 가운을 입은 채로 술집이나 식당도 가고 노래방에서 노래도 할 수 있는 곳이다. 우리 나라의 두산타워나, 밀리오레 등도 이와 같다고 생각된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요즘은 한 곳에서 복합적으로 여러 가지를 하는 것이 잘 나가고 있다. '바바라 스미스'가 제기한 '기러기때론'도 이것과 비슷한 내용이다.
한국 재벌 개혁의 문제에 대한 우리 팀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
과잉투자, 소유구조문제, 무분별한 다각화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개혁을 해야한다. 모험을 거는 그런 무분별한 투자는 지양해야하고, 재벌총수가 임의로 결정을 하는 소유구조도 앞에서 제시한 것처럼 바뀌고, 선도기업이 성공을 했다고 해서 따라 하는 것도 지양 해야한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서는 누구도 부정을 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우리 팀에서는 현재 정부가 하려는 재벌 해체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주요 기업 3-4개 정도만 남긴다면 앞의 예에서도 언급 된 바 있지만 세계의 다른 어떤 기업들과 경쟁력을 갖기 힘들 것이다. 아직은 우리 나라에 '도요따' 하면 자동차, '말보로' 하면 담배라고 떠올릴 만한 전문화 된 세계적인 기업이 거의 없으므로 현대, 삼성, LG 등과 같은 대기업의 이름을 가지고 경쟁을 붙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 정부가 현대 하면 자동차, 삼성 하면 전자 혹은 반도체, 이런 식으로 전문화된 기업으로 만들기 위해 재벌 해체를 한다면 이것은 성공하면 다행이고 실패를 했을 경우 더 큰 위험이 올 것이라는 또 다른 모험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그래서 우리 팀은 재벌을 개혁한다고 하여 굳이 해체할 필요까지는 느끼지 않는다.
또한 정부의 재벌 해체 과정에도 문제가 있다.
대우의 경우 왜 우량 계열사인 대우 증권을 그룹에서 분리를 시키는 것인가?
대우증권은 우리가 알기로 증권 회사 중에서 삼성증권과 순위를 다투긴 하지만 증권 회사 중에서는 1위를 달리고 있지 않은가? 대우의 입장에서 보면 그룹에 대한 수익률도 많이 공헌을 한 회사이기도 하다. 아무리 자동차에 주력을 둔다고 하지만 우량 기업들은 남겨 놓아야 하지 않을까?
문어발식 경영이 문제라면 썩은 부분만 잘라야 할 것이다.
멀쩡한 다리까지 자른다면 오히려 더 큰 손해가 될 거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재벌 개혁을 위해서 재벌 해체를 한다면 국익에 이득보다는 손실이 더 클 것으로 우리 팀은 생각된다. 재벌 개혁에 대한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이 되기를 우리 팀은 간절히 바랄 뿐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